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최근 불거진 AI 수익화 논란과 버블 우려를 잠재운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발언에 힘입어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나스닥, S&P500, 러셀2000이 상승한 반면, 다우 존스는 약보합으로 마감
개장 전에는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CNBC 인터뷰를 통해 최근 제기된 ‘AI 버블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며 투자심리를 회복시킴
젠슨 황은 “2000년 당시 인터넷 기업 전체의 기업가치는 400억 달러에 불과했지만, 현재 AI 인프라를 구축 중인 하이퍼스케일러들은 이미 2.5조 달러 규모의 실질적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며 “AI는 새로운 산업혁명의 시작”이라고 강조
또한 최근 AI 수익성 논란의 중심에 있던 오라클에 대해서도 “초기에는 부담이 있겠지만, 시스템의 수명 주기 동안 놀라운 수익성을 보일 것”이라며 옹호 입장을 밝힘
그는 일론 머스크의 xAI에 20억 달러를 투자 중이라고 밝히며, 코어위브 역시 “최근 진행한 투자 중 가장 성공적인 사례 중 하나”라고 평가
한편, 경쟁사 AMD의 오픈AI 지분 참여에 대해서는 “창의적이지만, 단일 칩 성능으로는 엔비디아를 따라잡기 어려울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침
장 초반에는 주요 지수 모두 상승 출발한 가운데 젠슨 황의 발언에 힘입어 AI 관련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임
엔비디아를 비롯해 AMD, 마이크론, TSMC 등 반도체주가 급등했고, 전일 급락했던 오라클도 반등에 성공
M7 기업 중에서는 애플, 아마존, 테슬라, 메타 등이 상승세를 이어가며 지수 상승을 견인
장중에는 연준의 9월 FOMC 의사록이 공개되었는데, 다수의 위원들이 고용시장 하방 위험 확대를 이유로 25bp 금리 인하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남
연말까지 추가 완화 가능성도 언급되었으나,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에 대한 경계가 여전히 강조되면서 국채금리가 상승하자 다우 존스와 러셀2000은 상승 폭을 일부 반납
장 후반에는 연방정부 셧다운이 8일째 지속되는 가운데 상원에서 공화당과 민주당이 각각 발의한 임시예산안을 모두 부결시켰지만, 시장 반응은 제한적
오히려 AI 낙관론이 불안을 상쇄하며 기술주 중심의 매수세가 강화되었고, 나스닥과 S&P500은 다시 한 번 신고가를 경신
러셀2000도 반등세를 보이며 상승 마감한 반면, 다우 존스는 에너지·필수소비재·주택건설 업종의 부진으로 약보합권에서 마감
한편 셧다운 장기화와 지정학적 불안 속에서 안전자산 선호가 확대되며 금 가격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
전문가들은 이번 기술주 랠리가 과거 닷컴버블과 달리 실질적 실적 성장과 견조한 수요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
다만 일각에서는 AI 모멘텀의 단기 피로감과 반도체·소프트웨어 수요의 지속성에 대한 경계심도 함께 제기됨
머스크 xAI, 엔비디아 참여 속 자금 조달 최대 200억 달러로 확대
엔비디아 젠슨황 "AMD, 오픈AI에 10% 지분 제공 결정 놀라워"
젠슨 황 “닷컴 버블과 다르다”…순환 투자 논란 반박 [글로벌마켓 A/S]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미중 AI 격차 크지 않다…정교한 전략 필요”
연준 마이클 바 "대형은행 규제 완화, 지방은행에 위협적"
셧다운 8일째 미국, 정부 운영 정상화할 임시예산안 또 부결
연준, 금리 인하에도 “인플레이션 여전”…신중론 유지
[뉴욕유가] 우-러 종전 기대감 약화…WTI 1.3%↑ 마감
[뉴욕증시] 젠슨황이 불지핀 ‘AI 낙관론’…S&P500·나스닥 최고치
[美특징주]코어위브, AI 개발자용 신기술 공개…주가 8% 급등
엔비디아(NVDA) 젠슨 황 CEO가 CNBC 인터뷰에서 최근 6개월 동안 AI 컴퓨팅 수요가 대폭 증가하고 AI 모델이 단순한 질문 응답에서 복잡한 추론까지 가능해지면서 연산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고, 특히 최신 AI 칩 블랙웰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다고 강조하는 등 AI 버블론을 정면으로 반박하자 상승
AMD(AMD)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최근 AMD와 오픈AI에 지분 10%를 인수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 것에 대해 놀랍고 기발한 아이디어라고 생각한다고 발언하자 상승
오라클(ORCL) 최근 불거진 AI 마진 우려에 대해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신기술을 도입할 때 초기에는 수익을 내지 못할 수 있지만, 이후 시스템이 자리를 잡으면서 수익성이 놀라울 정도로 높아질 것이라고 발언하자 상승
코어위브(CRWV)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코어위브에 투자한 것에 대해 최근에 한 정말 멋진 투자 중 하나라고 평가했고, 개별 개발자가 AI 모델을 학습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서버리스 강화학습 서비스'를 공개했다는 소식에 상승
아마존(AMZN) 오는 12월부터 LA지역을 대상으로 '약국 키오스크'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발표하자 상승
AST스페이스모바일(ASTS) 버라이즌과 2026년부터 우주 기반의 셀 서비스에 대한 제공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상승
시스코시스템즈(CSCO) AI 데이터센터 간 초장거리 연결을 위해 설계된 신형 네트워킹 반도체 'P200'을 공개하자 상승
제너럴모터스(GM) 연방 정부의 전기차 세액공제가 종료된 이후 전기차 리스 판매를 유지하기 위해 약 6,000억 달러 규모의 자체 인센티브를 지급한다는 소식에 하락
JP모건(JPM), 뱅크오브아메리카(BAC), 웰스파고(WFC) 등 대형 은행들은 마이클 바 연준 이사가 트럼프 행정부의 대형은행 감독 완화는 실수라고 경고하자 하락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발언으로 AI 강세 심리가 회복되면서 기술주가 상승 주도, 이어서 원자재, 산업재, 유틸리티 순으로 강세
러-우 종전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유가가 상승했음에도 에너지 섹터는 하락
헬스케어, 소비 순환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는 강보합, 부동산, 경기 방어주, 금융 섹터는 약보합 마감
미국 국채는 연준의 9월 FOMC 의사록에서 다수 위원들이 노동 시장 둔화와 경기 리스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5bp 금리 인하에 찬성했고, 올해 두 차례의 추가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고 판단했으나,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유지될 위험이 있다며 완화 속도 조절의 필요성을 강조하자 장단기 금리 모두 소폭 상승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원화, 엔화 강세
공포 탐욕 지수는 큰 변동 없이 중립(Neutral)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하락하면서 변동성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