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닝 서프라이즈가 뭐길래?

실적발표 시즌 용어 완전 정리


주식하다 보면 실적 발표 시즌마다

등장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이번 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네요!”

“컨센서스 미달이라 주가 폭락했네요”


처음엔 낯설지만, 실적 발표 때마다

반복되는 중요한 용어입니다.


이 글에서는 어닝 서프라이즈, 어닝 쇼크, 컨센서스가 뭔지,

그리고 이게 주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컨센서스(Consensus)란?


애널리스트(증권사 리서치 센터)들이 전망한 실적 평균값


예: A기업의 2분기 예상 영업이익이 1,000억

→ 이게 컨센서스


실제 발표치가 이 예상치보다 높으면 ‘서프라이즈’

낮으면 ‘쇼크’


※ 쉽게 말하면 "시장 기대치"라고 보면 됩니다.

※ ‘에프앤가이드’나 ‘와이즈리포트’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참고합니다.



 어닝 서프라이즈

(Earnings Surprise)


실제 실적이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한 경우를 뜻함


일반적으로 주가 상승 요인이 됨


예) 컨센서스 1,000억인데 실제 실적 1,300억

→ +30% 초과



단, 주의점


시장이 이미 실적호조를 반영해 주가가 먼저 올랐다면?

=오히려 호재 소멸로 주가가 빠질 수도 있음




어닝 쇼크

(Earnings Shock)


실제 실적이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한 경우를 뜻함


대체로 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


예) 컨센서스 1,000억인데 실제 실적 600억

→ -40% 미달


-기업 신뢰도나 업황에 대한 우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시장에 충격을 준다는 의미에서

   “쇼크”라는 표현을 씁니다.



그럼, 실적 잘 나왔으면

무조건 주가 오르나?


꼭 그렇진 않습니다.

실적이 아무리 좋더라도 주가는 아래 요인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어닝 서프라이즈 + 저평가 상태

=급등 가능성 큼


어닝 서프라이즈 + 이미 선반영

=보합 혹은 하락 가능


어닝 쇼크 + 악재 선반영

=오히려 반등 가능


어닝 쇼크 + 추세 하락 중

=추가 하락 가능



실전 팁: 실적발표 이후 주가 확인법


장 시작 전에 실적 발표된 경우

→ 장 시작과 동시에 주가가 요동칩니다.

거래량 체크 필수


장 마감 후 발표된 경우

→ 다음 날 시초가 움직임 확인 필수.

갭 상승/하락 주의




정리하자면


컨센서스 = 시장의 기대치


어닝 서프라이즈 = 기대보다 잘 나옴


어닝 쇼크 = 기대보다 못 나옴


실적은 절대적인 숫자보다도, 기대와의 차이가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