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이번 주는 미국 연준의 10월 FOMC 회의를 통해 연준의 기준금리에 대한 방향성을 결정할 예정인데요. 시장에서는 0.25%p 인하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경주에서 2025 APEC 정상회의가 예정되어 있으며,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 주석간의 만남이 중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에 '미국 10월 FOMC 회의, 2025 APEC 정상회의, 한국 3Q GDP 속보치 발표 등 주간 증시 일정 및 주요 국가 경제·금융 이슈' 관련하여 언론 보도 및 국제금융센터 보고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미국 및 주요 국가 주간 증시 일정

언론보도 외




1) 10월 27일 (월)

미국 9월 내구재 주문

● 10월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제조업 지수

2) 10월 28일 (화)

● 미국 8월 S&P 케이스-실러 주택가격

● 미국 10월 콘퍼런스보드(CB) 소비자신뢰지수

● 미국 10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서비스업 지수

한국 3분기 GDP 속보치 발표

기업실적 : 비자, 시스코, 페이팔

3) 10월 29일 (수)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회의 개최

● 미국 9월 상품 무역수지

● 미국 9월 잠정 주택 판매

기업실적 :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플랫폼, 알파벳, 스타벅스

4) 10월 30일 (목)

미국 트럼프, 중국 시진핑 주석 정상회담

미국 3분기 GDP 예비치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 유로존 3분기 GDP 발표

기업실적 : 애플, 아마존, 마스터 카드 등


5) 10월 31일 (금)

미국 9월 개인소비지출(PCE) 발표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

● 유로존 개인소비지출 CPI 발표

● 실적발표 : 엑손모빌 등


02. 주요 국가 주간 경제·금융 이슈

국제금융센터 안남기 종합기획분석실장



1) 10월 FOMC 회의 개최. 금번 금리인하 이후 궤적 및 QT 계획에 주목

10월 28일 ~ 29일 FOMC 회의개최. 올들어 5회 연속 정책금리를 동결후 9월 첫 금리인하에 나선 가운데(4.00 ~ 4.25%) 금번에도 25bp 추가 인하 전망이 우세

- 관심은 결정문 및 기자회견에서 △12월 및 내년 금리인하 전망 △경제·고용시장 평가 △물가 전망 △연방정부 셧다운 영향 및 대체지표 이용 △트럼프 정책 영향 등에 대한 코멘트

- 이와 함께 금번 양적긴추(QT) 종료 여부도 주목. 최근 파월 발언 이후 빠르면 금번 종료 선언 기대가 커졌으며, 또는 계획 시사 후 12월 종료 가능성도 존재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26일차를 넘어가면서 공무원 급여 중단 및 인력 축소, 경제지표 발표 중단 등 차질이 빚어지고 있어 금주 양당간 함의 모색 여부 및 트럼프 대응에 촉각

● 당초 금주 예정된 미국 3분기 경제성장률은 발표 지연. 다만 10월 28일 컨퍼런스보드가 발표 하는 10월 소비자신뢰지수는 지난 9월 94.2에 이어 2개월 연속 하락할지 관심


2)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 미중, 한미 등 주요 정상간 회담에 주목

경주 APEC 정상회의가 10월 31일 ~ 11월 1일 "우리가 만들어 가는 지속가능상 내일 : 연결, 혁신, 번영" 주제로 개최. 아젠다는 경제정책, 디지털 혁신, 인적교류, 환경 등

- 10월 28일 "3B(Beyond, Bonder, Business)"를 주제로 열리는 CEO 서밋도 관심. AI, 반도체, 에너지 전환 등에 대한 논의와 젠슨 황, 샘 올트만 등 주요 거물들의 발언에 관심

● 한편 정상회의 기간 중 주요 정상간 회담에 주목. 10월 28일 미일 정상회담 외에 APEC 기간 중인 29일 한미 정상, 30일 미중 정상 회담 예정. 한중 정상회담은 11월 1일 예정

● 특히 미중 정상회담에서 관세 외에 희토류 수출 제한, 중국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 반도체 수출 통제, 대두 구매, 펜타닐 등을 논의할 예정이어서 협상 타결 여부에 관심. 또한 한미 정상회담에서의 관세 협상 진전 여부에도 촉각


3) 유럽중앙은행 및 일본은행 통화정책회의 개최

유럽중앙은행은 10월 30일 통화정책회의 개최. 올해 6월까지 4차례 금리인하 후 7월, 9월 동결한 가운데(수신 2.00%, 리파이낸싱 2.15%, 한계대출 2.40%) 금번에도 동결 전망 우세

일본은행 10월 29일 ~ 30일 금융정책회의 개최. 3~9월 금리동결(무담보익일물 콜금리 0.50%) 후 금번에도 동결 전망. 다카이치 정부 출범 후 통화정책 변화에 관심이며 경제전망도 발표(7월 FY2025 성장률 0.6%)


4) 유로존 3Q GDP 및 10월 CPI 발표

10월 30일 유로존 3분기 경제성장률 발표. 2분기 0.1%로 1분기(0.6%)에서 큰 폭 둔화 후 향방에 관심. 전기 위축된 독일(-0.3%), 이탈리아(-0.1%)와 프랑스(+0.3%)에 주목

10월 31일 유로존 10월 CPI(HICP) 발표. 헤드라인 지수는 지난 6~8월 전년동월비 2.0%에서 9월 2.2%로 반등, 근원지수도 9월 2.4%로 소폭 반등해 추가 상승 여부에 관심


5) 한국 3Q GDP 속보치 발표. 미국 빅테크 주요 기업들의 3Q 실적 발표

10월 28일 한국 3분기 경제성장률 속보치 발표. 1분기 마이너스에서 2분기 0.7%로 반등한 가운데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소비 회복으로 0.9% 내외로 상승 가능성

● 미국 3분기 어닝시즌 기간 중인 10월 29일 메타,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30일 애플,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 3분기 실적과 전망에 따라 사상최고 수준의 미국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


6) OPEC+ 회의 개최. 미국 어시아 제재 이후 추가 증산 가능성

OPEC+ 회의가 11월 2일 개최. 10월 5일 11월부터 일 13.7만 배럴의 원유 증산을 결정했으나 지난주 미국의 러시아 기업 제재로 유가가 반등한 상황(브렌트유 $61대→$66대)

● 특히 미국 제재 직후 중국 국영회사들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일시 중단하고 인도도 동조할 가능성이 있어 유가 상승 압박 속 OPEC+ 회원국들이 추가 증산에 나설 가능성에 무게


지금까지 '미국 10월 FOMC 회의, 2025 APEC 정상회의, 한국 3Q GDP 속보치 발표 등 주간 증시 일정 및 주요 국가 경제·금융 이슈' 관련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한 주도 여러분들의 성공 투자 여정을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