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미국 증시 시황 체크

(S&P500)



주간 주요 지수/지표 체크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 대비)


나스닥

22,204.43 / -576.07(-2.53%)

S&P 500

6,552.51 / -163.28(-2.43%)

다우존스

45,479.60 / -1,278.68(-2.73%)

원/달러 환율

1,436.50원 / +26.00원(+1.84%)

공포 탐욕 지수

29p / -25p(공포 구간)


주간 주요 일정


월요일


📅 10월 13일 (월)

● 일본

→ 국가 체육의 날


화요일



수요일


📅 10월 15일 (수)

● 미국

→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Powell 연설

→ 소비자물가지수(MoM)(9월)

→ 근원 소비자물가지수(MoM)(9월)

→ 소비자물가지수(YoY)(9월)


목요일


📅 10월 16일 (목)

● 미국

→ 생산자물가지수(MoM)(9월)

→ 근원 소매판매(MoM)(9월)

→ 소매판매(MoM)(9월)

→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10월)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금요일


📅 10월 17일 (금)

● 한국

→ 한국 실업률(9월)


● 미국

→ 원유재고

→ 비농업고용지수(9월)

→ 실업률(9월)

→ 미국 평균 시간당 임금(MoM)(9월)


재투로 코멘트


안녕하세요 이웃 여러분~!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재투로입니다.


이번 주는 미·중 갈등이 다시 부각되며 글로벌 증시 전반이 흔들린 한 주였습니다. 특히 미국 기술주의 조정 폭이 커졌고 원·달러 환율 상승과 투자심리 악화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위험자산 전반의 매도세가 이어졌습니다. 주요 지표와 이번 주 경제 일정을 함께 정리해 보았습니다.

----------------------

📉 주요 지수 흐름 및 시장 요약

10월 둘째 주(10월 6일~11일) 미국 증시는 3대 지수 모두 2% 이상 하락하며 약세로 마감했습니다.

- 나스닥 : 22,204.43 (▼576.07p, ▼2.53%)

- S&P500 : 6,552.51 (▼163.28p, ▼2.43%)

- 다우존스 : 45,479.60 (▼1,278.68p, ▼2.73%)

이번 조정의 핵심 배경은 미국과 중국 간 기술 규제 갈등이었습니다. 미국 정부가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을 다시 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반도체 관련 종목들이 약세를 보였고 NVIDIA(-2.38%), AVGO(-4.06%), AMD(-3.29%) 등이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여기에 애플(AAPL -4.94%)과 테슬라(TSLA -3.80%) 등 주요 기술주도 조정을 받으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섹터 맵을 보면 기술·소비재 중심으로 붉은색이 넓게 퍼져 있으며 일부 금융과 방어 섹터만이 제한적인 상승을 보였습니다.


성장주에서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며 단기 모멘텀이 약화된 점이 이번 조정의 특징이었습니다.


환율은 1,436.50원으로 전주 대비 +26.00원(+1.84%) 상승하며 원화 약세가 지속되었고 이는 외국인 수급에도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공포 탐욕 지수는 29포인트로 전주보다 25포인트 급락하며 공포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

🌏 이번 주 주요 일정 (10월 3주차)

이번 주(10월 13일~17일)는 미국의 물가와 고용 관련 지표가 집중 발표됩니다. 미·중 갈등으로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연준의 금리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데이터들이 예정되어 있어 변동성 확대가 예상됩니다.

- 10월 15일(수)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MoM·YoY, 9월), 근원 CPI, 파월 의장 연설

- 10월 16일(목)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9월), 소매판매,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10월)

- 10월 17일(금)


미국 비농업고용지수(9월), 실업률, 평균 시간당 임금, 한국 9월 실업률 발표

이번 주는 특히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가장 큰 관심 포인트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다시 부각될 수 있고 반대로 높게 나오면 긴축 유지 우려로 시장이 다시 흔들릴 수 있습니다.

----------------------

📊 투자 시사점 및 대응 방향

1. 단기 과매도 구간 진입

공포 탐욕 지수 29p는 단기 저점 신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정책 리스크가 남아 있어 반등의 폭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섹터별 분산 유지

기술주 비중이 높은 포트폴리오는 일시적인 조정에 대비해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등 방어 섹터를 함께 고려할 시기입니다. 장기 투자자라면 현 구간에서의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합니다.


3. 환율 리스크 점검

1,430원대 환율은 달러 강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해외 ETF나 미국 직투 계좌 보유자는 환전 시점과 환차익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4. 지표 중심의 시장 대응

이번 주는 CPI, PPI, 고용지표 등 주요 이벤트가 몰려 있는 만큼 단기 매매보다는 지표 발표 이후 방향성을 확인하는 접근이 안정적입니다.

----------------------

이번 주는 변동성이 크지만 이런 시기일수록 조급함보다는 구조적 성장의 흐름을 보는 장기 관점이 중요합니다. 기술주가 단기 흔들리더라도 AI, 반도체, 에너지 전환 산업의 중장기 성장 축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웃 여러분들께서도 시장의 단기 움직임에 흔들리기보다는 자신만의 투자 원칙과 분할 매수 전략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재투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매매 및 종목을 추전하는 글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됨을 기억해 주세요~!

이 글을 읽어주시는 모든 분들의 성투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