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5~9/19 미국 증시에는 어떤 일이 있었는지 살펴보자.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이번 주 미국 증시는 연준의 금리 인하 재개와 미·중 무역 협상 진전 기대감, 그리고 AI 및 빅테크 기업들의 호재가 겹치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다.
주 초반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빅컷(50bp 인하) 압박 발언과 미·중 무역 협상 진전 소식이 투자 심리를 끌어올리며 S&P 500과 나스닥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러나 FOMC를 앞두고 예상보다 견조한 소매판매 지표가 발표되자, 금리 인하 폭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시장은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주 중반에는 FOMC에서 연준이 예상대로 25bp 금리 인하를 단행하고 연내 추가 완화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파월 의장이 대규모 추가 인하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 지수는 혼조세를 보였다.
이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전주 급증 후 크게 감소하며 연준의 보험성 인하 결정이 정당화되자,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이 4년 만에 신고가를 기록했고, 엔비디아가 인텔에 50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소식에 AI 생태계 확장 기대가 커지며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다.
주 후반에는 선물·옵션 만기일인 '네 마녀의 날'로 변동성이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미·중 정상 간 긍정적인 통화 소식과 애플의 아이폰 판매 호조 소식에 힘입어 3대 지수가 일제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결과적으로 한 주간 S&P500은 +1.22%, 나스닥은 +2.21%, 다우 존스는 +1.05%로 모두 상승하며 견조한 랠리를 이어갔다.
달러지수와 USD/KRW 환율은 모두 상승하며 달러 강세를 보였다.
FOMC 이후 연준의 대규모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이 되돌려지며 미국 10년물과 2년물 국채 금리는 모두 상승했다.
금리 인하 영향으로 안전 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했으나, 국제 유가인 WTI유 가격은 수요 우려가 겹치며 약보합세를 보였다.
이번 주 증시는 FOMC에서 금리 인하, 미·중 무역 협상, 미국의 오라클 인수 결정, 중국의 반도체 자립, 엔비디아의 인텔 투자, 애플 아이폰 판매 호조 등 이슈에 따라 차별적인 모습을 보였다.
한주간 이슈가 있던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알파벳(GOOG) 미국 법원, 크롬/안드로이드 매각 불필요 판결로 반독점 리스크 해소, 제미나이 AI 모델 활용 확대와 제품 개발 가속화, 목표 주가 225달러에서 280달러로 상향 조정, 제미나이 AI 모델이 챗GPT 추월하며 앱스토어 다운로드 1위 기록, 전 세계 기업 중 4번째로 시가총액 3조 달러 돌파,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 총국, 구글 안드로이드 OS 반독점 조사 종료, 크롬에 AI 모델 제미나이 통합 발표
테슬라(TSLA) 이사회, 1조 달러 규모의 CEO 성과 보상안 제시, 일론 머스크 CEO 10억 달러어치 테슬라 주식 매입, 머스크가 테슬라 AI 베팅 강화 분석, 모델Y 일부 차량 도어 손잡이 결함으로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의 조사, 머스크, 소셜미디어 X에서 테슬라 미래 핵심 기술 점검 계획 공개, 베어드, 테슬라를 AI 선두주자로 평가하며 투자 등급 상향 조정
오라클(ORCL) 미·중 4차 무역 협상에서 중국이 미국의 틱톡 인수에 합의 소식, 오라클 유력 인수 업체로 거론, 미국 투자 컨소시엄이 틱톡 지분 80% 인수 합의, 1억 7,000만 명의 미국 틱톡 사용자 데이터 관리, 오픈AI와 3,000억 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 체결, 신용평가사 무디스, 소수 AI 기업에 대한 대규모 매출 의존도 증가로 신용등급 전망 하향 조정, 트럼프와 시진핑 통화로 틱톡 인수 최종 합의, 메타와 약 200억 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 협상 중
엔비디아(NVDA) 중국 정부, 멜라녹스 인수 과정에서 반독점법 위반 예비 판결, 미·중 협상 진전 기대감과 기술주 전반 강세로 낙폭 축소, 중국 시장 겨냥 최신 AI 칩 'RTX6000D'의 주문 부진, 로이터, RTX6000D 기능 대비 가격 비싸고 성능이 RTX5090보다 떨어진다고 보도, 중국 내 사업 불확실성 부각, 중국 인터넷 규제 기관 CAC, 자국 대형 IT 기업들의 중국 전용 AI 칩 ‘RTX 프로 6000D’ 구매 전면 금지, 인텔에 50억 달러 투자 계획, AI 데이터센터 및 PC 제품 개발 협력, 젠슨황 CEO, AI 생태계 확장 발언
코어위브(CRWV) 케리스데일 캐피털 공매도 리포트 발표, 엔비디아와 63억 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 판매 계약 체결, 엔비디아가 2032년 4월까지 판매되지 않은 잔여 용량을 의무적으로 구매
웹툰엔터테인먼트(WBTN) 월트디즈니가 지분 2% 인수 계획 발표
노보노디스크(NVO) 유럽의약품청(EMA), 경구용 제2형 당뇨병 치료제 '리벨서스'의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 공식 인정, 하루 한 번 복용하는 경구용 비만치료제의 후기 임상 결과, 주사제 '위고비'와 유사한 체중감량 효과 입증
오클로(OKLO), 뉴스케일파워(SMR),센트러스에너지(LEU) 미국과 영국 원자력 협정 체결 기대감, 미국과 영국, 첨단 원자로 보급 가속화 목표 원자력 협정 체결, 협정 기대감 지속
메타(META) 연례 커넥트 행사에서 AI 기반 스마트글래스 '하이퍼노바' 공개 임박
아마존(AMZN) 소매판매에서 온라인 소비 급증, AI 영양 관리 스타트업 페이와 협력해 맞춤형 영양 상담 서비스 제공, 미국 법원, 프라임 구독 서비스에서 소비자 보호법 위반으로 FTC 지지
알리바바(BABA) 창업자 마윈, 5년 만에 경영 복귀, 자체 개발 AI 칩 테스트 종료 후 중국 2위 이동통신사 차이나유니콤에 공급 계약 체결
힘스앤허스(HIMS) 미국 식품의약국(FDA), '복합 세마글루타이드' 제품 광고 관련 허위 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문구 사용 지적
바이두(BIDU) CNBC, AI 모델 훈련에 자체 개발 칩 투입으로 엔비디아 의존도 감소 및 미·중 갈등 리스크 회피 기대 보도
리프트(LYFT) 구글 자율주행차 기업 웨이모와 로보택시 파트너십 체결, 2026년 내슈빌 진출 계획
페이팔(PYPL) 구글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구글 생태계 전반에 페이팔 결제 솔루션 통합, 구글 AI 기술 활용해 페이팔 서비스 고도화
아이온큐(IONQ) 우주 양자 기술 개발을 위해 미국 에너지부와 양해각서(MOU) 체결, 미국과 영국 양자 컴퓨팅 관련 협정 소식
인텔(INTC) 엔비디아, AI 데이터센터와 PC 제품 개발을 위해 인텔에 50억 달러 투자, 엔비디아 맞춤형 x86 CPU 생산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AMAT), 램리서치(LRCX), ASML(ASML) 엔비디아와 인텔 협력으로 장비 수요 증가 기대
시놉시스(SNPS), 케이던스(CDNS) 엔비디아와 인텔 협력으로 전자설계자동화(EDA) 소프트웨어 수요 증가 기대
TSMC(TSM), AMD(AMD), ARM(ARM) 엔비디아와 인텔 협력으로 경쟁 우려 부각, 젠슨황 CEO, AI 생태계 확장 발언으로 기대감 확산
리게티컴퓨팅(RGTI) 미국과 영국 양자 컴퓨팅 관련 협정 소식, 네덜란드 큐포엑스와 초전도 양자 네트워킹 기술 발전 협력, 공군연구소(AFRL)로부터 3년간 580만 달러 규모 계약 수주, 솔라나 창업자, 향후 5년 내 양자컴퓨터 현실화 가능성 언급
디웨이브퀀텀(QBTS), 퀀텀컴퓨팅(QUBT) 미국과 영국 양자 컴퓨팅 관련 협정 소식, 솔라나 창업자, 향후 5년 내 양자컴퓨터 현실화 가능성 언급
마이크로소프트(MSFT) 위스콘신주에 두 번째 AI 데이터센터 건설, 총 투자액 70억 달러로 확대, 10/3부터 미국에서 엑스박스 시리즈 S와 X 가격 인상 발표
팔란티어(PLTR) 영국 국방부와 '팔란티어 파운드리' 소프트웨어 공급·지원 계약 연장 및 범위 확대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WD) 투자자 행사에서 내년까지 순연간반복매출(APR) 신규 증가율 최소 20% 전망, 월가 예상치 상회하는 가이던스 제시
페덱스(FDX) 회계연도 1분기 실적 발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 상회 및 가이던스 상향 제시
애플(AAPL) 중국 소매 플랫폼 징둥닷컴에서 아이폰17 시리즈 판매 호조, JP모건, 아이폰17 수요 예상보다 강하다며 목표가 255달러에서 280달러로 상향 조정, 더인포메이션, 아이폰17 모델 생산량 최소 30% 증량 요청 보도
스트래티지(MSTR) 솔라나 창업자, 5년 내 양자컴퓨터 발전으로 비트코인 보안 위협 발언
이번 주에는 연준의 금리 인하 재개된 가운데 섹터별로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AI 호재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가 상승을 주도했고, 이어서 기술, 소비 순환재, 금융, 산업재 순으로 강세를 보였다.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부동산, 경기 방어주는 하락했다.
원자재는 강보합, 헬스케어, 에너지, 유틸리티는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공포 탐욕 지수는 1주일 전 대비 상승하면서 중립(Neutral) 단계에서 탐욕(Greed) 단계로 진입했다.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1주일 전 대비 소폭 상승하면서 변동성이 확대되었다.
이번 주 미국 증시는 미·중 무역 협상 진전, 연준의 금리 인하 재개, 엔비디아의 인텔 투자, 애플 아이폰 판매 호조, 미·영 투자 협정 등 다양한 재료를 소화하며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무역 측면에서는 미·중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미·영 투자 협정 소식이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미·중 4차 협상에서는 틱톡 인수와 대중 수출 제한 등에 대한 기본 합의가 도출됐고,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통화에서 틱톡 인수 최종 합의와 함께 10월 한국 APEC 정상회의에서의 회동 계획이 발표됐다.
반면 양국은 전략적 약점을 보완하려는 움직임도 보였다.
중국은 SMIC가 자국산 DUV 노광 장비를 시험 가동하고, 알리바바가 자체 설계한 AI 칩을 차이나유니콤에 공급하는 등 반도체 자립을 서두르는 모습을 보였으며, 정부는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신형 AI 칩 ‘RTX 프로 6000D’ 구매를 전면 금지했다.
미국은 중국의 희토류 독점을 견제하기 위해 민관이 각각 6억 달러씩 출자해 총 12억 달러 규모의 해외 광산 개발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한편, 미국은 영국과 AI·양자컴퓨팅·원자력 분야 대규모 투자 협정을 추진하면서 관련 테마주가 강세를 보였다.
경제 지표는 전반적으로 양호했다.
8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은 모두 예상치를 웃돌며 소비와 생산의 견조함을 확인시켰고, 수입물가지수도 예상치를 상회하며 물가 압력을 일부 높였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 급증 후 다시 감소하며 고용 시장의 급격한 냉각 우려를 완화했다.
통화정책 측면에서는 9월 FOMC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하고 연내 두 차례 추가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이번 인하가 위험 관리 차원의 조치임을 강조하며, 50bp 인하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는 없었다고 언급해 대규모 추가 인하 기대는 다소 후퇴했다.
기업 이슈는 기술주 중심의 호재가 풍부했다.
오라클은 틱톡 미국 사업권 인수 확정과 메타와의 200억 달러 규모 클라우드 계약 소식에 강세를 보였고, 애플은 아이폰17 판매 호조와 생산량 30% 확대 요청 소식에 힘입어 상승했다.
인텔은 엔비디아가 50억 달러 투자를 발표하면서 급등했고, 반도체 장비·설계 소프트웨어 업종도 동반 상승했다.
반면 엔비디아는 중국의 반도체 자립 강화와 신형 칩 구매 금지 여파로 약보합권에 머물렀다.
이 밖에도 미국 하원에서 통과된 임시 예산안이 상원에서 부결되며 정부 셧다운 우려가 부상했고, 일본은행(BOJ)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향후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고 ETF 및 J-REIT 매각 계획을 발표해 유동성 축소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음 주 미국 증시는 경제 지표와 연준 인사들의 발언, 그리고 마이크론 실적 발표가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경제 지표에서는 미국 2분기 GDP 성장률 확정치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주목된다.
연준이 최근 25bp 금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이는 대규모 완화라기보다 고용 둔화에 대비한 보험성 인하의 성격이 강했다.
이에 따라 성장률과 물가 지표 결과가 향후 추가 금리 인하 경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 밖에도 제조업·서비스업의 경기 전망을 가늠할 수 있는 구매관리자지수(PMI),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와 기대 인플레이션 등 시장 심리를 반영하는 지표들도 주목해야 한다.
통화정책 측면에서는 FOMC 이후 연준 인사들의 발언이 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특히 파월 의장의 발언과, 이번 회의에서 50bp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진 스티븐 미란 연준 이사의 코멘트가 관심을 끌 전망이다.
기업 이슈로는 마이크론, 코스트코, 액센츄어의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특히 마이크론 실적은 AI 수요에 따른 반도체 업황을 가늠할 지표로, 코스트코는 소비 심리를 확인할 단서가 될 수 있다.
또한 S&P500 구성 종목인 로빈후드, 앱러빈, 엠코어의 실적 발표도 수급 측면에서 단기 변동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해외 변수로는 최근 부진한 지표를 보였던 중국의 기준금리 결정과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글로벌 투자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시장은 단기적인 호재에 힘입어 랠리를 펼치고 있지만, 중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연준의 완화 전환은 단순한 유동성 확대가 아닌, '옥석 가리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최근 연준의 '보험성' 금리 인하는 경기 둔화 가능성에 대비하는 동시에, 유동성 환경이 서서히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과거 사례를 보면 금리 인하 초기에는 시장 전반이 상승하기보다는, 수익성이 높고 경쟁 우위가 분명한 소수 업종과 기업이 먼저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단순히 시장의 유동성 효과에 기대기보다는, 금리 인하 환경에서 실질적인 이익 개선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기업들을 선별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둘째, AI 테마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선 장기적인 패러다임 변화다.
AI, 반도체,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전환의 흐름은 단기적인 조정이 있더라도 구조적인 성장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이제 AI 생태계는 초기 기술 개발 단계를 넘어 인프라 구축과 적용 산업 확대로 나아가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일부 대형 AI 칩 기업에만 집중하기보다는, AI 기술의 확산에 따라 수혜를 입을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소프트웨어, 반도체 장비 등 관련 산업 전반으로 투자 범위를 넓히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다만, 밸류에이션 부담이 있는 일부 대형 기술주는 이익 실현이 뒷받침되는지 꾸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기 둔화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여전히 중요하다.
미·중 갈등, 유럽의 재정 불안, 일본과 중국의 정책 변화 등은 간헐적으로 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또한, '골디락스' 시나리오에 대한 기대가 크지만, 인플레이션 압력과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기업 부채 부담도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투자 비중을 한쪽에 치우치기보다는, 선진국과 신흥국, 성장주와 가치주 간의 균형을 고려하고, 리스크 분산을 위한 글로벌 ETF나 채권 비중 등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는 전략이 안정적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향후에는 '금리 완화 → 경기 연착륙 → 실적 개선'의 연결고리가 얼마나 견고한지 확인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투자자는 이 흐름 속에서
① 실적과 현금흐름이 뒷받침되는 혁신 기업
② 경기 민감 업종 중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인 종목
③ 리스크 분산을 위한 자산 배분
을 통해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