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국내 경제 성장이 위축되면서, 가계 경제 또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런 경제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시장의 통화 유동성을 높이려, 8월 초부터 전 국민에게 소비쿠폰 제공, 9월 소비쿠폰 2차 및 상생페이백 제공으로 소비를 촉진 시켜려 하고 있습니다.

 

국내 소비가 살아나야, 소상공인들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 지며 그로 인한 기업의 매출 또한 증가하는 등 경제 통화 순환을 통해 어려운 경제 상황을 극복 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정부의 경제 활성화 지원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보고 있는지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20258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관련한 보고서를 통해 좀 더 알아보고자 합니다.

 

다만 현재 8월초부터 시작된 소비쿠폰 제공을 통한 소비자 지출의 영향은 시기상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20258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출처 : 한국은행

 

8월 중 소비자심리지수(CCSI*) 111.4로 전월 대비 0.6p 상승

 

* CCSI(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 소비자동향지수(CSI)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심리지표로서장기평균치(2003 1 ~ 2024 12)를 기준값 100으로 하여 100 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

 


01. 소비자 심리지수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는 8월 중 111.4로 전월 대비 0.6p 상승



 




02. 소비자 동향지수


1)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

 

ㅇ 현재생활형편CSI(96)는 전월 대비 2p 상승하고 생활형편전망CSI(101)는 전월과 동일

 

ㅇ 가계수입전망CSI(102) 및 소비지출전망CSI(111)는 모두 전월과 동일



 


2)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ㅇ 현재경기판단CSI(93)는 전월 대비 7p 상승하였으나, 향후경기전망CSI(100)는 전월 대비 6p 하락

 

ㅇ 취업기회전망CSI(92)는 전월 대비 6p 하락하고 금리수준전망CSI(95)는 전월과 동일

 




3) 가계 저축 및 부채상황에 대한 인식

 

ㅇ 현재가계저축CSI(97) 및 가계저축전망CSI(101)는 모두 전월과 동일

 

ㅇ 현재가계부채CSI(99)는 전월과 동일하고 가계부채전망CSI(97)는전월 대비 1p 상승



 


4) 물가상황에 대한 인식


ㅇ 물가, 주택가격 및 임금수준전망

- 물가수준전망CSI(145)는 전월 대비 2p 상승

- 주택가격전망CSI(111)는 전월 대비 2p 상승하고 임금수준전망CSI(123)는 전월 대비 1p 하락



 

ㅇ 기대인플레이션율

- 지난 1년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은 3.0%로 전월 대비0.1%p 하락

 

-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전월 대비 0.1%p 상승한 가운데, 3년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5%로 전월 대비 0.1%p 상승, 5년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5%로 전월과 동일



 

-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에 대해 2~3%대의 응답 비중이 가장 많았으나 비중은 전월 대비 0.4%p 감소하였고, 3년후 및 5년후기대인플레이션도 2~3%대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음



 

-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은농축수산물(56.1%), 공공요금(40.3%), 공업제품(32.1%) 순이었으며, 전월에 비해서는 농축수산물(+8.1%p)의 응답 비중이 증가한 반면, 석유류제품(△6.9%p), 공공요금(△1.9%p) 비중은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