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 및 기업에 인공지능(AI)용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 장을 공급

  • 한국 AI 경쟁력의 가장 큰 약점으로 꼽힌 GPU 부족 현상을 해소하고, 민관 원팀으로 추진하는 ‘소버린(주권) AI’에 속도를 내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 엔비디아는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이 열리는 경북 경주시에서 한국 정부와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네이버 클라우드에 엔비디아의 ‘블랙웰’ 등 최첨단 GPU 총 26만 장을 공급하겠다고 밝혔음

  • 블랙웰은 현재 엔비디아가 판매 중인 최신 GPU로 전 세계 ‘AI 붐’ 때문에 수요가 폭증해 품귀를 겪고 있음

  • 정부 관계자는 “엔비디아 GPU는 한 장에 약 1억 원으로 최소 20조 원이 넘는 규모”라며 “국내 AI 역량을 강화하고 인재 육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음

  • 엔비디아는 “이로써 한국이 보유한 AI용 GPU는 30만 장 이상으로 대폭 늘어난다”며 “한국이 세계적인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

  • 대통령실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GPU 공급은 2030년까지 이어지며 30만 장을 보유하게 되면 이는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에 해당

  • GPU 부족으로 소버린 AI 추진에 어려움을 겪던 한국은 이번 대규모 GPU 확보로 AI 경쟁력 강화를 가속화할 기회를 잡게 됐음. 엔비디아는 전 세계 GPU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26만 장 가운데 정부 몫은 5만 장으로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및 AI 인프라 구축에 활용할 계획

  • 파운데이션 모델은 챗GPT, 제미나이 같은 생성형 AI를 비롯해 모든 AI의 가장 기본이 되는 시스템으로 AI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 삼성전자와 SK그룹, 현대차그룹은 각각 5만 장, 네이버는 6만 장을 들여 각 기업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

  •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특별세션에서 주요 기업들과 맺은 계약에 대해 “우리는 한국에 AI 생태계를 조성하려 한다. 이제 한국은 AI 주권 국가가 될 것”이라고 말했음

  •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황 CEO를 접견한 자리에서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오늘 논의된 협력 방안이 한국을 넘어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음

돈 있어도 못 구하는 엔비디아 GPU

  •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 장 공급은 GPU 부족으로 인공지능(AI) 발전에 발목이 잡힌 한국 산업계에 숨통을 틔워 줄 것으로 보임

  • 현재 엔비디아의 GPU는 전 세계적인 ‘AI 붐’으로 품귀 현상을 빚고 있음. AI용 GPU는 1장당 가격이 1억 원에 달할 만큼 비싸지만 돈 주고 주문해도 수개월을 기다려야 하는 실정

  • 생산량은 제한된 반면 오픈AI, 구글, 아마존 등 빅테크들이 먼저 쓸어 담기 때문. 미국 정부가 대중국 견제 등 안보 차원에서 수출을 통제하는 영향도 큼

  • AI용 GPU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위상은 절대적. 시장조사업체 IOT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데이터센터용 GPU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점유율은 92.0%였음

  • AMD, 브로드컴, 인텔 등 경쟁사들이 엔비디아 GPU를 대체할 AI칩을 개발하고 있지만 엔비디아의 독점력은 요지부동

  • 엔비디아의 GPU를 비롯한 AI칩은 최근 AI가 로봇, 자율주행, 첨단의료 등 일상에 적용되기 시작하고 스스로 생각, 판단하는 추론까지 해내며 2차 호황기를 맞고 있음

  • 테크업계에선 이런 상황에서 엔비디아가 한국에 GPU를 대량 공급하겠다고 나선 것은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옴

  • 한국은 그동안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에 소홀해 GPU 물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했음

  •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 대학 등에서 AI를 연구개발할 인프라 자체가 확보되지 않아 첨단 산업에서의 글로벌 경쟁력이 계속 후퇴한다는 우려가 커졌음. 그러나 이번 대규모 GPU 확보로 AI에서 반전을 모색할 기회를 잡게 됐다는 것임

  • 아울러 엔비디아 GPU 주문이 늘수록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

  • 엔비디아가 한국에 공급할 GPU ‘블랙웰’ 모델에는 두 회사의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E가 탑재

  • 추후 차세대 GPU ‘루빈’에 탑재될 HBM4 공급 확대 가능성도 있음


한국-엔비디아 AI 동맹

  •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와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네이버 등 국내 대표 기업들에 26만 장의 최신형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하면서 제조업 강국인 한국의 인공지능(AI) 대전환에 속도가 붙게 됐음

  • 기업들이 AI의 ‘두뇌’ 역할을 하는 고성능 GPU ‘블랙웰’ 등을 각각 수만 장씩 확보하며 본격적으로 AI를 사업의 혁신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임

  • 31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엔비디아와 기업들은 이 같은 전략적 제휴 내용을 발표

  • 전날 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치맥’(치킨+맥주) 회동에 이어 ‘AI 동맹’이 공식화된 셈임

  • 이번 AI 동맹을 계기로 자동차, 반도체 등 한국 제조업이 AI 시대에도 주도권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됨


  • 이번 엔비디아와의 AI 동맹으로 우선 우리 정부가 한미중 ‘AI 3대 강국’을 목표로 추진하는 소버린 AI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임

  • 정부는 앞서 8월 네이버, SK텔레콤, LG AI연구원, NC AI, 업스테이지 등 5개 팀을 선정하고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나선 상태임

  • 정부는 엔비디아에서 공급받을 GPU 5만 장을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 등에 활용할 예정

  • 민간 AI 생태계의 경쟁력도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점쳐짐.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 삼성전자의 AI 팩토리는 한국 미국 중국 등에 갖춰진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지능형 제조 플랫폼으로 설계. 설계, 공정, 운영, 품질관리 등 제조 전 과정을 AI가 스스로 분석하고 최적화해 불량을 사전에 예측하고 공정을 스스로 제어할 수 있음.

  • 삼성은 AI 팩토리 구축과 함께 엔비디아에 차세대 메모리와 파운드리 서비스를 공급하며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게 됐음.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E, 6세대 HBM4, 그래픽용 D램 GDDR7 등이 주요 공급 품목

  • 삼성전자는 “이미 공급 중인 메모리 제품뿐만 아니라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 HBM4 공급을 엔비디아와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음

  • 엔비디아 역시 이날 “삼성전자는 HBM3E, HBM4에 있어 핵심 공급 협력사”라며 현재 샘플 테스트 단계인 HBM4의 본격적인 공급 전망을 밝게 했음

  • SK그룹은 엔비디아의 GPU와 제조 AI 플랫폼 ‘옴니버스’를 활용한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 이 클라우드는 제조업 생산 공정을 3차원 가상공간에 똑같이 구축해 수율 개선과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SK그룹 역시 엔비디아의 GPU로 AI 팩토리를 구축

현대차-네이버, 피지컬 AI로 산업 전환 주도

  • 현대차그룹과 엔비디아는 블랙웰 기반 AI 팩토리 도입을 통해 자율주행차, 스마트 팩토리, 로보틱스 분야 혁신을 추진

  • 양사는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 양사는 30억 달러(약 4조3000억 원)를 투입해 ‘AI 기술센터’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 ‘피지컬 AI 데이터센터’를 조성

  • 현대차그룹은 블랙웰 5만 장을 활용해 차량 내 AI, 자율주행, 생산 효율화, 로보틱스를 통합한 AI 팩토리를 구축하는 한편 차량 공장의 디지털 트윈(현실의 물리적 자산과 시스템을 가상공간에 구현한 기술) 개발도 함께 추진

  • 네이버는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해 반도체, 조선, 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에 AI 인프라를 공급

  • 네이버 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과 로보틱스 기술을 엔비디아의 ‘옴니버스’ ‘아이작 심’ 등 플랫폼과 결합하는 방식

  • 황 CEO는 이날 “AI 인프라 구축, 인재 및 스타트업 육성과 함께 제조업 자율주행 로봇 피지컬AI 등 여러 측면에서 한국 기업들과 실질적 협력을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음

  • 윤국진 KAIST AI연구원 부원장은 “GPU 수급이 충분하면 반도체, AI, 바이오 등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 방향을 넓게 가져갈 수 있고 시도할 수 있는 기술이 굉장히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음

<시사점>

엔비디아가 한국에 최신형 GPU 26만장을 공급하기로 하면서, 한국이 세계 AI 혁명 최전선으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정부와 삼성전자, SK,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주요 기업이 손을 맞잡은 이번 협력은 단순한 기술 공급 계약이 아니라, 산업 전반과 사회 구조를 통째로 바꿀 ‘AI 동맹’의 서막이라 할만 합니다.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은 세계 최고 수준의 AI 칩입니다.이 칩을 26만장(구입금액도 천문학적임. 그러나 돈이 있어도 구할 수 없는 귀중한 칩임)이나 확보한다는 것은 한국이 세계적 수준의 AI 인프라를 갖추게 됐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제 한국은 제조, 금융, 의료, 교육, 모빌리티 등 모든 분야에서 AI를 중심으로 한 산업 구조 개편을 시도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고 하겠습니다.

AI 혁명은 향후 사회의 근본을 흔들것으로 예상됩니다. 공장에서는 인간 대신 로봇이, 진료실에서는 AI가 진단을 내리고, 교실에서는 학생마다 다른 AI 교사가 존재하는 시대가 다가올 것입니다. 도시의 교통은 스스로 움직이고, 기업의 의사결정은 데이터가 대신합니다. 지금의 사회변화는 산업혁명 이후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속도와 규모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국이 이번 엔비디아 협력을 계기로 이 거대한 전환을 선도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았습니다.

다만 AI로 대변되는 눈부신 기술 발전이 곧 행복한 사회를 보장하지는 않는다는데 주목해야 합니다. AI가 노동을 대체하고, 인간의 판단을 기계가 대신하는 시대에는 일자리의 재편, 윤리의 기준, 인간의 존엄이라는 새로운 과제가 등장합니다.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명확합니다. AI를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 그것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정부는 AI 인재 양성과 데이터 생태계 확충에 과감히 투자해야 하며, 기업은 GPU 확보에 그치지 않고 이를 산업 전환과 사회적 가치 창출로 연결해야 합니다.

엔비디아 GPU 26만장은 한국이 AI 시대를 맞이하는 상징적 신호탄입니다. 하드웨어의 양보다 중요한 것은 그것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어떤 사회를 만들 것인가에 대한 질문입니다. AI는 우리 사회를 더욱 효율적이고 풍요롭게 만들 수 있지만, 동시에 인간성의 의미를 되묻게 하는 힘을 가진 양날의 검이기도 합니다.

눈부시게 발전할 AI 혁명은 단지 기술의 진화가 아니라, 인간과 사회의 새로운 진화를 요구합니다. 한국이 그 변화를 지혜롭게 이끌어간다면, 이번 AI 동맹은 단순한 산업 협력을 넘어 세계의 미래를 선도하는 역사적 전환점으로 기록될 수 있을 것입니다.

<관련 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20/0003671342?date=2025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