유동성 트랩(Liquidity Trap) – 돈은 넘치는데, 시장은 움직이지 않는다
‘유동성 트랩(Liquidity Trap)’은 경제학에서
금리를 아무리 낮춰도 소비나 투자가 늘지 않는 상태를 뜻합니다.
즉, 돈은 풀렸지만 경제가 반응하지 않는 ‘정체의 함정’입니다.
보통 금리를 인하하면 대출이 늘고,
기업 투자가 활발해지며 경기가 회복되는 게 정상입니다.
하지만 유동성 트랩에 빠지면,
사람들은 “이자율이 낮더라도 불확실하니 돈을 쓰지 않는다”는 태도를 보입니다.

이 개념은 대공황 이후 존 메이너드 케인즈(Keynes)가 처음 제시했습니다.
그는 “시장에 돈이 흘러도 심리가 얼어붙으면 그 돈은 돌지 않는다”고 설명했죠.
최근 몇 년간의 초저금리·양적완화 국면도 비슷했습니다.
중앙은행이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했지만,
기업과 소비자는 불확실성을 이유로 투자를 미루었습니다.
결국 돈은 금융시장에만 머물고,
실물경제에는 제대로 흘러가지 않았죠.
> 핵심 요약
금리 인하·유동성 공급 효과가 사라진 상태
원인은 ‘심리적 불신’과 ‘투자 회피’
돈이 돌지 않으면, 경기 회복은 멈춘다
유동성 트랩이 무서운 이유는
‘정책의 무력화’ 때문입니다.
아무리 돈을 풀어도, 심리가 얼어붙으면 효과가 없기 때문이죠.
결국 문제의 핵심은 ‘심리 회복’입니다.
그래서 경제가 진짜로 회복하려면,
금리나 유동성보다 중요한 건 “신뢰”입니다.
사람들이 다시 소비하고, 기업이 미래를 믿고 투자할 때
비로소 유동성 트랩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컨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