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마감 시황 체크 ★

2025년 9월 30일

  • 3대 증시 상승

  • 셧다운 우려에 환율 내림세 지속

  • 미국, 정부 셧다운 발생 시 경제지표 발표 중

  • 암호화폐 반등세

  • chat GPT 결제 기능 추가

■ 미국 증시 마감 (다우존스/ 나스닥/ S&P 500)


★ 미국 증시 섹터별 흐름 ★

  • 원자재 및 임의 소비재 주 상승

  • 에너지 주 하락




★ 오늘의 특징 주 ★

챗GPT 즉시 결제 기능 , 엣시와 쇼피파이 주가 급등

  • OpenAI, 챗GPT에 “즉시 결제(Instant Checkout)” 기능 통합 → 사용자가 챗GPT 내에서 직접 구매 가능

  • 현재 적용 범위: 미국 엣시(Etsy) 판매자 → 미국 내 챗GPT Pro·Plus·무료 로그인 사용자 대상

  • 곧 100만 명 이상의 쇼피파이(Shopify) 판매자도 추가 예

  • 소식에 따라 엣시 주가 +4.7%, 쇼피파이 주가 +4.3% 급등

  • 챗GPT의 기존 제품 검색 기능에 결제 기능을 확장 → AI 기반 전자상거래 강화

  • OpenAI, Stripe와 협력해 개발한 Agentic Commerce Protocol을 오픈 소스로 공개 → 더 많은 판매자·개발자가 결제 기능 통합 가능

  • 시장 반응: 투자자들은 이번 통합이 트래픽·매출 증가와 새로운 고객 확보 기회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

  • 맥락: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AI 기술로 구매 여정 간소화·경험 개선을 적극 모색하는 흐름과 맞물림

알리바바 목표 주가

  • 모건 스탠리: 알리바바 목표주가 165달러 → 200달러 상향, 투자등급 비중확대 유지

  • 클라우드 성장 전망 강화

  • 자본지출 전망: 연간 1,300억~1,350억 위안 (이전 1,000억~1,080억 위안)

  • 수요 측면: “토큰 수가 2~3개월마다 두 배”로 늘어나는 견조한 수요

  • 주요 발전 사항

신 플래그십 모델 Qwen3-Max

Bailian 에이전트 플랫폼 업그레이드

엔비디아와 물리적 AI 파트너십

브라질·프랑스·네덜란드 데이터센터 신설

  • 핵심 사업 모멘텀

F2Q·F26 CMR 성장률 10% 유지 전망

테이크레이트 개선 + 퀵커머스 기여도 확대

경영진: 10월까지 단위 경제성 손실 절반 축소 목표 정상 궤도

👉 모건 스탠리는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성장 가속화 + 핵심 사업 안정적 성장을 근거로 목표주가를 크게 올리며 강세 전망을 재확인.

★ 발표된 경제 지표 ★

■ 8월 미국 잠정 주택 판매, 반등

  • 8월 미국 잠정 주택 판매, 전달 대비 +4.0%,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

  • 시장 예상치(0.3% 증가)를 크게 상회

  • 7월 수치는 **-0.4% → -0.3%**로 소폭 상향 조정

  • NAR 지표는 거래 완료가 아닌 매매 계약 건수 기준 → 주택시장 선행지표 역할

  • NAR 수석 이코노미스트: 낮아진 모기지 금리가 주택 구매 계약 증가의 주요 요인

■ 트럼프 관세 부과, 영화100%

  • 트럼프 대통령, 가구 산업 회복 위해 “미국에서 가구 생산하지 않는 국가에 관세 부과” 언급 → 구체적 방식은 불분명

  • “중국 등 외국에 가구 산업을 빼앗긴 노스캐롤라이나를 되살리겠다” 강조

  • 별도 게시물에서 외국 영화에 100% 관세 부과 위협 재확인 (지난 5월 이어 재차 언급)

  • 그러나 투자자 반응은 미미 → 넷플릭스·워너디스커버리 변동 없음, 디즈니 +1.1% 상승

영화 관세 부과 현실성 낮음:

- 헐리우드 영화는 글로벌 제작 구조 (해외 촬영·후반 작업·자금 조달 등)

- 캐나다·영국·호주 등 해외 제작 허브 세금 혜택 제공

- 아시아·유럽은 공동 제작 일반화

  • 미디어 업계는 영화 관세에 강력 반발

  • 트럼프, 이미 지난주 가구 30%, 주방 수납장·세면대 50% 수입세 발표 → 10월 1일 발효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