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밸런싱(Rebalancing)


리밸런싱은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을 다시 조정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쉽게 말해, 오랫동안 보유한 종목이나

ETF의 가격이 변하면서 처음 설정했던 비중이 깨질 때

이를 원래 목표 비율로 되돌리는 것입니다.



===========


예를 들어, 한 투자자가 주식 60%,

채권 40% 비중으로 자산을 운용한다고 가정합시다.


이후 주식시장이 급등해서 주식 비중이 70%까지 올라간다면 위험이 과도하게 커집니다.


이때 일부 주식을 매도하고 채권을 매수해


다시 60:40으로 맞추는 것이 리밸런싱입니다.



=========



리밸런싱은

개인 투자자뿐 아니라 기관·연기금·ETF에서도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특히 대규모 펀드들은 분기·반기 단위로

정기적인 리밸런싱을 수행합니다.



이 때문에 특정 시점(예: 분기 말, 반기 말)에는 리밸런싱 매물이 쏟아지며

시장에 단기 충격을 주기도 합니다. 커뮤니티에서 자주 언급되는

“분기 말 외국인 수급 변화”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리밸런싱의 효과는 단순히 비중 조정이 아니라,

리스크 관리와 수익률 안정화입니다.



상승장에서 일부 차익 실현을 통해 위험을 줄이고,

하락장에서 저가 매수로 평균 단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



반대로 리밸런싱을 소홀히 하면 자산이 한쪽으로 쏠려 변동성이 커집니다.


실전에서는 정기 리밸런싱과 전략적 리밸런싱이 구분됩니다.



===========



전자는 일정 기간마다 기계적으로 맞추는 방식,

후자는 시장 상황을 고려해 비중을 유연하게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투자 성향에 따라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개인 투자자도 ETF나 펀드를 활용해 손쉽게 리밸런싱 전략을 접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