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와 베타? 이거 모르면 투자 성적표 해석 못한다


“요즘 내 수익률 왜 이렇게 처참하지?”

“그런데 시장도 빠졌잖아?”


→ 여기서 바로 ‘베타(β)’와 ‘알파(α)’가 등장한다.




 베타(β)란?


 시장이 오르면 같이 오르고,

떨어지면같이 떨어지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



기준은 ‘코스피’나 ‘S&P500’ 같은 시장 지수



예시)  어떤 주식의 β=1.2면?

→ 시장이 1% 오를 때

이 주식은 평균 1.2% 오른다는 뜻


β=0.7이면?

→ 시장보다 덜 민감한 ‘방어형’ 종목



정리하면...

β > 1 : 시장보다 민감한 공격형


β < 1 : 시장보다 덜 움직이는 안정형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알파(α)란?


 시장 수익률을 ‘초과’해서

얼마나 잘 벌었는지 보여주는 수치.


시장이 5% 올랐는데, 내가 산 주식이 10% 올랐다면?

→ 알파 +5%


반대로 시장이 -2%인데, 내가 -5%였다면?

→ 알파 -3%


 즉, 알파는 ‘순수 실력’으로 벌어들인 성과를 보여줌




 실전에서는 어떻게 써먹나?


1.베타로 리스크 감지 가능


-시장 폭락기에는 β 낮은 종목이 방어에 유리


-상승장에는 β 높은 종목이 수익률 레버리지



2.알파로 펀드·운용사의 진짜 실력 확인


시장 덕분에 수익 낸 건가? vs 진짜 고수인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주식 수익률 비교할 땐

“시장 대비 어땠는가?”가 핵심.


단순히 많이 벌었느냐가 아니라,

‘알파’로 시장 대비 초과 성과를 냈는지

보는 눈이 있어야

단순 ‘뽀록’이 아니라 실력 투자자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