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미국 10 15.3만개의 일자리가 감소. 이는 10월 기준 22년 만의 최대 규모이며, 전월 및 전년동월과 비교할 경우 각각 183%, 175% 급증한 수준이라는 보도 있었는데요.

 

이는 기업의 AI 사용 확산 및 비용 절감 등이 이번 결과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에 미국 기업의 AI 도입 현황 및 고용 영향관련하여 국제금융센터 보고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기업의 AI 도입 현황 및 고용 영향

출처 : 국제금융센터 김권식 조기경보부장

 


01. AI 도입 현황 및 전망

골드만삭스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기업들이 이미 핵심 비즈니스 업무에 적극 활용 중이며,AI 도입률은 현재 37%에서 3년 내 74%로 급증할 전망

 


1) 현재 도입 현황



ㅇ 미국 기업의 37% AI를 정규 생산 업무(핵심비즈니스기능)에 활용


 

ㅇ 이는 미국 인구조사국이 집계한 전체 사업장의 도입률(9.9%) 및 직원 250명 이상 기업 도입률(14%)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

 

ㅇ 해당 격차는 조사 방법의 차이(기업 단위 vs 사업장 단위)에 기인할 수 있으나, 골드만삭스의 고객사들이 일반 기업 대비 AI 도입에 선도적 위치에 있음을 시사



1) 산업별 도입 편차

TMT(기술, 미디어, 통신) 산업이 63% AI 도입을 주도하고 있으며, 금융기관 (Financial Institutions), 산업재(Industrials), 천연가스(Natural Resources) 산업 또한 높은 도입률을 기록



 

ㅇ 반면 헬스케어(Health Care), 소비재/소매(Consumer/Retail), 금융 및 전략적 투자(FSIG(Financial and Strategic Investors Group), 사모펀드) 업계는 상대적으로 더디게 도입

 


2) 향후 도입 전망

ㅇ 미국 기업의 AI 도입률은 1년 내 50%, 3년 내 74%로 급격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타 비즈니스 설문조사 결과와도 부합

 

ㅇ 산업별 전망: 3년 내 기준 TMT 산업은 90%에 육박하는 도입률이 예상되며, 금융산업재천연자원 업계 또한 약 80% 수준의 높은 도입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02. AI 도입 목적 및 장벽

미국 기업들은 비용 절감보다 생산성 및 수익 증대를 주요 목표로 AI를 핵심 가치 창출 도구로 활용하고 있으며, 가장 큰 도입 장벽은 비용이나 규제 등 외부 요인보다 내부 전문가 및 역량 부족인 것으로 확인

 


1) 도입 목적

AI는 단순 비용 절감(20%)보다 생산성 및 수익 증대(47%)를 목표로 활용



 

AI 도입 기업의 절반 이상이 데이터 분석 및 예측(65%)과 고객 서비스 자동화(56%) AI를 적극 활용 중



 


2) 도입 속도

AI 도입 속도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나, 전반적으로 예상보다 느리다는 인식이 우세

 

ㅇ 응답자의 41% AI 도입 속도를 예상보다 느리다고 평가한 반면, 예상보다 빠르다는 응답은 8%에 불과. 다만 51%는 기대 수준과 일치한다고 응답

 

ㅇ 특히 소비재/소매, 산업재, 헬스케어 부문에서 AI 진전 속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지배적



3) 도입 장벽

ㅇ 비용이나 규제보다 기술의 성숙도와 내부 역량 부족이 AI 도입의 주요 저해 요인으로 인식

 

ㅇ 초기 단계의 기술이라는 인식(61%) AI 개발 내부 전문가 부족(47%)이 주요 장벽으로 지목

 

ㅇ 반면 비용(21%)이나 법률 및 규제(17%)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장애 요인으로 평가

 


03. AI 도입의 고용시장 영향

AI로 인한 인력 감축은 현재 TMT 산업을 제외하고는 제한적이나, 향후 3년간 11%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특히 금융기관과 고객 지원 부문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

 


1)  고용 영향

AI 도입으로 인한 인력 감축은 TMT 등 일부 산업을 제외하고는 제한적 수준

 

AI로 인해 감원을 적극적으로 단행한 기업은 11%에 불과. 다만, TMT 산업의 경우 해당 비율이 31%로 전 산업 평균 대비 현저히 높은 수준

 


2) 향후 고용 영향

ㅇ 단기적으로는 완만한 조정이 예상되나, 중기적으로는 상당 규모의 인력 조정이 예상

 

ㅇ 향후 1년간 4% 수준의 제한적 감축이 예상되는 반면, 향후 3년간은 11%로 감축 폭이

대될 것으로 예상

 

ㅇ 감축 방식은 정리해고(26%)보다 신규 채용 동결 및 자연 감소(55%)가 주류를 형성할 전망

 


3) 산업별 및 직군별 영향

ㅇ 금융기관이 가장 큰 고용 하방 압력(-14%)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며,직군별로는 고객 지원 부문의 대체 위험(80%)이 가장 높을 전망



 

ㅇ 고위험 산업: 금융업이 3년 내 14%의 고용 감소로 가장 큰 조정 압력에 직면할 전망

 

ㅇ 고위험 직군: 고객 지원 직무가 80%의 감축 가능성으로 압도적 1위를 기록

 

ㅇ 기타 고위험 직무: 관리지원(53%), 운영(49%), IT/엔지니어링(46%) 순으로 분석됨



 


03. 시사점

미국 기업의 AI 도입 가속화와 인력 조정을 통해 AI가 고용시장 구조 개편을 촉발할 것으로 판단되며, 그 영향이 예상보다 빠르게 가시화됨에 따라 기업과 정책 당국의 선제적 대응이 요구됨

 

1) AI의 구조적 영향력

ㅇ 현재의 높은 AI 도입률과 향후 3년내 확산 전망, 그리고 중기적 인력조정 예상을 고려할 때, AI가 고용시장과 경제 구조에 근본적 재편을 촉발할 것으로 전망

 

2) 충격의 조기 현실화

AI 확산과 인력 재편이 동시 진행됨에 따라 고용시장에 대한 구조적 충격이 예상보다 현저히 빠른 속도로 가시화될 가능성. 이에 기업의 인력 재설계와 정책 당국의 고용시장 안전망 강화가 보다 선제적으로 마련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