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국내 시간 13일 22:00 기준 원달러 환율은 1,427.80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0월 10일 1,436.00원을 최고가를 기록하고 조금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지난 10일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100% 관세 부과 발언으로 위험자산에서 안전자산인 금과 달러 수요가 증가하면서 원달러 환율도 급등하였습니다. 다만 금일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유하 메시지를 밝히면서, 국내 시간 13일 23:24시 기준 미국 증시는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원달러 환율 또한 조금은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경우 국내 외환 보유고 추이를 확인하는 것도 좋은 투자 습관인데요. 원달러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외환 보유고가 줄어드는 현상은 국내 투자 자산이 해외 유출되는 것으로 국내 경제 및 성장성을 부정적으로 분석하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식 및 금융시장이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에 '원달러 환율 급등. 9월말 외환보유액 및 추이' 관련하여 한국은행 보도 자료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9월말 외환보유액

한국은행


1) 2025년 9월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220.2억 달러로 전월말(4,162.9억 달러) 대비 57.3억 달러 증가

ㅇ 운영수익 증가, 분기말 효과로 인한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증가 등에 주로 기인

2) 외환보유액은 유가증권 3,784.2억 달러(89.7%), 예치금 185.4억 달러(4.4%), SDR 157.8억 달러(3.7%), 금 47.9억 달러(1.1%), IMF 포지션 44.9억 달러(1.1%)로 구성






3) 2025년 8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10위 수준




지금까지 '원달러 환율 급등. 9월말 외환보유액 및 추이' 관련하여 알아보았는데요. 현재의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것은 복합적인 원인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 보아야 할 것 같은데요.

중국 위안화 약세, 국내 경제심리 악화로 인한 원화가치 하락, 글로벌 정치 불안정 및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달러 강세, 미국과 한국의 금리 격차 그리고 가장 큰 원인은 미국과 우리나라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원화가치를 하락시키고, 달러 가치를 상승 시키는 요인등으로 작용한 것 같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둘씩 해결되면서 원달러 환율 또한 안정세를 찾아 가겠지만, 그 시간이 길어질수록 한국 경제 및 금융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커질 것 같네요.

미국과 한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해법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 같네요. 여러분들의 성공 투자 여정을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