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 서울경제신문
방산 빅4 매출 첫 40조 넘는다
국군 창설 77주년을 맞은 올해 국내 4대 방위산업 기업 매출 총액이 처음으로 4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해외 수출이 급증하면서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자 수익성도 빠르게 개선
앞으로 대규모 추가 수주에 대한 가능성도 커지고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 K방산의 입지는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전망
3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LIG넥스원(079550)·한국항공우주(047810)(KAI)·현대로템(064350) 등 국내 방산 4개 업체의 올 해 합산 매출액은 총 40조 9172억 원으로 추정
이는 지난해 이들 4개사가 기록한 매출액(22조 5267억 원)보다 81.6% 급증한 규모. 특히 2021년(12조 7984억 원)과 비교하면 불과 4년 사이에 3배 이상 늘어났다.
영업이익도 크게 증가. 올 해 4개사 추정 영업이익은 총 5조 2310억 원으로 전년(2조 6590억 원)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났음. 특히 2021년(5128억 원)과 비교하면 무려 10배 이상 이익 규모가 커졌음
국내 방산 빅4의 고속 성장은 유럽·중남미 등에 해외 수출이 급증하고 있어서임
실제로 전자공시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방산 4개사의 올 상반기 기준 합산 매출(17조 7500억 원)에서 수출 비중은 10조 5900억 원으로 60%에 달함
2021년 수출 비중이 35%에 불과했던 것을 고려하면 4년 만에 2배 가까이 증가
올해 말까지 해외 공급 이행 물량이 추가적으로 매출에 반영되면 수출 비중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
수익성도 빠르게 개선. 2021년 방산 4개사의 영업이익률은 4.0%에 불과. 하지만 올해 예상되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바탕으로 한 영업이익률 추정치는 12.8%에 달함
글로벌 방산 기업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 실제로 미국의 방산업체 록히드마틴의 경우 올해 분기 영업이익률이 8~10% 선이고 항공우주 방산기업인 노스럽그루먼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률이 13.8% 정도를 기록
애초 국내 방산업체들은 저가 수주와 수주 공백 등으로 낮은 수익성이 늘 문제로 지적돼왔음. 하지만 2020년대 이후 대규모 해외 수출이 본격화되기 시작하면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했고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 무기 비중을 확대하면서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됐다는 분석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예전에는 국내 사업 중심이었고 마진이 크지 않았다”며 “초기 연구개발에 따른 비용 부담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양산 단계에 들어서 생산량이 늘면서 원가가 낮아진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설명
미래 전망도 밝음. 국내 방산업계가 현재 4~5년 치 수출 물량을 확보한 데다 유럽과 중동·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신규 수주를 협의하고 있어 실적 성장세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방산 4사의 합산 수주 잔액은 6월 말 기준 103조 4700억 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100조 원을 넘어섰다. 2021년 42조 2200억 원 수준이던 수주 잔액이 약 3년 6개월 만에 2.5배 가까이 증가한 셈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군 현대화 작업에 나선 사우디아라비아에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을 총괄하는 현지 법인을 이달 설립한 데 이어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방위부와 합작법인(JV)을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음. 특히 루마니아 레드백 장갑차 입찰이 하반기 시작돼 내년 최종 계약자가 발표될 것으로 보이며 천무의 유럽과 중동 등지에서 판매 확대도 기대하고 있음
KAI는 미국 해군 훈련기 사업의 유력 후보이며 현대로템은 폴란드에 이어 이라크에 K2 전차 수출을 타진하고 있음
아울러 LIG넥스원은 비궁 유도로켓이 미국 시험을 통과하며 연내 계약 가능성이 제기. 서재호 DB증권 연구원은 “한국 수출 규모는 2021~2024년 평균 119억 달러에서 2025~2030년 227억 달러로 1.9배 증가할 여력이 있다”고 분석했음
<시사점>
오늘 국군의 날을 맞이해 한국 방위산업에 대해 조명해 봅니다. 올해 한국 방위산업은 사상 유례없는 호황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KAI), 현대로템, 한화시스템 등 이른바 ‘방산 5사’의 영업이익이 상반기에만 2조 3천억 원을 넘겼습니다. 올 한해 영업이익은 5.2조 원에 달하며 매출은 첫 40조 원을 넘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각국이 군비 확충에 나서고, 나토 회원국들이 국방비 지출을 확대하면서 한국 방산 기업들은 신뢰성 있는 공급자이자 가격 경쟁력을 갖춘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K9 자주포와 K2 전차, 정밀유도무기, 레이더 시스템 등은 이미 세계 시장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무기체계가 됐습니다.
글로벌 군비 증강 기조가 계속되고 있는데다, 이미 4~5년치의 수출물량을 확보했고, 시장도유럽, 중동, 중남미 등으로 확대일로에 있어 당분간 실적 성장세는 가파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이 같은 호황이 미래에도 영원히 지속될 것이라 확신하기는 어렵습니다. 한국 방산은 여전히 핵심 부품과 소재를 해외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고, 수출 대상국의 정치적 불안과 무역 규제에 따라 언제든지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항공 엔진 분야와 같이 공동개발(RSP) 방식이 적용되는 사업에서는 대규모 손실이 계속 유지될 소지도 있습니다(2025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RSP 손실은 약 700~800억 원 수준. 손익분기점은 2030년 예상). 또한 최근 방산 주가가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일부 기업은 실적 대비 과열된 평가를 받고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한국 방산산업에 지금 필요한 것은 단기 호황에 취하지 않고 지속 가능한 성장 체계를 구축 확대하는 일입니다. 첫째, 핵심 부품과 소재의 국산화를 가속해 공급망 리스크를 줄여야 합니다(한국은 항공기 엔진부문에서 미국, 전차의 핵심부부품에서 유럽, 드론 레이더기술에서 이스라엘, 탄소섬유 합금강에서 일본 등에 의존) . 둘째, 무인체계, 인공지능, 위성, 전자전 등 첨단 분야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합니다(우크라이나전쟁에서 보듯이 현대전은 드론, 무인기 인공지능 전쟁임이며, 전자전임). 셋째, 수출 대상국을 다변화하고 현지 생산·협력을 강화해 외풍에 흔들리지 않는 체질을 만들어야 합니다.
한국 방산은 이제 세계 10대 방산국가의 반열에 오르며 글로벌 플레이어로 도약했습니다. 앞으로 5년은 기회의 창이 열려 있는 시기입니다. 한국 방산이 장기적 안목에서 전략적 투자를 진행한다면 세계 5대 방산 국가로 올라서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미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을 넘기는 어려운 실정이나 이탈리아 독일 영국을 앞지르는 것은 가능할 것 같습니다).
<관련 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1/0004539543?date=2025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