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증시 마감 시황 체크 ★
2025년 11월 1일
뉴욕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
애플·아마존 호실적 → 기술주 중심 매수세 유입
연준 인사의 매파적 발언이 투자 심리 제약
12월 금리 인하 저격 발언
엔비디아, 한국에 GPU 26만장 공급
트럼프, 중국산 펜타닐 관세 철폐 가능성 언급

★ 미국 증시 섹터별 흐름 ★
임의 소비재 주 상승
유틸리티 및 원자재 주 하락

★ 오늘의 특징 주 ★
■ 아마존, 3분기 실적 최고의 성장 속도
EPS: 1.95달러 (예상 1.57달러 상회)
매출: 1,801억7,000만달러 (예상 1,778억달러 상회)
주가: 약 +10% 급등
✓ AWS(클라우드) 부문 실적: 330억달러 (예상 324억달러, 전년 대비 +20.2%)
2022년 이후 가장 빠른 성장세
CEO “AI·인프라 수요 강력… 지난 12개월간 3.8GW 데이터센터 용량 추가”
광고: 177억달러 (예상 173억달러 상회)
핵심 온라인 스토어: 전년 대비 +10% (프라임데이 효과 반영)
AI 사업 확장
110억달러 규모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레이니어’ 공식 가동
AI 서비스 확대: 기업용 챗봇 ‘Q’, 생성형 AI 서비스 ‘베드록’, 쇼핑 전용 AI 챗봇 ‘루퍼스’
루퍼스 이용자 2.5억명, 이 중 60% 구매 전환율↑
비용 절감 및 구조조정
사무직 1만4,000명 감원 → “효율적 조직 재편 목적”
4분기 매출 전망: 2,060억~2,130억달러 (중간값 2,095억달러, 시장예상 2,080억달러 상회)
리스크 요인 관세·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실적 불확실성 존재
⇒ 아마존은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성장으로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며 ‘AI+클라우드’ 시너지를 입증했음
다만 인력 구조조정과 통상정책 리스크를 병행 관리가 지속될 전망
■ 엔비디아, 한국에 GPU 공급 협력에 삼성, 현대 등 국내 기업 호
엔비디아-한국 26만 GPU 공급 협력 (총 10~14조원 규모)
정부·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 대상
최신 GB200 ‘그레이스 블랙웰’ GPU 중심, 일부 RTX 6000 혼합
한국의 AI GPU 보유량 6.5만 → 30만 개 이상으로 확대
한국을 글로벌 AI 인프라 거점으로 지정
✓ GPU 배분 계획
정부: 최대 5만 개 → 산업 전반 AI 개발 지원
삼성전자: 5만 개 →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
SK그룹: 5만 개 → AI 팩토리 및 디지털 트윈·AI 에이전트 개발
현대차그룹: 5만 개 → 자율주행·로보틱스용 AI 팩토리
네이버클라우드: 6만 개 → 소버린 AI·LLM 훈련용 인프라
✓ 주요 협력 내용 및 산업별 활용
AI 팩토리 구축: 단순 데이터센터가 아닌 ‘지능 생산 공장’ 개념
✓ 삼성전자:
반도체 제조용 AI 팩토리 (5만 GPU)
디지털 트윈·AI 기반 수율 향상
NeMo Tron, CUDA-X, Omniverse 활용
로보틱스(Isaac)·Cosmos 기반 가정용 로봇 개발
✓ SK그룹:
RTX Pro 6000 기반 소버린 AI 인프라
반도체 R&D, 클라우드, 로보틱스, LLM, 디지털 트윈 통합
✓ 현대차:
5만 GPU 기반 자율주행·스마트팩토리 AI 모델 훈련
정부와 피지컬 AI 분야 30억달러(약 4.3조원) 공동 투자
✓ LG전자·LG AI연구원:
의료·로보틱스 협력
초거대 AI ‘엑사원’ 활용, 암 진단 연구 생태계 조성
✓ 네이버클라우드:
Sovereign LLM 개발 및 국내 AI 데이터센터 확충
■ 엑손모빌, 부진한 실적 발표
엑손모빌 2025년 3분기 실적 부진
순이익: 75억5천만달러 (전년 86억달러 대비 -12%)
EPS: 1.76달러 (전년 1.92달러↓)
조정 EPS: 1.88달러
매출: 853억달러 (시장 예상 877억달러 하회)
부진 원인 국제유가 하락: 올해 들어 약 –16%
OPEC+ 생산 확대로 공급 증가
트럼프 행정부 관세정책으로 경기둔화 우려 확대 → 수요 약화
정제·화학 부문 수익성 둔화
에너지 가격 변동성이 실적 불안 요인으로 작용
■ 비트코인, 업토버 7년만에 종료
10월 한 달간 –7% 하락, 31일 기준 10만9,420달러
2018년 이후 처음으로 10월 상승세 멈춤
10월 10일엔 하루 만에 –14% 급락, 10만4천달러선까지 하락
시장 분석
“올해 10월은 금·주식·가상화폐 모두 사상 최고치에서 출발했으나,
불확실성 등장과 함께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이탈했다.”
“가상자산 시장의 유동성은 여전히 좁고,
비트코인·이더리움조차 15~20분 만에 10% 급락할 수 있는 구조

컨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