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 숨은 금융자산이 약 18.4조원 이라고 합니다. 은행, 보험, 주식, 포인트 등 다양한 금융 자산을 한번에 찾을 수 있도록 채널을 개설하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는데요.
숨은 금융자산이란
금융소비자가 오랫동안 잊어버리고 찾아가지 않은 예·적금, 보험금, 투자자예탁금(증권계좌), 신탁, 카드포인트 등 금융자산으로, 25년 6월말 기준 '숨은 금융자산'은 18.4조원으로 집계되엇으며, 그 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에 전 금융권 공동으로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을 9월 15일 ~ 10월 31일까지 실시한다고 합니다.
이에 '숨은 금융자산(예금·적금, 보험금, 증권계좌, 신탁, 카드 포인트 등) PC 또는 휴대폰 간편 조회 및 찾는 방법' 관련하여 금융위원회 및 금융감독원 보도 자료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숨은 금융자산 조회 방법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 금융소비자는
1) 인터넷 홈페이지 '파인(fine.fss.or.kr)'에 접속 "내계좌 통합조회 및 관리"에 접속
2) 스마트폰(휴대폰)에서 '어카운트인포'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하여 '숨은 금융자산'을 조회
3) 개별 금융회사의 영업점, 고객센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숨은 금융자산'을 확인 할 수 있다.
● 1년 이상 거래가 없는 잔고가 100만원 이하인 예금, 적금, 투자자예탁금(증권계좌), 신탁계좌의 경우 즉시 환급받을 수도 있다. 동일한 경로를 통해 "내 카드 한눈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미사용 카드포인트도 조회하고 현금화할 수 있다.
1) 인터넷 홈페이지 '파인' 숨은 금융자산 찾기 (PC 조회)
① PC 조회 인터넷 홈페이지 fine.fss.or.kr 접속하여 "내 돈 관리 → 내 계좌 통합조회 및 관리" 메뉴 접속 후 "내 계좌 한눈에" 서비스 접속.
● '내 계좌 한눈에' 메뉴에 접속하여 본인인증 후 이용합니다. 본인인증은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및 휴대폰 인증을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
② "계좌내역 조회" 화면에서 본인의 보유계좌수를 기관별, 계좌 활성여부별, 상품유형별로 구분하여 한 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
③ "계좌내역 조회" 화면에서, "상세조회"를 선택하면 해당 은행 계별 계좌의 은행명, 계좌번호, 지점명, 상품명, 개설일, 최종입출금일, 잔고, 만기일 등 세부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④ "계좌내역 조회" 화면을 통해 확인한 소액 비활동성 계좌에 대해서는 "잔고이전·해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금융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 인증 필요)
● 잔고이전시 계좌 잔액은 본인 명의 수시입출금식 계좌에 잔고이전, 또는 서민금융진흥권 기부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스마트폰(휴대폰) 숨은 금융자산 찾기 어플리케이션 이용방법 (어카운트 인포)
① '어카운트인포'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어플리케이션 설치가 안되어 있을 경우, 앱스토러 또는 구글플레이에서 다운로드) 홈 화면에서 '내 계좌 한눈에' 메뉴를 선택합니다.
② 금융기관별 계좌내역을 조회
③ 계좌별 세부내역을 확인하고, 해지를 원하는 100만원 이하 비활동성 계좌(1년 이상 거래내역 없는 계좌)에 대해 "계좌해지신청"을 합니다.
● 해지예상금액을 확인하고 해지 신청을 완료합니다. (새지 신청시 금융 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 필요)
지금까지 '숨은 금융자산(예금·적금, 보험금, 증권계좌, 신탁, 카드 포인트 등) PC 또는 휴대폰 간편 조회 및 찾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저도 예전에 사용했던 몇몇 증권계좌에서 남아있던 예수금들을 합쳐보니 약 1만 5천원 정도가 숨어있어, 바로 계좌이체 해서 찾았네요. 그리고 오랫동안 현재 쓰지 않고 있던 은행계좌, 예전에 이벤트 때문에 가입했지만 사용하지 않은 오래된 증권계좌들을 해지 처리 하였네요.
여러분들도 한번 자신의 숨은 금융자산을 확인해 보세요. 여러분들에게 행운이 함께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