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과 달리 미국 증시처럼
장기 우상향하는 우량자산에
투자할때 가장 중요한것이
무엇일까요?
수익률? 시간? 투자금?
전 단연코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다음이 투자금
그다음이 수익률
S&P500 혹은 나스닥100 등
미국증시 주가 지수의
역대 연 평균 수익률은 10% 정도입니다.
(S&P는 8~9%, 나스닥은 12%내외)
2.
첫번째, 자녀가 태어나자마자 주식 계좌를
만들어주고 월 10만원씩 증여 후 납입을
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자녀가 55세가 되었을때는
계좌에 무려 23.6억원이라는 돈이 모입니다.
심지어 투자원금은 6600만원 밖에 되지 않구요.
3.
두번째, 25세의 사회 초년생이
월 100만원씩 미국 증시에
적립식 투자를 하여 55세가
되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30년간 투자 결과
20억 원의 목돈이 생기고
총 투자원금은 3.6억 원입니다.
투자에서 시간의 힘이 얼마나 큰지
새삼 느낄 수 있습니다.
4.
세번째, 40세의 직장인이
55세까지 20억 원을
모으고 은퇴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일단 2억 원을 거치로
박아놓고, 매월 300만원씩
미국증시에 적립식 투자를
진행할 경우 20억 원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때, 총 투자원금은
7.4억원 수준입니다.
5.
미국 증시 지수 ETF투자로
은퇴시점을 정할 때,
본인의 나이를 고려해야
구체적인 계획을 짤 수 있습니다.
인간이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으로 벌 수 있는 돈은
어느정도 한정되어 있기에
투자에서는 시간의 힘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워런 버핏도 본인의 순자산의
99%는 50세 이후에
만들어졌다고 하지 않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