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이번 주 미국 증시는 경제지표 보다는 FOMC 의사록 공개, 파월 연준의장 지역은행 컨퍼런스 연설 및 10월 기대 인플레이션 등 금리 인하 방향성에 대한 이슈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데요.

주요 경제지표에 대한 예정이 없는 대신,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 또한 이번 주 미국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에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FOMC 의사록 공개, 파월 연준 의장 연설 등 주간 증시 일정 및 주요 국가 경제·금융 이슈' 관련하여 언론 보도 및 국제금융센터 보고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미국 및 주요 국가 주간 증시 주요 일정

언론보도 외




1) 10월 6일 (월)

미국 연방정부 예산안 표결 재개 예상

2) 10월 7일 (화)

미국 8월 수출 및 무역수지

●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 연설

● 미국·캐나다 정상회담 개최

3) 10월 8일 (수)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의사록 공개

● 마이클 바 연준 이사 연설

● IMF 총재 커튼레이저 연설

● 뉴질랜드 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

4) 10월 9일 (목)

●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미국 8월 도매 재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

● 필리핀 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

5) 10월 10일 (금)

● 미국 10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미국 1년 기대인플레이션

● 노벨위원회,노벨 평화상 발표


02. 주요 국가 주간 경제·금융 주요 일정

국제금융센터 안남기 종합기획분석실장



1)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에 주목. 약가 협상, 농가 지원, 가자 협상도 관심

● 10월 1일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이후 1일과 3일 상원의 예산안 표결이 부결된 가운데 빠르면 10월 6일 표결이 재개될 전망. 양당간 이견이 좁혀질지 촉각

- 상원에서 통과되어도 하원이 금주 지역구 주간으로 휴회여서 긴급 재소집이 이루어질지도 관심

●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주 의약품 100% 관세 계획을 연기하고 화이자와 약값 인하를 발표했으며 금주에도 협상 확대 예상. 또한, 미국 재무부는 10월 7일 농가 지원책을 발표할 예정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월 7일 카니 캐나다 총리와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예정. 경제 및 안보 관계가 주요 논의가 될 전망이며, 양 정상간 갈등이 완화될지 관심

● 한편 지난주 하마스가 미국이 제시한 가자지구 전쟁 종식안에 대해 무장해제와 이스라엘군 일부 철수를 제외한 일부만 수용한다는 입장을 보여 트럼프와 이스라엘의 반응에 주목

- 노벨위원회는 10월 10일 노벨 평화상 수상자를 발표할 예정이어서 트럼프 반응도 관심


2) 연준 FOMC 의사록 공개. 금주 차기 연준의장 면담 완료

연준은 10월 8일 FOMC 의사록을 공개. 지난 9월 16일 ~ 17일 회의에서 올들어 처음 정책금리를 25bp 인하하고 연내 50bp 인하를 전망한 것과 관련한 세부 논의를 가늠

- 또한 ▲파월이 언급한 위험관리성 금리인하 ▲통화 위원간 정책금리 전망에 대한 이견 ▲고용 하방 위험 증가 평가를 둘러싼 논의도 관심

파월 연준의장은 10월 9일 연준 지역은행 컨퍼런스에서 연설하며 이 외 미란 및 보우먼 이사, 보스틱, 카시카리, 무살렘, 굴스비 연은총재의 연설도 예정. 향후 금리인하 속도, 경제 및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발언에 관심

●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금주 중 차기 연준의장 후보자들에 대한 면담을 끝낼 예정. 이후 재무부는 3~5명의 최종 후보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할 전망


3) 미국 10월 미시건심리지수 및 기대인플레이션 발표

●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금주 9월 고용동향, 8월 교역지표 발표는 연기. 10월 10일 발표될 10월 미시건대 심리지수 잠정치는 전월 55.1에 이어 3개월 연속 감소할지 주목

1년 기대인플레이션은 지난 5월 6.6%에서 7월 4.5%까지 하락했으나 8월 4.8%, 9월 4.7%로 소폭의 등락을 지속하고 있어 금번 방향에 관심


4) IMF 총재 커튼레이저 연설. 다음주 세계경제 전망에 대한 힌트 예상

●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10월 8일 "글로벌 경제 전망 및 정책 우선순위"라는 주제로 연설. 다음주 세계경제 전망 발표를 앞두고 이를 가늠케 하는 커튼레이저 연설

● 지난 7월 금년과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각각 3.0%, 3.1%로 상향조정한 후 이번 조정방향에 대한 시그널과 함께 트럼프 관세, 주요국 재정 및 통화정책, 금융시장 대응, AI 발전 등에 대한 발언에 관심


5) 일본 신임 자민당총재의 행보에 주목. 유럽의회는 EU 집행위원장 신임투표

10월 4일 일본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다카이치 前경제안보 담당상이 당선되어 10월 15일경 국회 총리 지명 선거 예정. 당선 이후 주요 정책 및 연정 확대 관련 발언에 주목

● 유럽의회는 10월 6일 폰데어 레이엔 EU 집행위원장에 대해 극우 및 좌파정당이 각각 제출한 2건의 불신임 안건을 토론하며 9일 표결할 예정. 7월에 이는 두번째 시도이나 의회 허들이 높아 부결될 가능성


6) 뉴질랜드, 태국, 필리핀 금리 결정. 뉴질랜드와 태국의 금리인하 폭에 관심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10월 8일 통화정책회의 개최. 올들어 4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한 가운데 경기부양 등을 위해 지난 8월에 이어 추가 금리인하에 나설 전망(3.0%)

태국 중앙은행은 10월 8일 새정부 출범 및 신임총재 취임 상황에서 경기 부진, 바트화 강세 대응을 위해 큰 폭의 금리인하도 가능(1.5%). 필리핀 중앙은행도 10월 9일 4회 연속 금리인하 가능성(5.0%)


지금까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FOMC 의사록 공개, 파월 연준 의장 연설 등 주간 증시 일정 및 주요 국가 경제·금융 이슈' 관련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한 주도 여러분들의 성공 투자 여정을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