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AI 산업에 대한 불안감과 노동절 연휴를 앞둔 차익 실현, 9월 약세장에 대한 경계심이 겹치며 3대 지수와 러셀2000 모두 하락 마감

개장 전에는 7월 PCE물가지수가 예상치에 부합하자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되면서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높임

장 초반 증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하방 압력이 강화됨

특히, 중국의 알리바바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과 함께 자체 AI 칩 개발 소식을 전하며 급등했으나, 이는 오히려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 내 AI 반도체 및 인프라 기업들에 대한 경쟁 우려가 확산됨

여기에 마벨테크놀로지와 델의 부진한 실적 전망까지 더해지면서 데이터 센터 수요 둔화 우려가 커졌고, 반도체 업종 전반의 하락을 주도

장중에는 미 상무부가 인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중국 법인을 '신뢰할 수 있는 최종 사용자(VEU)' 명단에서 제외한다고 발표

이로 인해 중국 내 AI 칩 개발 지연이 불가피해지면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과 S&P500 지수의 낙폭이 확대됨

반면 경기 방어적 성향의 종목에는 순환매가 유입되며 다우 지수의 하락은 제한적

같은 시각 발표된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예상치를 하회하고 인플레이션 기대치 역시 낮아졌으나, 여전히 물가 부담에 대한 우려가 남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킴

장 후반에는 노동절 연휴를 앞두고 '9월 효과'에 대한 경계심과 기관들의 월말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개인 투자자의 거래 위축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전반적인 매도세가 이어졌으나, 경기 방어주 강세로 다우의 낙폭은 제한됨

애널리스트들은 이번 하락이 계절적 요인과 AI 업종 조정이 맞물린 결과라고 평가했으며, 향후 연준의 통화 정책은 다음 주 발표될 8월 고용보고서가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

주요 뉴스 헤드라인




엔비디아 中 수출 막았더니, 알리바바 자체 AI칩 개발

美 7월 개인소비지출물가 2.6% 상승 … 예상치 부합

美 "삼성·SK, 미국 반도체장비 中 반출 때 건별 허가받아야"(종합)

8월 미국 소비심리 '위축'…인플레 우려 '여전'

샌프란 연은 총재, 9월 인하 찬성 시사…"곧 정책 재조정"(상보)

[뉴욕유가] 美 소비심리 악화에 사흘만에 하락…WTI 0.9%↓

알리바바 자체 AI 칩 충격에 나스닥1.15%↓마감…엔비디아 3% 넘게 뚝[월스트리트in]

"中 알리바바, 자체 새로운 AI 칩 개발"…엔비디아 주가 3%↓

실적 실망, 美반도체 업체 마벨 19% 폭락

美법원 "관세 대부분 위법"…트럼프 "철회는 국가 재앙, 상고방침"(종합)

S&P500 맵




알리바바(BABA)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가 예상치를 하회했으나, AI 수요 급증에 힘입어 4~6월 클라우드 매출이 26% 증가했고, 자체 AI 칩을 개발했다는 소식에 급등

델테크놀로지(DELL)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3분기 EPS 가이던스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자 급락

마벨테크놀로지(MRVL)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가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고, 3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낮게 제시되자 급락

엔비디아(NVDA), 브로드컴(AVGO), AMD(AMD) 등 반도체 기업들은 중국 알리바바의 자체 AI 칩 개발 소식에 하락

인텔(INTC) 미 상무부가 인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중국 법인을 '신뢰할 수 있는 최종 사용자(VEU)' 명단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하자 하락

테슬라(TSLA) 전일 유럽 판매 부진과 경쟁 업체 BYD의 판매량 급증 소식의 부정적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일론 머스크 CEO가 트위터 지분 공개와 관련된 SEC 소송을 기각해 달라고 법원에 요청하자 장기간 법적 분쟁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에 하락

섹터 실적




알리바바의 자체 AI 칩 개발 소식으로 기술주가 하락을 주도, 이어서 산업재, 소비 순환재 순으로 약세

반면, 순환매가 나타나며 경기 방어주는 상승 주도, 이어서 부동산, 헬스케어 순으로 강세

원자재, 에너지, 금융은 강보합, 유틸리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약보합 마감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PCE 물가지수, 미시간대 인플레이션 기대치, 소비자심리 등 혼재된 경제 지표를 소화하며 단기채는 하락, 장기채는 상승

7월 PCE 물가지수는 헤드라인과 근원 모두 예상치에 부합하면서 영향은 제한적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부진했고,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예상치를 하회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

미국 7월 PCE 물가지수는 2.6%로 예상치 부합, 이전 대비 변동 없음

미국 7월 근원 PCE 물가지수는 2.9%로 예상치 부합, 이전 대비 변동 증가

미국 8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58.2로 예상치 하회, 이전 대비 감소

미국 8월 미시간대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1년 전망이 4.8%, 5년 전망이 3.5%로 모두 예상치 하회

환율




달러 지수는 하락하며 달러 약세

원화, 엔화 약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하락했으며 탐욕(Greed)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상승하면서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