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미·중 정상회담 일정 확정에 따른 무역 갈등 완화 기대와 JP모건의 연준 양적긴축(QT) 조기 종료 전망, 그리고 테마주 강세에 힘입어 다우 존스(+0.31%), S&P500(+0.58%), 나스닥(+0.89%), 러셀2000(+1.27%)로 4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

개장 전에는 JP모건이 10월 FOMC에서 연준이 양적긴축(QT)을 조기 종료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면서, 시장 전반에 유동성 환경 개선 기대감이 유입됨

장 초반 증시는 보합권에서 출발한 뒤 상승세를 보임

특히 실망스러운 실적으로 급락 출발했던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CEO의 로보택시 및 옵티머스 로봇 비전 제시에 힘입어 하락분을 모두 만회하고 반등에 성공하자 기술주 상승을 견인

또한, JP모건의 QT 조기 종료 전망으로 유동성 기대가 부각된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트럼프 행정부가 양자컴퓨터 기업(아이온큐, 리게티, 디웨이브 등)에 자금 지원의 대가로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하자 관련 테마주들이 일제히 급등

장중에는 미국 정부가 중국의 무역협정 미이행에 대한 조사를 준비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으나, 30일 미·중 정상회담을 앞둔 협상용 카드라는 해석에 시장 영향은 제한적

오히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정상회담(30일) 일정을 공식 확정하자,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가 부각되며 3대 지수는 상승폭을 확대

섹터별로는 에너지주가 강세를 보였는데, 이는 인도에 이어 중국 국영 기업들도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중단한다는 소식에 국제 유가가 급등했기 때문

또한,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낸스 공동 창립자 자오창펑을 사면했다는 소식에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관련 자산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임

한편, 상무부가 CNBC를 통해 "현재 양자컴퓨터 기업과 지분 협상을 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으나, 이후 블룸버그가 다시 트럼프 행정부의 산업 지원 방안 검토 소식을 보도하면서 관련 테마주의 상승세는 일정 부분 유지됨

장 후반에는 일부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었으나 4대 지수 모두 견조한 상승세로 마감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인텔은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시간 외 거래에서 급등

전반적으로 전일 시장은 미·중 정상회담 확정에 따른 무역 갈등 완화 기대와 QT 조기 종료 가능성으로 인한 유동성 개선 전망을 반영하며, 기술·에너지·가상자산 등 주요 성장 테마 중심으로 강세를 보임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정책 불확실성보다 유동성 기대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연준의 10월 회의 결과가 향후 상승세 지속 여부를 가를 핵심 변수”라고 평가

주요 뉴스 헤드라인




中 4중전회 폐막 … 美제재 맞서 '첨단기술 자립' 가속

JP모건·BOA “연준, 대차대조표 축소(QT) 중단할 태세”

中 국영 석유회사, 美 제재 우려에 러시아산 원유 수입 보류

트럼프, 바이낸스 창립자 자오창펑 사면…“암호화폐 산업에 우호 제스처”

미 정부, 2020년 무역협정 중국 이행 여부 조사

美 "트럼프, 29일 방한해 한미 정상회담…30일 시진핑 회담"(종합)

국제유가, 러시아 석유 제재에 급등…WTI·브렌트 5% 상승(종합)

[뉴욕증시] 트럼프-시진핑 회담 확정에 상승 마감…나스닥 0.89%↑

리게티 10%-디웨이브 퀀텀 14%, 양자주 일제 폭등(종합)

인텔, 매출 예상치 상회·흑자 전환…"경영 정상화 시도 진전"(종합)

S&P500 맵




테슬라(TSLA)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이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EPS가 부진하자 급락 출발한 뒤, 일론 머스크 CEO가 로보택시와 옵티머스 로봇은 놀라운 외과의사가 될 것이고, 로보택시와 로봇이 빈곤이 없는 세상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며 희망찬 비전을 제시하자 낙폭을 모두 회복하고 상승 전환

IBM(IBM)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시장 예상치 상회, 가이던스도 긍정적으로 제시했으나 소프트웨어 부문 성장 전략의 핵심인 레드햇 매출액 성장률이 부진하자 급락했다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을 대부분 회복하고 소폭 하락 마감

애플(AAPL) 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후 지난 2월 4년간 5,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AI 서버 제품 출하를 시작했다는 소식과 함께 강보합 마감

엔비디아(NVDA), 우버(UBER) 엔비디아와 우버가 협력하여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히자 동반 상승

아이온큐(IONQ), 리게티컴퓨팅(RGTI), 디웨이브퀀텀(QBTS) 등 양자 컴퓨팅 기업들은 월스트리트저널(WSJ)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아이온큐, 리게티컴퓨팅, 디웨이브퀀텀 등 기업에 자금을 지원한느 대가로 상무부가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는 보도에 상승, 이후 미국 상무부가 CNBC 성명을 통해 현재 양자 컴퓨팅 기업들과 지분 투자 협상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며 반박하자 상승 폭을 일부 반납, 그러나 블룸버그에서 또 다시 미국 상무부가 주요 양자 컴퓨터 기업 경영진과 재정적 지원 계획을 논의했다고 보도하자 상승세를 일정 부분 유지하며 마감

알파벳(GOOG)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이 성명을 통해 "최대 100만개의 TPU(텐서 프로세싱 유닛)를 포함해 구글 클라우드 기술 활용을 확대한다"고 밝히자 강보합 마감

엑슨모빌(XOM), 셰브론(CVX), 코노코필립스(COP) 등 에너지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러시아 주요 석유기업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고 인도에 이어 중국 기업들도 이에 동참하자 국제 유가가 상승하면서 동반 상승

인텔(INTC) 상승 마감한 뒤, 장 종료 후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했고, 특히 최근 몇 년간 부진했던 PC용 x86 프로세서 수요가 회복되면서 전년 대비 +3%의 매출이 증가했고, 3분기 총이익은 41억 달러로 지난 해 같은 기간 166억 달러 순손실에서 흑자 전환하자 시간 외 급등

섹터 실적




미·중 회담 확정과 양적 긴축(QT) 조기 종료 가능성 제기에 대체로 상승

미국의 러시아 석유 제재로 국제 유가가 상승하자 에너지 섹터가 상승 주도, 이어서 산업재, 기술, 소비 순환재, 원자재 순으로 강세

금융, 헬스케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유틸리티 섹터는 강보합, 경기 방어주, 부동산 섹터는 약보합 마감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는 특별히 영향력 있는 지표 발표가 부재한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의 러시아 석유 기업 제재 발표로 국제 유가가 5% 대 급등하자 향후 물가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며 장단기 금리 모두 상승

환율




달러 지수는 소폭 상승하며 달러 강세

엔화, 원화 약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소폭 상승했으며 공포(Fear)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하락하면서 변동성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