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코인이든
성장가능성이 크고 우량한것에
장기투자하면
반드시 성공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2004년 대출을 받아 서울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를 매수했던 투자자가 30억원에 가까운 시세차익을 거뒀다고 밝혀 화제다.
최근 부동산 커뮤니티 ‘부동산 스터디’에는 ‘현금 1억이 30억이 됐네요’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2004년 당시 현금 1억원 있었는데, 부족한 자금은 전액 대출받아 잠실주공1단지를 4억8000만원에 샀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에는 ‘미쳤다’는 소리까지 들었지만 지금 보면 큰 결심이었다”고 회상했다.
-------------------------------------------------------------------------------------------------------------------------
A씨가 공개한 매매계약서를 보면, 그는 2004년 11월 전용면적 43㎡(13평) 잠실주공1단지 소형 아파트를 매입했다.
이 아파트는 재건축을 거쳐 2008년 5678가구의 대단지 ‘잠실엘스’로 새롭게 탈바꿈했다.
재건축 과정에서 전용 43㎡ 아파트는 84㎡ 중형 아파트로 바뀌었고, 잠실엘스는 인근 리센츠, 트리지움과 함께 ‘엘리트’라 불리며 잠실 ‘대장주’ 아파트로 떠올랐다. 현재 전용 84㎡ 시세는 약 30억원에 달한다.
결과적으로 1억원의 종잣돈으로 21년 만에 30억원 아파트를 얻게 된 것이다. 대출금을 포함해 4억8000만원을 투자했다고 가정하면 단순 시세 수익률은 약 6.2배, 종잣돈 1억 기준으로는 약 30배에 달한다.
-----------------------------------------------------------------------------------------------------------
2.
부동산 투자의 정석을
보여주는 좋은예입니다.
수익률은
총 투자금 대비로는 6.2배
원금 대비로는 무려 30배에
달합니다.
이 글은 부동산스터디 카페를
통해 일파만파 퍼져나가
기사화까지 되었는데요.
기사를 읽고 댓글을 봤더니
대부분이 '화'가 나있더군요.
"저런 불로소득은 90프로 국고환수 해야함"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이런 기살 내보내나?"
"성공사례는 드물고 실폐사례는 널리고 널렸다.
하지만 성공사례만 주목받는다. 왜냐?
이 기사를 읽는 당신의 투자를 통해 돈을 벌어야 하니까 ㅋㅋㅋ"
3.
다들 무주택자이거나
부동산으로 수익을 얻어본적이
없으셔서 '상대적 박탈감'이
쎄게 온거 같습니다.
충분히 이해는 가지만
한편으로는 무섭네요.
부동산의 투자 유무에 따른
양극화라는게 단순히
자산격차만 가져오는게 아니라,
삶의 방향, 목표, 의식 등
이런 가치관까지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으니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