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투자, 요즘 이거 모르시나요?
요즘 투자 커뮤니티 둘러보면 ‘퀀트’라는 단어 자주 보이죠.
ETF에 적용됐다느니,
백테스트했다느니… 뭔 말인지 몰라도 괜히 궁금해졌다면 지금부터 정리드릴게요.
퀀트투자가 뭔가요?
‘Quant’는 Quantitative(계량적)의 줄임말.
쉽게 말하면 감이 아니라 숫자(데이터)로 종목을 고르는 투자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PER이 낮은 종목만 고른다
-과거 10년간 매년 실적이 증가한 기업만 필터링한다
-PBR 1 미만 + ROE 10% 이상만 추린다
이런 식으로 조건을 딱 정해두고 기계적으로 매매하는 게 퀀트 투자입니다.
퀀트는 직접 하나? ETF로 하나?
퀀트 투자는 두 가지로 나뉩니다.
개인이 직접 전략 짜기
→ 엑셀, 파이썬, 백테스트 툴 써서 직접 전략 만들고 돌림
→ 예) ‘밸류 + 모멘텀’ 전략으로 매달 리밸런싱
퀀트 전략이 담긴 ETF 매수
→ 이미 퀀트 전략이 녹아든 ETF를 사는 방법
→ 예) [QV Dividend ETF], [TIGER 퀀트중소형], [KODEX Fn밸류고배당]
장점과 단점은?
장점
-감정 개입 없음 (손절 타이밍 놓칠 일 없음)
-자동화로 매매가 단순해짐
-장기적 백테스트로 신뢰성 확보 가능
단점
-“이게 진짜 될까?” 하는 회의감
-전략이 시장에 공개되면 효과 약해짐
-주식 종목 교체 시 수수료·세금 부담 있음
요즘 퀀트 인기 이유?
-고금리 시대에 안전하게 수익 내는 전략 찾는 투자자 많아짐
-유튜브, 블로그 등에서 퀀트 전략 설명 콘텐츠 폭발 중
-'퀀트가 대세'는 아니지만, 하락장에서 살아남은 전략으로 관심 증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퀀트는 감 말고 공식으로 투자하는 시대의 흐름이다.”
직접 전략 짜봐도 좋고, ETF에 간접 투자해도 괜찮습니다.
‘백테스트’만 잘하면
퀀트는 확실한 투자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