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기서 말하는 경제상황은

아파트 부동산 외

오피스텔 등 비주택 부동산을 일컫습니다.

올초부터 시작된

서울 아파트의 가격 반등 및

신고가 축포가 연이어 터지는 반면에

지방 아파트 및 상업용부동산인

오피스텔 및 상가는 미동도 하지 않았었죠.

그런데 오피스텔 가격이

드디어 오르기 시작했다는 소식입니다.


---------------------------------------------------------------------------------------------------------------------------------------------------------------------------------------------------------------------

은행 예금 금리가 내리자 상업용 부동산으로 투자자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연 2~3%대 정기예금에 목돈을 넣어두는 것보다 연 4%대 수익률에 시세차익도 기대할 수 있는 수익형 부동산이 나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는 8월 대비 0.02% 올랐다. 8월 0.03% 올라 2022년 이후 2년여 만에 반등하며 상승세를 타고 있다.

특히 전용면적 60~85㎡ 위주로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에서 이 면적 매매가 상승률은 지난달 0.54%로, 7월부터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



2.

서울 아파트 가격상승의 온기가

서울 오피스텔로 옮겨가는 상황입니다.

주목할만한점은 모든 평형이 골고루 오르는것이 아니라

전용면적 60~85㎡ 위주,

즉 아파트로 치면 18평~25평 사이의

소형아파트 면적으로

아파트를 대체할만한 크기의

오피스텔만 오른다는겁니다.

(오피스텔이 85면 준대형에 속함)




아마도 최근 서울 20평대 아파트 가격의 급등으로

미처 진입하지 못한 수요자들이

그의 대안으로 오피스텔을 매수한 영향으로 풀이되네요.

3.

늘 말씀드리지만,

오피스텔은 실거주지가 될 수 없습니다.

아파트를 절대 대체할 수 없다는거에요

(주상복합과 다릅니다)

무조건 아파트로 실거주 부동산의

본진을 마련한 후에

추가적인 자금여력이 있다면

비주거 부동산(오피스텔)에 투자해

멀티 확장을 고려해볼 수는 있습니다.

오피스텔의 가격상승 폭은

상당히 제한적일 겁니다.

오피스텔은 임대가 안나가면

본인이 직접 살면서 실거주라도 할 수 있으나

상가는....


-------------------------------------------------------------------------------------------------------------------------------------------------------------------------------------------------

경기 남양주 다산신도시 현대프리미어캠퍼스. 지식산업센터로 공급돼 업무시설이 꽤 있는 건물이지만 1층 상가는 세 집 건너 한 집 정도만 주인을 겨우 찾았다.

이곳 공인중개업소는 "상가를 1년간 공짜로 쓰게 해준다고 해도 안 들어온다"며 "임차는 물론이고 매매도 씨가 말랐다"고 했다.

인근 하남 미사신도시 상가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미사역파라곤스퀘어는 5호선 미사역 바로 앞인데도 빈 점포가 가득했다.

1층에 모두 153개 상가가 있는데 입점한 곳은 77개에 불과했다.

이 건물 공인중개업소들은 "공실률이 40%"라고 밝혔다.

---------------------------------------------------------------------------------------------------------------------------------------------------------------------------------------




4.

상가의 공실률 쇼크는 많은것을 보여줍니다.

경제는 크게 금융경제와 실물경제로 나뉠 수 있는데요.

주식, 비트코인 등 가격 상승으로

금융경제는 연일 호황을 누리고 있으나,

자영업자 경제상황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는

'상가'의 공실률은 계속 높아져

실물경제는 상당한 침체 국면임을 방증합니다.

왜 상가 공실이 급증할까요?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으나

그 중 대표적인 이유를 3가지만 꼽자면

1) 고물가로 인해 사람들이 지갑을 닫고,

2) Shopping 트렌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미 넘어갔고,

3) 대한민국 상가가 과잉공급 상황

위와 같습니다.

이런 악순환 때문에 결국,



5.

작년에 폐업 자영업자가 98만명

올해 100만명(24년 8월까지)

내년에는 과연 나아질까요?

절대 그렇지 않을겁니다.

저희집 주변에도

커피하우스 3군데가 다 폐업을 했습니다.


밖은 지옥입니다.


커피하우스 3군데가 다 폐업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