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어떤게 맞을까요?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흑백의 원리인가요?



저의 예를 잠깐 들어보면,

내가 직장생활을 처음 시작한

2010년도...

동양종금(현 유안타)에 잠깐 있다가

바로 현대차증권으로 이직 후 2년 근무하다가

다시 하나은행으로 이직함!

현대차증권은 연봉도 상당히 높았고,

내가 좋아하는 주식도 맘놓고 할 수 있어서

그 당시 2년동안 정말 투자시드도 많이 키우고

내 주식 역량도 맘껏 키울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왜 굳이 하나은행으로 이직했을까요?




그건 바로 워라벨이 안됬기 때문입니다.

굳이 일이 없는데도 다들 야근하는 분위기에

클라이언트 영업하는 날이 아니면

팀웍을 다진다는 핑계로 잦은 회식에

집에 10시 전에 들어간게 손에 꼽을 정도였죠!

(참고로 전 술마시는걸 극도로 싫어합니다)

물론 하나은행도 지점별로 다르긴 하지만

전 본사에 있어서 그런지 야근이 거의 없어 그건 만족스러웠습니다!

지금도 현대차증권 당시 선배 동기들과 연락하는데

지금은 분위기가 많이 바뀌어 18시 전에 다 퇴근한다더군요

특히 신입들은 아무눈치 안보고 그냥 인사하고 가는데,

제 동기랑 선배들(40~50대)은 쭈뼛쭈뼛 눈치보다가

퇴근을 한다더군요.






그말을 들으니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구나라는걸 체감하면서

한편으로는 너무 후회됬었습니다.

"괜히 그만뒀다..." 라구요.

그냥 붙어있었으면 지금 연봉 2억(원천징수 기준)은 찍었을텐데 하고 말이죠.

인생은 늘 선택의 기로에 있는데

이렇게 잘못된(?)선택을 하면 후회하게 마련이죠


물론 모든 직장이 다 장단점이 있어

월급 이외의 부수적인 부분은

지금 직장에도 상당히 만족하고 있어 다행이지만요.

각설하고,

증권사, 은행 뿐만 아니라 대기업에서도 현재는

칼퇴를 굉장히 권고하고 있습니다.

현대로템, 현대오토에버 등 현대차 그룹 대기업에 다니는

친구들의 말에 따르면 17시에는 컴퓨터가 off 가 된다네요

(출근시간별로 다름, 8시간 기준)

그리고 외국도 몰라서 하는 말인데

다들 퇴근하고 집에서 가족들과 식사후

소파에서 랩탑으로 다들 일합니다.

제가 알고있는 미국인 컨설턴트들 다 그래요...

아래 투자은행 다니는 사람도 그렇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