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가장 중요한 암호화폐 이슈를 쉽게 정리해 드리는 미국주식 연구센터입니다.

2025년 10월 29일 소식 전해 드립니다.

오늘 다룰 이슈는 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들과 관련이 되어 있는데요.

바로 서클(Circle), 테라울프(TeraWulf), 트럼프 미디어(Trump Media), 그리고 메타플래닛(Metaplanet)입니다.

하나씩 소식 살펴보고, 마지막엔 주요 코인 차트 분석해보겠습니다.


서클, 금융 인터넷을 위한 블록체인 공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C를 발행하는 서클(Circle Internet Group) 은 새롭게 구축한 블록체인 아크(‘Arc’)의 퍼블릭 테스트넷을 공개했습니다.

서클의 CEO 제러미 얼레어(Jeremy Allaire) 는 Arc를 “인터넷을 위한 경제 운영 시스템(Economic Operating System)”이라 표현했는데요.

여기서 ‘레이어1 블록체인’이라는 말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하는 기본 네트워크를 뜻합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이 대표적이죠. 하지만 Arc는 이들과 달리 대규모 금융기관과 기업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블록체인입니다.

Arc의 가장 큰 특징은 USDC 자체를 가스 토큰으로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대부분의 블록체인은 거래 수수료를 변동성이 큰 자체 코인으로 지불하지만, Arc에서는 달러에 연동된 안정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 거래 수수료를 낼 수 있습니다. 이는 은행이나 기관이 블록체인을 사용할 때 예측 가능한 비용 구조를 제공합니다.

현재 Arc 테스트넷에는 블랙록, HSBC, 골드만삭스, 도이치은행, 마스터카드, 아마존웹서비스 등 100개 이상의 글로벌 기관이 참여 중입니다. 단순한 홍보용 제휴가 아니라, 실제로 각 기관이 블록체인 기반 결제, 외환, 자본시장용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기술적인 면에서도 Arc는 돋보입니다. 거래가 1초 이내로 확정되는 초고속 결제 속도, 선택적 프라이버시 설정, Circle의 기존 금융 API와 직접 연동되는 구조를 갖췄습니다. 무엇보다 “규제 친화적(regulatory-grade)”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데요. 이는 자금세탁방지(AML) 및 회계 투명성을 고려한 설계로, 기관들이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셈입니다.

또한 Arc는 다양한 통화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지원합니다. 호주 달러(AUDF), 브라질 헤알(BRLA), 일본 엔화(JPYC), 한국 원화(KRW1), 멕시코 페소(MXNB), 필리핀 페소(PHPC), 캐나다 달러(QCAD)등 전 세계 통화가 테스트넷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AI 기업 앤트로픽(Anthropic) 이 제공하는 클로드(Claude) SDK가 Arc 개발 툴로 통합된다는 사실입니다. 개발자가 AI를 활용해 스마트컨트랙트를 자동 생성하거나 코드를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죠.

결국 Arc는 단순한 블록체인이 아니라, 글로벌 금융 인프라의 디지털 버전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금융기관이 블록체인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넘어, “기본 인프라”로 채택하는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편 서클 인터넷 주가는 상장 이후 크게 상승했으나 300 달러 근처에서 최고점을 찍은 뒤 여전히 조정을 겪고 있습니다.

9월에 100 ~ 110 달러 구간에서 저점을 찍은 뒤 반등을 하고 있는 모습이긴 한데, 제대로 된 상승세 전환을 위해서는 거래량이 실린 상태에서 160 달러를 강하게 뚫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테라울프, 구글이 지원하는 AI 사업 발표

이제 시선을 비트코인 채굴 기업 테라울프(TeraWulf) 로 돌려볼까요. 한때 전통적인 채굴 회사로만 알려졌던 이 기업이 이제는 AI 데이터센터 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테라울프는 AI 클라우드 플랫폼 플루이드스택(Fluidstack) 과 협력해 텍사스 애버내시(Abernathy) 지역에 168메가와트(M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건설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여기에 구글(Google) 이 13억 달러 규모의 리스 보증을 제공했으며, 계약 규모는 25년간 95억 달러에 달합니다.

168MW라는 수치는 감이 잘 안 오실 수 있는데요. 초거대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는 GPU 서버 수만 대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 용량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로 테라울프의 총 계약 전력 용량은 510MW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전 세계 비트코인 채굴기업 중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입니다. 구글의 리스 지원으로 프로젝트는 부채 기반 자금 조달로 진행되며, 테라울프가 51%의 지분을 보유합니다.

이번 발표 이후 테라울프의 주가는 하루 만에 25% 급등했습니다.

테라울프(WULF) 주가는 이미 올해 들어 주가가 130% 이상 상승한 상태였는데요. 월가의 오펜하이머(Oppenheimer) 증권사는 이날 테라울프에 대해 “아웃퍼폼(outperform)” 등급을 부여하며 목표주가를 20달러로 제시했습니다. 여기서 더 오를 여력이 있다는 겁니다.

테라울프는 이번 프로젝트 외에도 뉴욕의 레이크 마리너(Lake Mariner) 데이터센터에서 이미 37억 달러 규모의 AI 호스팅 계약을 체결했으며, 구글은 여기서도 32억 달러 규모의 리스 보증과 워런트(주식 매입 권리)를 제공했습니다.

결국 테라울프는 비트코인 채굴이라는 단일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 AI 인프라를 제공하는 에너지·데이터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CFO 패트릭 플루어리(Patrick Fleury)는 “AI 호스팅 계약 확대는 우리가 보유한 인프라의 확장성과 안정적인 수익 창출 능력을 증명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변화는 비단 테라울프만의 일이 아닙니다. 최근 아이렌(IREN), 어플라이드 디지털(Applied Digital) 등 다른 채굴기업들도 AI 연산용 GPU 호스팅 사업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죠. 채굴시설은 이미 막대한 전력 인프라와 냉각 설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AI 연산센터로의 전환이 자연스럽습니다.


트루스 소셜과 크립토닷컴, 예측시장 협업 발표

이번에는 완전히 다른 분야의 뉴스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소유한 트럼프 미디어(Trump Media) 의 SNS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크립토닷컴(Crypto.com) 과 손잡고 예측시장 ‘트루스 프리딕트(Truth Predict)’를 출시합니다.

CEO 데빈 누네스(Devin Nunes) 는 “그동안 일부 엘리트들만 이용하던 예측시장을 대중에게 개방해, 집단지성의 예측 능력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예측시장이란 간단히 말해, 특정 사건의 결과에 돈을 거는 시장입니다. 예를 들어 “2028년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이 승리한다”라는 예측 계약을 0.40달러에 사면, 실제로 승리할 경우 1달러로 정산되어 60센트의 차익을 얻게 됩니다.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지만, ‘사건의 결과’가 거래되는 것이죠.

트루스 프리딕트는 기존의 대표 예측시장인 폴리마켓(Polymarket)칼시(Kalshi) 와 달리,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직접 통합된 형태입니다. 즉, 사용자가 트루스 소셜에서 정치나 경제 이슈에 대해 토론하면서 바로 해당 주제의 예측 계약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

한편 트루스 프리딕트는 크립토닷컴의 크로노스(Cronos, CRO)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한다고 하는데요. 사용자는 플랫폼 내에서 활동하며 얻은 리워드 포인트인 ‘트루스 젬(Truth Gems)’ 을 CRO 토큰으로 전환해 예측 계약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크로노스(CRO) 코인은 지난 1년 간 90% 이상 상승했습니다. 최근 트럼프 미디어와의 협업으로 주가가 급등했다가 급격한 조정을 겪고 있는 모습입니다.

한편 예측시장 산업 자체도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폴리마켓과 칼시는 2025년 9월 한 달 동안 14억 달러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했고, 최근 기업가치는 각각 90억~120억 달러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트루스 프리딕트는 미국 내 베타 테스트 후, 내년에는 전 세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미디어는 현재 30억 달러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올해 처음으로 영업현금흐름이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루스 소셜을 운영하고 있는 트럼프 미디어 앤 테크놀로지 그룹(DJT) 주가는 올해 50% 이상 하락 중입니다.


메타플래닛, 5억 달러 자사주 매입 결정

마지막으로 일본의 메타플래닛(Metaplanet) 소식입니다. 이 회사는 30,823 BTC(약 35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보유한 아시아 최대 비트코인 재무기업인데요. 최근 주가가 자산가치에 비해 지나치게 저평가되자, 5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메타플래닛은 이를 위해 최대 5억 달러의 신용한도(credit facility)를 확보했으며, 도쿄증시에서 약 1억 5천만 주(전체 발행주식의 13%)를 1년간 순차적으로 매입할 계획입니다.

이 회사는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순자산가치 대비 시가총액(mNAV)이 하락하면서, 현재 주가가 본질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mNAV는 기업의 시장가치가 보유 자산가치 대비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1배 미만일 경우 시장이 기업 가치를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메타플래닛의 mNAV는 올해 2월 13일 최고치 10.33배를 기록한 뒤, 최근 0.88배까지 떨어졌습니다. 회사는 “mNAV가 1배 미만일 때 자사주 매입이 특히 효과적”이라며 이번 결정을 설명했습니다.

현재 주가는 475엔으로, 올해 6월 1,895엔에서 약 70%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연초 대비로는 여전히 30% 이상 상승한 상태입니다. 메타플래닛은 향후 2027년까지 비트코인 보유량을 21만 개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코인 차트 분석

자, 이제 주요 코인 일봉 차트를 들여다 보겠습니다.

우선 현재 비트코인 일봉 차트를 보면, 최근 조정 이후 단기 반등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9월 초 1억 4900만 원 부근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꾸준히 상승해 10월 초에는 약 1억 7980만 원까지 올라 최고점을 기록했죠. 이후 과열 구간에서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단기 조정이 나타났지만, 현재는 1억 6800만 원대에서 지지를 확인하며 횡보 중입니다.

이동평균선을 보면, 단기선(5일선, 녹색)이 10월 중순 이후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며 20일선 위로 살짝 올라선 상태입니다. 60일선과 120일선이 아직 완만하게 상승 중인 만큼, 중기 흐름도 안정적인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거래량이 고점 형성 이후 점차 줄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상승 에너지가 다소 약화된 모습입니다.

기술적으로는 1억 6500만 원 부근이 단기 지지선, 1억 7500만~1억 8000만 원대가 강한 저항 구간으로 보입니다. 이 구간을 명확히 돌파하지 못하면 다시 조정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죠. 반대로, 1억 6800만 원 부근에서 거래량이 동반된 강한 양봉이 나온다면 재차 고점을 시도할 수 있는 위치입니다.

이더리움은 최근 한 달간 뚜렷한 추세보다는 박스권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8월 말 430만 원 부근에서 저점을 찍은 뒤 9월 초 645만 원까지 급등했지만, 이후 상승 탄력이 둔화되며 조정 구간에 진입했죠.

최근에는 590만 원 부근에서 가격이 움직이고 있으며, 단기 이동평균선(5일선, 녹색)이 20일선과 반복적으로 교차하며 방향성을 탐색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매수세와 매도세가 균형을 이루는 전형적인 횡보 구간의 패턴입니다.

중기적으로 보면 60일선과 120일선이 완만하게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어, 큰 흐름은 아직 우상향 구조 안에 있습니다. 다만 거래량이 뚜렷하게 늘지 않고 있어, 단기 상승을 이어가기 위해선 새로운 매수 에너지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기술적으로는 580만 원대가 단기 지지선이며, 630만~640만 원대가 저항 구간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구간을 강하게 돌파하면 다시 상승 추세로 전환될 수 있지만, 반대로 580만 원선을 하향 이탈할 경우 단기 조정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솔라나는8월 초 213,000원 부근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꾸준히 상승해 9월 말에는 350,000원까지 올라 최고점을 찍었죠. 이후 고점 부근에서 매물 부담이 커지면서 하락 조정이 이어졌고, 최근에는 290,000원 부근에서 방향을 탐색 중입니다.

단기 이동평균선(5일선, 녹색)은 20일선과 엇갈리며 횡보세를 보이고 있으며, 60일선은 완만한 상승 기울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기 흐름은 여전히 상승세지만, 단기적으로는 에너지가 약해져 관망세가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거래량도 최근 들어 줄어드는 추세라 강한 추세 전환의 신호는 아직 보이지 않습니다.

기술적으로는 280,000원이 단기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고, 310,000원 부근이 단기 저항선으로 보입니다. 이 구간을 뚫어내면 다시 상승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지만, 반대로 280,000원이 무너지면 추가 조정이 나올 여지도 있습니다.

거래량이 다시 살아나기 전까지는 28만~31만 원 사이에서 등락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세 전환의 확실한 신호는 거래량 증가와 함께 31만 원 돌파 여부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엑스알피(리플) 일봉 차트를 보면, 7월 초 급등 이후 긴 기간 동안 조정과 횡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7월 중순 약 2,940원에서 급등세가 시작돼 4,972원까지 상승했지만, 이후 상승 탄력이 약해지며 점차 하락세로 전환됐습니다.

최근 흐름을 보면 3,500원 부근에서 단기 저점을 형성한 뒤 3,900원까지 반등했으나, 4,000원대 초반에서 매물 부담을 받으며 상승이 잠시 멈춘 상태입니다. 단기 이동평균선(5일선, 녹색)이 20일선 위로 올라서며 단기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60일선과 120일선이 여전히 위쪽에 위치해 있어 완전한 추세 전환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중기적으로는 3,700원 부근이 주요 지지선이며, 4,100원대가 강한 저항 구간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구간을 돌파하지 못하면 조정이 다시 이어질 수 있고, 반대로 거래량을 동반한 상승이 나타나면 4,300원대까지의 회복 시도도 가능해 보입니다.

아직은 본격적인 상승 추세로 보기 어렵지만, 3,700원 지지를 유지한 채 거래량이 증가한다면 단기적으로 추가 반등 여력은 남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