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 GDDR7, 엔비디아 B40 공급
삼성전자(005930)가 엔비디아의 중국향 인공지능(AI) 가속기에 탑재되는 7세대 그래픽 D램(GDDR7) 공급을 확대한다고 발표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주춤했던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와 확실한 신뢰 관계를 구축했다는 평가가 나옴
삼성은 시장의 예상보다 빠르게 HBM4(6세대)를 개발해 경쟁사와 비슷한 시기에 엔비디아와 공급계약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됨
9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최근 삼성전자에 중국에 수출할 AI 가속기 B40에 탑재되는 GDDR7 D램의 공급 확대를 요청
라인 정비를 마치는 대로 삼성전자는 이르면 이달 중 증산에 나설 계획. B40의 연간 출하량은 애초 100만 대로 예상됐는데 3분기 들어 중국 내 수요가 급증하며 증산 요청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졌음
B40은 엔비디아의 최신 블랙웰 AI 가속기를 기반으로 한 경량화 제품. HBM 대신 GDDR7으로 메모리를 변경해 미국 수출 규제와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충족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다음 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에 동행하는 것도 엔비디아 AI 가속기의 중국 수출 확대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음
GDDR7 공급 확대는 삼성전자와 엔비디아가 돈독한 신뢰 관계를 형성했음을 시사
삼성은 이르면 이달 하순 SK하이닉스(000660)·마이크론 등과 비슷한 시기에 HBM4 커스터머샘플(CS)을 엔비디아에 제공할 예정
경쟁사 대비 3개월가량 떨어진 제품 개발 일정을 따라잡은 셈
업계 관계자는 “발열 등의 이슈로 갈등을 빚던 전 세대와 달리 HBM4에서는 삼성과 엔비디아가 우호적 분위기 속에 협업 중”이라고 전했음
삼성전자는 HBM3(4세대)와 HBM3E(5세대)에서 경쟁사 대비 높은 발열 문제 등으로 엔비디아 공급이 지연돼 왔음
SK하이닉스(000660)와 마이크론 모두 엔비디아의 현재 주력 인공지능(AI) 가속기인 블랙웰에 HBM3E를 공급하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나홀로 ‘품질 검증(퀄 테스트)’을 여태 통과하지 못한 것이 단적인 예임
그러나 이번 GDDR7 공급 확대로 기존 메모리 1등 업체로서 삼성전자의 압도적 양산 능력이 재평가받고 있음. 삼성전자는 기세를 몰아 사실상 최종 납품 전 단계인 HBM4 커스터머 샘플(CS)을 경쟁사와 동일한 시기인 이달 말 엔비디아에 공급할 전망임
9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중국 내에서 엔비디아의 B40은 올 들어 이미 100만 대를 초과해 공급된 것으로 분석됨
업계 관계자는 “애초 예상됐던 B40 수요 100만 대를 넘어섰지만 2배까지 늘지는 않았다”고 평했음. 앞서 글로벌 투자은행(IB)인 모건스탠리는 5월 올 해 B40 출하량을 100만 대로 예상
B40에 공급하는 GDDR7은 삼성전자가 단독 납품할 것으로 보임. 삼성전자는 메모리 3사 중 가장 높은 GDDR7 경쟁력을 갖춘데다, 양산 능력에서도 앞서있음. 경쟁사들이 기존에 계약된 HBM3E 생산에 집중하며 삼성전자에 기회가 돌아갔다는 분석도 있음
B40의 연간 출하량이 100만 대를 넘게 되면 삼성전자의 메모리 부문 매출은 최대 9000억 원 가까이 증가할 전망
B40 한 대에 96기가바이트(GB)의 GDDR7이 탑재되는 점을 고려하면, 연간 필요한 메모리 총량은 9600만 기가바이트(GB)에 달함
업계에서 추정하는 GDDR7 1GB당 평균 판매단가(ASP) 5~7달러를 적용 시, B40 하나만으로 삼성전자가 올릴 수 있는 연간 매출은 최소 4억 8000만 달러(약 6500억 원)에서 최대 6억 7200만 달러(약 9000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
GDDR7의 영업이익률은 20~30%로 알려졌음. 예상 영업이익은 9600만 달러(약 1300억 원)에서 최대 2억 달러(약 2700억 원)로 추정
이번 GDDR7 공급은 삼성전자에게 매출 증대 이상의 전략적 의미를 가짐
HBM 시장에서 엔비디아와 협력 관계 구축에 어려움을 겪었던 삼성전자는 가장 자신 있는 분야에서 압도적 기술력과 양산 능력을 입증하며 신뢰 회복의 발판을 마련한 것
이번 협력은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가속기 루빈에 탑재될 HBM4 시장 적시 진입을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임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HBM4 엔지니어링 샘플(ES)을 엔비디아에 제출한 데 이어, 이달 말께 HBM4 커스터머 샘플(CS)을 공급할 전망
경쟁사인 SK하이닉스 대비 3개월 가량 HBM4 개발이 뒤처졌단 인식을 뒤집은 것임.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HBM4 시장에서는 엔비디아에 초도 물량을 납품할 기회를 잡았다” 면서 “협상 결과에 따라선 엔비디아의 HBM4 최대 공급사로 발돋움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음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 2분기 출하량 기준 삼성전자의 HBM 시장 점유율은 17%로 SK하이닉스(62%)의 3분의 1 수준. 엔비디아 AI 가속기의 중국 수출이 제한되며 삼성전자 HBM 판매에 타격이 컸음
삼성바이오 : 미 관세압박에도 1.8조 잭팟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미국의 관세 압박으로 대미 수출환경이 위축되는 와중에 미국 제약사와 1조 8000억 원 규모의 초대형 위탁생산(CMO) 계약을 따냈음
올 1월 유럽 제약사로부터 수주한 2조 747억 원 규모 계약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주
회사 창립 이래 누적 수주액은 이번 계약으로 200억 달러를 넘어섰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9일 미국 소재 제약사와 12억 9464만 달러(약 1조 8001억 원) 규모의 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
계약기간은 올해 8월 29일부터 2029년 12월 31일까지이며 고객사와 제품명은 비밀 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하지 않았음
이로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수주한 의약품 CMO 및 위탁개발생산(CDMO) 금액은 누적 5조 2435억 원으로 늘어나 5조 원대에 진입
약 8개월 만에 작년 전체 수주 금액인 5조 4035억 원에 근접한 것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경기 둔화, 관세 영향 등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연이어 대형 계약을 따냈다"며 “경쟁력과 시장의 신뢰를 입증한 결과”라고 전했음
특히 이번 계약은 미국 정부의 관세 압박이나 제조업 리쇼어링 요구 등 각종 악조건을 뚫고 미국 현지 제약사와 계약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끔
제품 공급 계약기간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임기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예고한 고율의 품목관세나 상호관세 부과가 계약기간 중 시행되면 그 영향을 고스란히 맞을 수밖에 없음. 그런데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CMO 계약을 체결한 것
업계 한 관계자는 “관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미국 제약사가 굳이 삼성바이오로직스를 파트너로 선택한 것은 생산능력과 그동안의 트랙레코드에 대한 신뢰가 그만큼 크다는 것”이라며 “회사 설립 후 이어온 안정적인 품질 역량이 정치적 불확실성도 넘어서는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도 높은 글로벌 대외 신인도를 바탕으로 ‘3대축(생산능력·포트폴리오·지리적 거점) 성장 전략’을 가속화할 계획. 생산능력 면에서는 이미 올 4월 5공장을 본격 가동해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있음. 5공장은 1~4공장의 최적 사례를 집약해 연간 총 78만 4000ℓ의 세계 최대 생산능력을 자랑
품질 면에서도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2025년 9월 기준 총 382건의 제조 승인을 획득
제조 승인 건수는 생산능력 확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실사 통과율도 업계 최고 수준
이를 바탕으로 올해에만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전역에서 다수의 신규 계약을 체결해 포트폴리오도 확대하고 있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기존 ‘톱 20’ 고객사에서 ‘톱 40’까지 주요 고객군을 넓힐 계획
특히 일본 제약사들을 새로운 고객으로 확보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음. 실제 올 7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인터펙스 위크 도쿄 2025'에 참가해 수주 경쟁력을 알렸고, 다음달 열리는 ‘바이오재팬 2025’에도 참가해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할 예정
삼성SDI, 차세대 ESS 배터리 공개
삼성SDI(006400)가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북미 최대 에너지산업 전시회 'RE+(Renewable Energy Plus) 2025'에서 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 최적화된 차세대 배터리 제품 라인업을 공개
전시회에서 삼성SDI는 △SBB △무정전전원장치(UPS) △각형 △USA 프로덕션 △어워드 등 5개 구역을 구성
눈길을 끈 건 미국에서 내년 생산 예정인 차세대 제품 'SBB 1.7'과 'SBB 2.0'. SBB는 20피트 크기 컨테이너에 배터리와 안전장치 등을 설치해 편의성과 성능을 극대화한 전력용 ESS 배터리 솔루션
SBB 1.7은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삼원계 NCA 배터리가 탑재돼 SBB 1.5 대비 컨테이너 크기는 같지만 용량은 약 17% 늘어났음
처음으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가 탑재된 SBB 2.0은 차별화된 소재와 극판 기술로 기존 LFP 배터리의 단점인 낮은 에너지 밀도를 극복하고 안전성과 가격 등 장점은 극대화
UPS 존에서는 UPS용 고출력 배터리 'U8A1'이 전시
U8A1은 5월 독일에서 열린 '더 스마터 E 유럽 2025'에서 국내 업체 중 유일하게 혁신상을 받은 제품. 적은 수의 배터리로도 빠르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 각형 존에서는 내구성과 열전도가 우수한 삼성SDI의 각형 배터리 기술력을 선보였음. 삼성SDI는 자사 각형 배터리가 차별화된 안전성과 높은 에너지 밀도로 글로벌 ESS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다고 전했음
삼성SDI 관계자는 "축적된 각형 배터리 노하우와 현지 생산 역량으로 글로벌 최대 ESS 시장인 미국에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음
<시사점>
삼성이 다시 빛나고 있습니다. 오늘 신문은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SDI 등 주요 계열사에서의 반가운 소식을 전했습니다. 삼성전자는 GDDR7을 단독으로 엔비디아 B40에 공급하게 되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8조원의 CMO 계약을 체결한데 이어, 삼성SDI는 차세대 ESS 배터리를 공개해 기술력을 뽑내었습니다.
한동안 삼성은 핵심 반도체산업이 SK하이닉스에 뒤쳐져 한동안 고개를 숙였습니다.
돌이켜보면 삼성의 길은 언제나 영광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반도체 호황기 뒤 찾아온 글로벌 경기침체, 스마트폰 경쟁 심화, 이재용 오너 리스크와 대외적 압박은 삼성을 ‘굴욕’의 수렁으로 몰아넣었습니다. 국내외 언론은 "삼성의 시대가 저물었다"고 단언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를 바짝 뒤쫒고 있는 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에서 세계 1위 기업으로 우뚝 서며 수주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삼성SDI 역시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전고체 배터리와 ESS분야에서 앞서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취는 단순한 ‘실적 반등’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위기에 주저앉지 않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며 산업의 판도를 바꾼다는 점에서 삼성의 도전은 한국민의 저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삼성인데라고 믿는 한국민들. 글로벌 경쟁의 격화, 미·중 갈등의 불확실성, 기술 패권 전쟁의 파고 속에서도 삼성이 부활의 몸짓을 하는 것은 불확실한 트럼프 시대를 헤쳐나가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게 비쳐주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1/0004530984?date=2025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