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달러 시대, 왜 주식보다 현금이 유리하다는 말이 나올까
요즘 시장에서 자주 들리는 말이 있습니다.
“지금은 주식보다 현금이 낫다.”
단순한 보수적 투자 조언처럼 들리지만,
이 말엔 달러 강세와 글로벌 자금 흐름이 얽혀 있습니다.
‘강달러 시대’란 달러 가치가 다른 통화에 비해 강세를 보이는 시기를 뜻합니다.
즉, 미국 달러로 자산을 보유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이익이 되는 시기죠.
이런 흐름이 이어지면, 신흥국 자산에서는 자금이 빠져나갑니다.
왜냐하면 외국인 입장에선 달러로 환전했을 때
수익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한국 시장 역시 예외가 아닙니다.
원화 약세가 길어지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환차손을 피하려고
한국 주식과 채권에서 자금을 회수합니다.
결과적으로 외국인 매도세가 늘고,
주가는 환율 부담에 눌리게 됩니다.
그렇다면 개인 투자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첫째, 강달러 국면에서는 무리한 주식 비중 확대보다
현금 보유율을 높이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유리합니다.
환율이 안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추가 매수는
자산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금리 차이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미국 금리가 한국보다 높으면
달러 자산(예: 미국채, 달러예금)의 매력도가 높아집니다.
이때는 단순히 주식보다 “현금 + 달러자산”이 더 효율적인 조합이 될 수 있습니다.
셋째, 강달러가 장기화되면
결국 기업의 수입원가 상승과 해외 부채 부담으로 이어져
실적에도 영향을 줍니다.
즉, 강달러는 단순한 환율 이슈가 아니라
전반적인 투자 환경의 체질 변화 신호입니다.
지금은 단순히 주가를 보는 것보다
환율, 금리, 유동성을 함께 보는 시기입니다.
‘현금 보유’는 투자 포기 선언이 아니라
다음 기회를 위한 ‘전략적 대기’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