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 정보
*YoY(Year on Year)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종목명 |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
배당락일 |
9월 12일 |
배당지급일 |
9월 17일 |
주당 배당금(공시) |
28원 |
기준가(배당락일) |
10,460원 |
시가 배당률(공시) |
3.21% |
배당주기(해당 월) |
월배당(매월) |
총보수(실부담비율) |
0.2385% |
지급 배당금 |
|
[지난해] |
[올해] |
30원 |
28원 |
배당 성장 |
|
-2원 / -6.67% |
주가 |
|
[지난해] |
[올해] |
10,037원 |
10,460원 |
주가 성장 |
|
+423원 / +4.21% |
시가 배당률 |
|
[지난해] |
[올해] |
3.59% |
3.21% |
증감 |
|
-0.37%p |
안녕하세요 이웃 여러분~!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재투로입니다.
오늘은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ETF의 배당 흐름을 살펴보며 제 생각을 나눠보려 합니다. 절세계좌에서 담고 있는 종목인 만큼 단순히 수익률이 아니라 장기적인 안정성과 배당 구조를 어떻게 가져가는지가 더 중요한 지점이라 판단됩니다.
──────────────────────
📈 배당 흐름과 시가 배당률 해석
이번 9월 배당은 주당 28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줄어든 수치입니다. 배당금 자체만 보면 아쉬움이 남을 수 있지만 주가가 같은 기간 4% 이상 상승했기 때문에 단순히 배당금 감소로만 해석하기보다는 배당과 주가의 균형을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시가 배당률은 전년 대비 소폭 낮아졌지만 이는 주가 성장에 따른 자연스러운 조정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여기서 중요한 점은 월배당 ETF의 특성입니다. 매월 현금흐름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배당금의 일시적 등락은 크게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오히려 이런 꾸준한 현금흐름이 절세계좌 안에서 재투자의 원동력이 되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라 생각합니다.
──────────────────────
🔎 ETF 구조와 향후 관찰 포인트
이 종목은 2024년 8월 상장 이후 아직 역사가 짧습니다. 그렇기에 기초자산인 다우존스 배당 지수를 얼마나 안정적으로 추종하는지, 향후 배당금이 일정한 패턴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지금 단계에서는 몇 번의 배당만 보고 성급히 판단하기보다는 최소 1~2년간 흐름을 지켜보며 안정성이 검증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봅니다.
또 하나 주목할 부분은 총보수가 0.23% 수준으로 비교적 낮다는 점입니다. 절세계좌 내에서 운용하기에 불필요한 비용 누수가 적다는 점은 장기 투자 관점에서 긍정적입니다. 특히 연금저축이나 ISA 계좌에서는 배당 재투자 시 과세 이슈가 덜하기 때문에 복리 효과를 더욱 온전히 가져갈 수 있습니다.
──────────────────────
💭 투자 철학적 관점
저는 이번 배당 감소를 단기적 실망 요인으로 보지 않습니다. 오히려 주가가 우상향하며 자산 가치를 불려주는 과정에서 나타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해석합니다. 중요한 건 배당이 끊기지 않고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며 이는 장기 투자자에게 있어 안정적인 현금흐름의 기반이 됩니다.
앞으로도 이 ETF는 절세계좌 안에서 현금흐름을 만들어주고 장기적으로 자산을 지탱하는 기둥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지켜볼 생각입니다. 당장의 성과보다 추세와 구조가 더 중요하다는 점, 다시 한번 마음에 새겨봅니다. 이웃 여러분들도 눈앞의 등락보다는 긴 호흡으로 배당 ETF를 바라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이상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재투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매매 및 종목을 추전하는 글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됨을 기억해 주세요~!
이 글을 읽어주시는 모든 분들의 성투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