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마감 시황 체크 ★
2025년 9월 12일
3대 지수 사상 최고치, 9월에도 상승 중
CPI 발표, 점점 가팔라지는 물가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는 예상치 상회
테슬라, 에너지 저장 사업 확장 중
밈주식된 오픈도어, 78/% 폭등
코스피는 이틀 연속 종가기준 사상 최고치 경신
■ 미국 증시 마감 (다우존스/ 나스닥/ S&P 500)
★ 미국 증시 섹터별 흐름 ★
원자재 및 임의소비재 주 상승
에너지 주 하락
★ 오늘의 특징 주 ★
■ 노보노디스크, 9천명 감원 발표
감원 규모: 전 직원의 11.5%에 해당하는 9,000명
CEO: 마지아르 마이크 두스트다르 (2024년 8월 취임) 주도
첫 대규모 구조조정 단행
✓ 감원 배경 및 목표
조직 복잡성 축소, 의사결정 민첩성 향상
최근 몇 년간 급격한 인력 증가 → 미국 시장의 어려움, 성장률 둔화 반영
✓ 구조조정 비용 및 효과
일회성 비용: 약 126억 달러 (약 17.5조 원)- 퇴직금 및 프로젝트 트중단
연간 절감 기대액: 약 8억 크로네
재투자 계획:판매·마케팅 강화, 중장기 R&D 투자 확대
■ 테슬라, 에너지 저장 사업 확장 소식에 상승
테슬라 주가가 에너지 저장 사업 확장 소식으로 6.04% 급등해 368.81달러 마감
시가총액은 1조1,900억 달러로 증가
9월 8일 테슬라가 신형 에너지 저장 장치 ‘메가블록(Megablock)’ 공개
메가블록은 차세대 메가팩 포함, 건설 비용 23%↓, 설치 속도 40%↑
일론 머스크는 X(구 트위터)를 통해 메가블록이 차세대 성장동력이라 언급
휴머노이드 로봇도 미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 강조
윌리엄 블레어의 제드 도르샤이머는 메가블록이 그리드 스토리지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테슬라에 매수 등급 부여
이날 급등에도 불구하고 테슬라 주가는 연초 대비 여전히 8.67% 하락
■ 오픈도어, 새로운 CEO 지명에 78% 폭등
온라인 주택거래 플랫폼 오픈도어
쇼피파이 최고운영책임자(COO) 카즈네자키안이 최고경영자(CEO)로 지명
오픈도어는 4.62달러(78.75%) 폭등한 10.48달러 마감
■ 위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 파라마운트 인수 설에 급등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WBD) 주가가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의 인수설 보도로 20% 이상 급등
인수 추진 주체는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 CEO 데이비드 엘리슨, 오라클 창립자 래리 엘리슨의 아들
WBD는 6월 회사 분할 계획 발표, 두 개의 상장사로 나뉘며 가치 극대화 추진
새로 구성될 S&S(Streaming & Studio) 회사는 워너브라더스 TV, 모션픽처, DC 스튜디오, HBO, HBO Max, 영화 및 TV 라이브러리 포함
글로벌 네트워크 부문은 CNN, TNT Sports, Discovery, Discovery+, Bleacher Report 등 포함
웰스파고 애널리스트는 WBD의 S&S 부문이 Amazon, Apple, Comcast,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 Netflix, Sony 등에 매각될 가능성 제시
웰스파고는 그중 Netflix를 가장 설득력 있는 인수 후보로 평가
★ 발표된 경제 지표 ★
■ 8월 CPI 발표, 가팔라진 물가 상승
8월 전품목 CPI 상승률(전월 대비): 0.4% 상승 (7월 0.2% → 증가폭 확대)
8월 전품목 CPI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 2.9% 상승 (7월 2.7% → 상승세 강화)
시장 예상치: 전월비 0.3%, 전년비 2.9% → 전월비 수치가 시장 예상치 상회
0.4% 상승은: 지난 1월 0.5% 이후 최대 상승폭
주요 상승 요인: 주거비 0.4% 상승
식품 가격: 전체 0.5% 상승 (가정 내 0.6%, 외식 0.3%)
에너지 가격: 0.7% 상승 (휘발유 1.9% 상승)
✓ 근원 CPI(식품·에너지 제외):
전월 대비 0.3% 상승 (7월과 동일)
전년 동기 대비 3.1% 상승 (7월과 동일)
✓ 의료 서비스 세부:
전체: 전월 대비 0.2% 하락
치과: -0.7%, 처방약: -0.2%, 의사 진료: +0.3%, 병원 서비스: 보합
✓ 에너지 지수(전년 동기 대비): 0.2% 상승
휘발유: -6.6%, 전기료: +6.2%, 천연가스: +13.8%
✓ 식품 지수(전년 동기 대비): 3.2% 상승
가정 내 식품: +2.7%, 외식: +3.9%
과일·채소: +1.6%, 육류·가금류·생선·달걀: +1.0%, 소고기: +2.7%
✓ 8월 CPI 관련 전문가 평가 요약
CPI 상승에도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은 여전
단, 50bp(빅컷) 인하 가능성은 낮아짐
실업 청구 증가가 연준 결정에 긴급성 더할 수 있음
■ 미국 주간 실업수당 청구, 예상치보다 상회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26만3천건 (시장 예상 23만5천건 → 예상 크게 상회)
2021년 10월 23일(26만8천건) 이후 최고치
직전 주 수치
기존: 23만7천건 → 수정: 23만6천건 (1천건 하향)
4주 이동평균 (신규 청구)
24만500건
전주 대비 9천750건 증가
전주 수치: 23만1천건 → 수정 후 23만750건 (250건 하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