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마감 시황 체크 ★

2025년 9월 6일

  • 3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

  • 고용 지표 충격, 비농업 하회, 실업률 상승

  • 금리인하 기대 상승

  • 브로드컴 호실적에 9% 급등

  • 테슬라, 머스크에 보수 제안으로 상승

■ 미국 증시 마감 (다우존스/ 나스닥/ S&P 500)




★ 미국 증시 섹터별 흐름 ★

  • 원자재 및 부동산 주 상승

  • 금융 및 에너지 주 하락





★ 오늘의 특징 주 ★

메타, 미국 데이터 센터 등 대규모 투자 발표

  • 메타(META)는 2028년까지 미국 내 데이터 센터 및 인프라에 최소 6,000억 달러 투자 계획

  • 마크 저커버그, 트럼프 및 기술 임원들과의 저녁 식사 자리에서 해당 계획 언급

  • 이번 계획은 메타의 기존 자본 지출 예상치와 일치

  • 2025년 자본 지출 예상: 660억~720억 달러 → 2024년 대비 최소 68% 증가

  • 2026년에도 AI 관련 컴퓨팅 확장으로 자본 지출 증가 전망

  • 저커버그, 7월에 "AI 컴퓨팅에 수천억 달러 투자" 언급했지만 구체적 기간은 밝히지 않았음

  • 그는 “우리는 이를 수행할 사업 자본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

알리바바 AI 모델 출시

  • 알리바바 ADR(BABA) 주가, 초대형 AI 모델 출시 발표 후 금요일 2.3% 상승

  • 발표 모델: Qwen3-Max-Preview(Instruct) → 1조 개 이상의 매개변수 포함

  • 모델은 Qwen Chat 및 알리바바 클라우드 API 통해 접근 가능

  • 기존 모델 Qwen3-235B-A22B-2507 대비 성능 우수 (벤치마크 테스트 기준)

내부 테스트 및 초기 피드백 ;전반적인 성능 향상, 더 넓은 지식 기반, 향상된 대화 능력, 고급 에이전트 작업 처리. 뛰어난 지침 준수 능력

  • 시장 반응: 알리바바의 AI 경쟁력 강화로 긍정적 평가

  • Qwen3-Max-Preview, 공개된 AI 모델 중 최대 규모 중 하나

  • 이번 발표는 글로벌 빅테크의 생성형 AI 기술 투자 추세 속에서 이뤄진 것

■ 켄뷰, 타이레놀-자폐증 연관성에 급락

  • 켄뷰 주가, 금요일에 최대 10% 하락

  • 임신 중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이 자폐증과 연관 가능성 언급 예정

  • 시장 반응: 타이레놀의 안전성 논란에 대한 우려로 Kenvue 주가 급락

■ 테슬라, 머스크에 최대 1조 보수 제시에 주가 폭등

  • 테슬라(TSLA), 일론 머스크 CEO에 최대 9,750억 달러 규모 스톡옵션 보상안 제시

  • 향후 10년간 성과 기준 충족 시 보상

  • 미국 SEC에 관련 서류 제출

  • 보상안 주요 내용 - 시가총액 5천억 달러 증가 시마다 지분 1% 지급

추가 달성 조건

  • 연간 차량 인도량: 2,000만 대

  • FSD 유료 구독자: 1,000만 명

  • 로봇 인도: 100만 대

  • 로보택시 상업 운행: 100만 대

  • EBITDA 등 수익성 지표 개선

보상 구조의 특징

  • 전통적인 경영진 보상 방식과 차별화

  • "머스크에게 동기 부여하고 성과 중심으로 설계" (이사회 의장 로빈 덴홈 발언)

  • 보상 달성 시 머스크의 테슬라 지분: 현재 13% → 25% 이상

요약

  • 머스크에게 역대급 성과 기반 보상안 제시

  • 장기적 시총 확대 및 미래 기술 상용화 강하게 유도

  •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 테슬라 주가 상승세

★ 발표된 경제 지표 ★

■ 8월 비농업 고용 예상치 하회

✓ 8월 미국 비농업 고용

  • 신규 고용: 2만2천 명 증가

  • 7월(7.9만 명)보다 5.7만 명 감소

  • 시장 예상치(7.5만 명) 크게 하회

  • 최근 수개월간 고용 둔화 뚜렷

✓ 부문별 고용 변화

  • 보건의료: +3.1만 명

  • 사회복지: +1.6만 명

  • 연방정부: -1.5만 명 (1월 이후 누적 -9.7만 명)

  • 광업·채석·석유·가스: -6천 명

  • 도매무역: -1.2만 명

  • 제조업: -1.2만 명

  • 특히 운송장비 제조업: -1.5만 명 (파업 영향)

✓ 시간당 평균 임금

  • 8월: $36.53

  • 전월 대비: +0.3%

  • 전년 동월 대비: +3.7%

  • 평균 주당 근로시간: 34.2시간 (3개월 연속 동일)

✓ 실업률 및 실업자 수

  • 실업률: 4.3% (전월 4.2% → 0.1%p 상승)

  • 실업자 수: 738.4만 명 (전월 대비 +14.8만 명)

  • 장기 실업자(27주 이상): 193만 명 (전월 대비 +10.4만 명, 전체 실업자의 25.7%)

✓ 요약

  • 고용지표 전반 예상보다 부진

  • 특정 산업 중심으로 감원 확대

  • 임금 상승률 완만, 근로시간 정체

  • 실업률 및 장기 실업자 증가 → 노동시장 냉각 신호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