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주요 해외 코인 이슈를 함께 다뤄드리는 미국주식 연구센터입니다.
2025년 11월 7일 시황 전해 드리겠습니다.
지난 한 달 동안 16% 이상 급락한 비트코인이 시원찮은 반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들의 이목을 끄는 비트코인 전망이 세 곳에서 나왔는데요. 바로 비트마인 이머전의 회장 톰 리, 아크인베스트(ARK Invest)의 CEO 캐시 우드, 그리고 JP모건 리서치팀입니다.
세 사람의 해석은 각기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단기적인 불안 속에서도 장기적 낙관론을 유지하고 있는데,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톰 리의 시각: 역풍이 순풍으로 바뀔 때
이더리움을 모으는 기업인 비트마인 이머전 회장으로서 최근 이름을 날리고 있는 톰 리는 CNBC 인터뷰에서 최근의 비트코인 급락과 단기 반등을 “유동성의 흐름과 투자심리의 문제”로 설명했습니다. 그는 비트코인이 전통 금융시장보다 훨씬 유동성(liquidity, 자금의 흐름)에 민감한 자산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번 하락 역시 거시경제 요인이 겹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톰리의 설명에 따르면, 지난 몇 주간 시장에는 여러 겹의 역풍(headwind)이 불고 있었다고 합니다. 먼저 미국 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으로 재무부의 현금 보유량이 급격히 늘면서, 시중 유동성이 빠져나갔습니다. 여기에 연준(Fed)의 매파적 발언과 금리 동결 기조, 그리고 12월 추가 긴축에 대한 불확실성이 겹쳤죠. 그는 “이런 환경에서는 위험자산 전반이 압박을 받게 된다”며, “비트코인은 특히 이런 불확실성에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최근 금융시장에서 잠시 이슈가 된 SOFR(미국 단기 담보금리)의 급락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SOFR 금리는 금융기관 간 단기 자금 거래의 기준이 되는 지표인데, 이 수치가 급격히 움직이면 자금 시장에 일시적인 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톰 리는 “10월 말 일시적으로 스트레스가 나타났지만, 이는 월말 ‘윈도 드레싱(은행이 재무 상태를 보기 좋게 만드는 회계상 조정)’ 과정에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며 “신용시장이나 은행주에서 시스템 리스크로 번진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톰 리의 분석에서 핵심은 10월 10일에 일어난 사상 최대 규모의 디레버리징(deleveraging) 사건입니다. 그는 “과거 2020년 코로나 쇼크, 2022년 FTX 붕괴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대규모 청산이 일어났다”며 “10월 10일은 암호화폐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레버리지 청산이었고, 그 여파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어 “최근 디파이(DeFi) 프로토콜 ‘스트리머(Streamer)’에서 큰 손실이 발생했고, 여기에 더해 ‘밸런서(Balancer)’ 해킹 사건까지 겹치면서 시장의 불안이 증폭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그는 “이번 사태는 시스템 전체의 위기라기보다는, 몇몇 프로젝트에서 나타난 후유증”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물 위로 시체가 떠오르는 일은 많지 않다”고 비유하면서, “시장 구조가 붕괴된 것은 아니지만 신뢰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죠.
또한 그는 이번 조정이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봤습니다. 최근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온 미국 증시가 과열 국면에 들어서며, 위험자산 전반에 ‘쉬어가기’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는 겁니다. “지난 100년의 데이터를 보면, 증시가 6개월 연속 오를 때 그 다음 11월은 대부분 보합이거나 추가 상승으로 마감됐다”며 “현재의 흔들림은 단기 조정에 불과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톰 리의 관점은 ‘심리적 조정기’로 요약됩니다. 정부 셧다운과 연준의 긴축 불확실성, 기술주의 과열 우려가 겹치면서 투자자들은 일시적으로 리스크를 회피했지만, 시장의 근본적 체력은 여전히 건재하다는 것이죠. 그는 “이런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지금의 역풍은 곧 순풍으로 바뀐다”고 말했습니다.
즉, 현재 비트코인이 겪는 조정은 단순한 약세가 아니라 시장이 숨을 고르는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유동성의 흐름이 정상화되고,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가 되살아나면 비트코인은 오히려 빠르게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그는 내다봤습니다. “시장에는 아직 회복의 잠재력이 남아 있고, 신뢰가 돌아오면 그 에너지가 순풍이 될 것”이라는 것이 톰 리의 결론입니다.
그런데 한편으로 톰 리가 소위 ‘퍼마불(perma-bull)’, 즉 지속적인 낙관론자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2017년부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대한 장기 상승론을 꾸준히 펼쳐왔기 때문입니다.
그의 첫 예측은 놀랍게도 정확했습니다. 2017년, 비트코인이 2,600달러일 때 그는 “암호화폐가 금의 수요를 대체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은 점점 더 희소한 가치 저장 수단(store of value)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당시 그는 기본 시나리오로 2022년 비트코인 2만 달러, 낙관 시나리오로 5만 5천 달러를 제시했는데, 실제로 비트코인은 2021년 2월 5만 5천 달러를 돌파하며 그의 전망을 1년 일찍 실현시켰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부터 그의 예측은 ‘정확하지만 시기가 너무 앞서갔던' 경우가 많았습니다. 2018년 초 그는 “비트코인이 2022년까지 12만 5천 달러에 이를 것”이라 예측했지만, 실제로 그 레벨이 도달하기까지 3년이 걸렸죠. 또 2020년 말 그는 “2025년 초까지 비트코인이 10만~15만 달러 사이에서 거래될 것”이라 전망했는데, 오차는 있었으나 방향성 자체는 크게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톰리가 불과 3주 전에도 “2025년 비트코인이 20만~25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말했고, 장기적으로는 “비트코인이 수년 내 100만 달러를 넘을 수 있다”고 밝혔다는 건데요. 2025년이 끝나기까지 2개월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20만 달러를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아 보여도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게다가 톰리는 비트마인(BitMine)의 회장직을 맡은 이후 “이더리움은 연말까지 1만 5천~1만 6천 달러가 가능하다”고 언급했었는데요. 한 기사에서는 “그의 예측이 항상 너무 일찍 실현되는 경향이 있으니, 이번에도 몇 년 정도는 더 기다려야 할지도 모른다.”라고 평가했습니다.
따라서 톰 리의 분석을 받아들일 때에는 어느 정도 걸러서 듣는게 좋습니다. 예컨대 그는 지금 “역풍이 순풍으로 바뀔 수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그 순풍이 언제, 어느 강도로 밀어줄지는 불확실하다는 거죠. 결론적으로 톰 리는 시장을 보는 하나의 중요한 참고점이지만, 그의 ‘매우 낙관적’ 틀을 액면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타이밍 리스크와 현실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현명하겠습니다.
캐시 우드의 비트코인 재평가?
한편 한때 '돈나무 언니'로 이름을 알렸던 아크인베스트의 CEO 캐시 우드는 최근 비트코인 목표가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번 주 CNBC ‘스쿼크박스’ 인터뷰에서 진행자가 “이 정도 조정 뒤, 앞으로의 방향을 어떻게 보느냐”고 묻자 캐시 우드는 “2030년까지 비트코인이 150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낙관 시나리오에서 약 30만 달러를 낮춰 잡게 됐습니다.”라고 말했죠. 왜일까요?
캐시우드는 구조적인 변화를 지적했습니다. 그녀는 오랫동안 비트코인을 ‘새로운 금융 시스템의 중심축’으로 평가해 왔지만, 최근 그 역할의 일부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분석했죠.
스테이블코인은 가치가 달러 등에 고정된 암호화폐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테더(USDT)와 서클의 USD 코인(USDC)이 있죠. 현재 두 코인의 총 공급량은 약 2,600억 달러로, 특히 신흥국에서 ‘디지털 달러’처럼 쓰이고 있습니다.
캐시 우드는 “우리가 비트코인이 맡을 거라 생각했던 일부 역할을 스테이블코인이 대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원래는 비트코인이 결제와 저축 수단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환율 안정성과 편의성 덕분에 스테이블코인이 그 역할을 가져간 겁니다.
캐시 우드는 또 미국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에도 주목했습니다. “지금 미국 내 기관들이 새로운 결제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그 중심에 스테이블코인을 두고 있습니다. 이 흐름은 매우 흥미롭고, 결국 시장 전체를 키우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캐시 우드는 이에 따라 아크인베스트의 비트코인 장기 목표가를 기존 240만 달러에서 약 210만 달러 수준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기본 시나리오는 120만 달러, 보수적 시나리오는 50만 달러입니다. 그럼에도 그녀는 비트코인에 대한 신념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비트코인은 기술이자, 글로벌 통화 시스템이며, 새로운 자산군이 결합된 존재”라고 강조했죠.
진행자가 “스테이블코인이 더 커질수록 비트코인의 성장 여력은 줄어드는가?”라고 묻자, 캐시 우드는 단호히 고개를 저으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비트코인의 ‘디지털 골드’ 역할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금 시장의 절반만 차지하더라도 그 자체로 엄청난 규모입니다. 실제로 금값이 우리가 예측했던 시점보다 두 배 가까이 올랐지만, 비트코인의 잠재력은 여전히 충분합니다.”
즉, 스테이블코인은 ‘결제·저축 수단’으로서의 비트코인의 역할을 대체하고 있지만, 비트코인의 본질적인 강점인 희소성과 가치 저장 기능은 여전히 변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그녀는 “비트코인이 금보다 나은 점이 많고, 적어도 절반 수준의 시장을 차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이 ‘현금’으로서 일상 결제를 담당하는 반면,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으로서 가치 저장의 기능을 강화하며, 양쪽이 공존하는 새로운 디지털 통화 체계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죠.
JP모건의 비트코인 17만 달러 시나리오
이와중에 JP모건의 분석은 실증적인 접근을 취하며 비트코인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니콜라오스 파니기르초글루(Nikolaos Panigirtzoglou)가 이끄는 애널리스트 팀은 “비트코인이 6~12개월 안에 약 17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한 건데요.
이들은 비트코인을 금과 비교하며 변동성 조정 가치(volatility-adjusted parity)라는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이는 위험 대비 투자 효율을 기준으로 두 자산의 가치를 비교하는 방식인데요, 현재 비트코인은 금보다 약 1.8배 정도 더 변동성이 높습니다. 즉, 같은 금액을 투자하더라도 비트코인은 더 큰 가격 변화를 감수해야 한다는 뜻이죠.
이 비율을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현재 약 2조1천억 달러 수준인데, 금의 민간 투자 규모(약 6조2천억 달러)에 맞추려면 67%가량 상승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계산한 ‘공정 가치(fair value)’가 바로 17만 달러라는 겁니다.
또한 보고서는 파생상품 시장의 구조적 안정이 되돌아오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10월 10일 대규모 청산 이후, 비트코인 무기한 선물(open interest)은 다시 평균 수준으로 돌아왔습니다. 과도한 레버리지가 제거됐다는 뜻이죠.
애널리스트들은 “현재의 안정세는 디레버리징이 거의 끝났다는 신호”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공포의 정점’을 지나 균형을 찾아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게다가 최근 금의 변동성이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비트코인이 더 매력적인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도 덧붙였습니다.
기술적 지표로 본 비트코인의 현재 위치
애널리스트들의 다양한 전망과 달리, 최근 며칠 사이 비트코인 시장은 극심한 변동성 속에서도 10만 달러선을 다시 회복하며 숨을 돌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11월 초까지만 해도 한때 9만 9,000달러 밑으로 떨어지며 ‘6월 이후 최저가’를 기록했지만, 이후 단기 반등세를 타고 현재는 약 10만 달러 ~ 10만 5천 달러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 반등이 단순한 ‘기술적 반등(technical bounce)’인지, 아니면 본격적인 회복 신호인지를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는데요.
온체인 데이터 분석가 윌리 우(Willy Woo)는 “비트코인 뒤에서 움직이는 유동성이 점차 회복되고 있다”며 “2주 내 가격 회복 확인 신호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실제로 이번 조정으로 전체 비트코인 공급량의 약 28%가 손실 구간에 머물고 있는데, 과거 데이터를 보면 이 지표가 27%를 넘을 때마다 반등이 시작된 경우가 많았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2025년 4월에도 손실 구간 보유량이 27%를 넘자 이후 비트코인은 70% 상승했습니다. 2024년 9월에도 비슷한 패턴으로 125% 급등이 이어졌죠. 이러한 데이터는 현재 구간이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매집 구간(accumulation range)’이 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시장이 완전히 돌아섰다고 보기엔 이르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MEXC리서치의 수석 애널리스트 션 영(Shawn Young)은 “이번 반등은 스팟 유입과 숏 커버링(공매도 청산)에 따른 기술적 반등일 가능성이 크다”며 “아직 장기적 확신이 돌아온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진정한 회복 신호로 보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첫째, 장기 보유자들의 온체인 매집이 꾸준히 이어질 것. 둘째, 선물 시장의 펀딩 비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 이 두 가지가 확인되어야만 현재의 반등이 단기 ‘숨 고르기’가 아닌, 본격적인 상승 전환의 초입으로 평가될 수 있다는 겁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기술적으로 ‘과매도(oversold)’ 구간에 있습니다. RSI(상대강도지수)는 36 수준으로, 일반적으로 30 이하가 과매도 신호로 간주됩니다. 즉, 매도 압력이 서서히 약해지고 있고, 일부 투자자들은 저점 매수를 시도하기 시작했다는 뜻이죠.
다만 ADX(추세 강도 지표)는 20 수준으로 여전히 약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이 아직 방향성을 확립하지 못한 ‘횡보 구간’에 머물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EMA(지수 이동평균선) 역시 흥미로운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단기 평균선인 50일 EMA가 장기 평균선(200일 EMA) 위에 위치하며 전형적인 ‘골든크로스(golden cross)’ 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현재 가격은 두 지표 모두 아래에 있습니다. 이 구조가 장기간 이어지면 50일선이 아래로 꺾이면서 ‘데드크로스(death cross)’로 전환될 수 있고, 이는 장기 약세로 이어질 수 있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10만 2천 달러를 지지선, 10만 5천 달러를 돌파해야 할 저항선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만약 이 구간을 안정적으로 돌파하고 주봉 마감이 10만 3천 달러 이상에서 형성된다면, 중기 회복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단기 반등은 시장 심리를 어느 정도 되살렸습니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이제 다시 겨울(crypto winter)이 올지도 모른다”는 비관론이 퍼졌지만, 지금은 “이번 하락이 오히려 저가 매수 기회일 수 있다”는 낙관론이 조금씩 힘을 얻고 있습니다.
실제로 예측시장 마이리어드(Myriad)에서는 비트코인이 8만5천 달러보다 11만5천 달러에 먼저 도달할 확률을 56%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 참가자들이 완전한 낙관론에 빠진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바닥 신호를 확인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죠.
하지만 낙관론만으로 상황을 해석하기는 어렵습니다. 갤럭시디지털(Galaxy Digital)의 리서치 총괄 알렉스 손(Alex Thorn)은 연초 목표가였던 18만 5천 달러를 12만 달러로 하향 조정하며, “이번 반등은 실질적 회복보다는 조정 후 기술적 반사”에 가깝다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JP모건이 지적한 대로, 이번 상승세의 지속 여부는 거시경제 환경에 달려 있습니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이 장기화되고 있고, 연준의 정책 불확실성도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번 반등이 단기적 숨 고르기인지, 아니면 2026년을 향한 회복의 출발점인지는 아직 확정할 수 없습니다만, 100,000달러선이 심리적 지지선이자 시장 참여자들이 다시 포지션을 잡기 시작하는 구간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만약 이 선이 견고히 유지된다면, 톰 리가 말했던 “역풍이 순풍으로 바뀌는 시점”이 생각보다 빨리 찾아올 수도 있겠습니다.
현재로서는 확실한 회복보다는 시장이 과열과 냉각을 반복한 뒤 서서히 안정세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보이는데요. 비트코인이 과연 10만 달러 레벨을 지켜줄지 여부를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컨텐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