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이번주 미국 뉴욕 증시는 미국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회의가 16일 ~ 17일 양일간 예정되어 있어, 그 결과에 많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9월 기준금리 인하는 기정 사실화에 가깝지만, 그 이후의 금리인하 속도 및 방향성에 대한 연준 주요 인사들의 '점도표' 더욱 주목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외에 영국 및 일본의 중앙은행인 영란은행과 일본은행 또한 통화정책회의가 예정되어있어, 이번 주 주식 시장은 주요 국가들의 금리인하 방향성에 따라 주가의 흐름이 결정 될 것으로 예상하는데요.
이에 '미국 9월 FOMC 회의, 중국 8월 소매판매, 영란은행·일본은행 통화정책회의 등 미국 주간 증시 일정 및 주요 국가 경제·금융 이슈' 관련하여 언론 보도 및 국제금융센터 보고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미국 및 주요국가 주간 증시 일정
2025.09.14 연합뉴스 외
1) 9월 15일 (월)
● 미국 9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연방의회 상원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 후보자 이준 투표
● 중국 8월 경제지표(소매판매) 발표
2) 9월 16일 (화)
● 미국 FOMC 정례회의 개최
● 미국 8월 소매판매
● 미국 8월 수입·수출 가격
● 미국 8월 제조업 생산
● 미국 7월 기업 재고
● 9월 전미 주택 건설업협회(NAHB) 주택시장 지수
3) 9월 17일 (수)
● 미국 8월 주택 허가·착공건수
●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결정
● 일본 8월 교역지표 발표
4) 9월 18일 (목)
●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
● 9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 지수
● 콘퍼런스보드(CB) 경기선행지수
● 영국 영란은행 통화정책회의
● 일본은행 통화정책회
5) 9월 19일 (금)
●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
● 일본 소비자물가지수 CPI 발표
02. 미국 및 주요 국가 주간 경제·금융 이슈
국제금융센터 안남기 종합기획분석실장
1) 9월 FOMC 회의 개최. 금번 인하폭과 향후 궤적에 주목
● 9월 16일 ~ 17일 FOMC 회의 개최. 올들어 5회 연속 정책금리를 동결했으나(4.25 ~ 4.50%) 금번에는 경기둔화 우려로 인하를 재개할 전망. 25bp 전망이 우세하나 50bp 의견도 제기
- 관심은 결정문 및 기자회견에서의 △연내 및 내년 금리인하 시서여부 △최근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 △인플레이션 전망 △연준 독립성 △트럼프 정책 영향 등에 대한 코멘트
- 금번에는 분기 경제전망 발표. △점도표상 정책금리 전망 (6월 3.9 ~ 4.4%, 중위값 3.9%, 내년 3.1% ~ 3.9%, 중위값 3.6%) △경제성장 전망 변화(6월 금년 1.4%, 내년 1.6%) △근원 PCE 전망 수정 여부(6월 금년 3.1%, 내년 2.4%) 등에 주목
● 9월 16일 미국 8월 소매판매 발표. 지난 5월 전월비 -0.9%에서 6월 0.9%로 3개월 만에 반등후 7월에도 0.5% 증가했으나 금번에는 0.3% 내외로 둔화될 가능성
● 9월 19일 미국 7월 자금흐름(TIC) 발표. 외국인의 미국 국채 보유 등 유가증권 매매 내역 발표
2) 영란은행 및 일본은행 통화정책회의 개최
● 영란은행은 9월 18일 통화정책회의 개최. 올들어 2월, 5월, 8월 등 격회로 정책금리를 인하한 가운데 4.0% 금번에는 재차 동결로 전환할 전망
- 지난 8월 회의의 근소한 표결(5:4), 인플레이션 우려(7월 18개월래 최고), 예상보다 양호한 성장 등에 기인
● 일본은행은 9월 18일 ~ 19일 금융정책결정회의 개최. 올들어 1월 금리 인상(무담보익일물 콜금리 0.50% 정도)후 3월, 5월, 6월, 7월 동결을 지속해오고 있으며, 금번에도 동결 전망 우세
● 9월 17일 캐나다(정책금리 2.75%), 브라질(15.0%), 인도네시아(5.00%), 18일 노르웨이(4.25%), 남아공(7.00%), 대만(2.00%) 중앙은행의 통화정책회의 개최
- 대부분 금리 동결을 예상하나 캐나다는 3월 이후 금리인하를 재개할 가능성
3) 트럼프 품목별 관세, 미중 대화, 영국 방문에 관심
● 빠르면 금주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가 공개될 가능성. 한편 베센트 재무장관은 9월 14일 ~ 15일 스페인에서 중국 허리펑 부총리와 무역, 경제 등을 논의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월 17일 만료되는 틱톡 금지령에 대핸 4번째 연기를 시행할지 관심. 또한 9월 17일 ~ 19일 취임 이후 두번째로 영국을 방문. 왕실 인사와의 만남과 대규모 테크 투자 서명 등이 예정
4) 중국 8월 주요 경제지표 발표
● 9월 15일 중국 8월 경제지표 발표. 지난 7월 지표들이 예상대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성장 우려를 확대시킨바 있어 금번 지표에 주목. 대체로 호전 가능성에 무게
● 소매판매는 지난 7월 전년동월대비 3.7%로 2개월 연속 둔화후 소폭 반등 예상. 산업생산도 7월 5.7%와 비숫한 수준이거나 소폭 상승 예상. 고정자산투자는 7월 1.6%에 이어 5개월 연속 둔화 가능성
5) 일본 8월 교역지표 및 물가지수 발표
● 9월 17일 일본 8월 교역지표 발표. 수출 증가율은 지난 7월 전년동월비 -2.6%에 이어 4개월 연속 마이너스 예상. 무역수지도 7월 -1,175억엔에서 큰 폭 확대 가능성
● 9월 19일 일본 8월 CPI 발표. 헤드라인지수는 지난 7월 전년동월비 3.1%로 3개월 연속 하락후 향방에 관심. 근원지수는 7월 3.1%에서 2%대 후반으로 3개월 연속 하락 예상
6) 사상최고 수준인 주요국 주가 및 미국 장기 국채금리 향방에 관심
● 최근 미국, 유럽, 아시아 증 주요국 주가가 사상최고치를 경신하면서 향방에 대한 논란확대, 금주 FOMC 회의 결과, 빅테크 투자 계획, 금리 움직임의 영향에 관심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8월 하순 4.3%에서는 최근 4.0%대해 근접하며 4주 연속 하락. 금주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 후 추가 하락 여부 및 수익률 곡선 변화에 주목
지금까지 '미국 9월 FOMC 회의, 중국 8월 소매판매, 영란은행·일본은행 통화정책회의 등 미국 주간 증시 일정 및 주요 국가 경제·금융 이슈' 관련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주도 여러분들이 성공 투자 여정을 이어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