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최근 일본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미국 증시와 그 궤를 같이 하고 있습니다. 일본 기업들이 금융시장의 자본시장 개혁에 적극 동참함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는 물론, 일본내 투자자들까지 주식 시장 참여가 확대 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에 '일본 니케이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배경 및 주가 전망' 관련하여 국제금융센터 보고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의 기업가치 제고 정책 진행 현황 및 주가 동향

국제금융센터 이은재 부전문위원 / 이다영 연구원


01. 현황

일본 주가가 8월중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TOPIX 금년 11%, 작년 +18%)인 주요 배경 중 하나로 기업들이 일본 금융당국의 기업가치 제고 정책 기조 하에 주주환원 확대 및 지배구조 개선에 나서고 있는 점이 지목

1) 이행 상황

● 일본 기업들은 TSE(도쿄증권거래소) 등이 주도하는 자본시장 개혁*에 부응하기 위해 '주주환원 확대', '기업구조 개선', '성장분야 투자 확대' 등을 실천

* 23년 3월 TSE는 기업들에게 '자본비용과 주가를 고려한 경영'을 실천할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

1) 자사주 매입

FY 24년(24년 4월 ~ 25년 3월) TOPIX 기업의 자사주 매입 규모는 전년대비 85% 급증한 18.7조엔으로 역대 최고 금액과 증가율을 기록. FY'25년 들어서도 누적 10조엔의 자사주 매입을 발표(25.4 ~ 8월 중순)




2) 배당금

FY'24년 TOPIX 기업의 배당성향(Dividend Payout Ratio)은 35.6% 수준을 기록(vs FY'21 ~ 23년 평균 33.8%)하며 개선세

배당성향이 40% 미만인 기업 비중은 감소(FY 19년 63% → FY 24년 56%). 60% 이상인 기업 비중은 증가(FY 19년 16% → FY 24년 17%)

● 이에 따라 순이익 대비 총주주환원 비율을 57%로 코로나 시기를 제외하고 최고치 기록(FY 20년 42.5%, FY 21년 39.5%, FY 22년 50%, FY 23년 46.6%)

3) 지배구조 개선

대형 기업을 중심으로 사장 자회사 흡수합병 또는 상장폐지, 전략적 지분 축소,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 등 구조조정 움직임이 활발

● 도요타 그룹(토요타 인더스트리 상장 폐지), NTT(NTT 데이터 공개 매수), NEC, 후지쯔, 이온 그룹 등 대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구조 조정을 단행

● 인수합병과 경영자 매수(MBO, Management Buyout)* 급증하면서 상장폐지되는 기업이 증가. 올해 들어 상장폐지되거나 상장폐지 계획 중인 일본 기업은 79개로, 올해 연간 기준으로 지난해 상장폐지 기업 수(94개)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

* 행동주의 펀드 등에 대한 대응으로 현 경영진이 주주로부터 주요 지분을 매수




● 전략적 지분(Strategic Shares)* 잔액은 FY 23년 60조엔 → FY 24년 50조엔으로 감소

* 협력관계 유지 및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지분 투자 및 상호출자. 일본의 오랜 관행인 전략적 주식 보유는 자본의 비효율적 사용, 기업 개혁 저해, 반경쟁적 행위 원인으로 지적

4) 금융당국 조치

정기 회의를 통해 기업들의 이행 사항을 리뷰하고 아젠다를 확인. 7월에는 모든 상장기업들의 IR 시스템 구축을 의무화하고, MBO 및 자회사 전환 시 소액주주 보호를 위한 규정 개정안을 발표

● 시장별 상장 기준

25년 7월 22차 회의에서 상장기준 미달* 상장기업 수(208개)가 24년말 247개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평가. 기준 미달 기업과는 개별 면담을 통해 시장 변경이나 상장폐지 등 2차 계획을 검토하도록 독려할 계획

* 도쿄증권거래소는 22년 3개 시장(Prime, Standard, Growth)으로 재편되었으며, 상장기준(거래가능 시총 비율, 거래가능주식 비율, 최소 매매대금 혹은 주주 숫자 등)을 충족하지 못하는 기업은 26년 2월 상장폐지 조치

● IR 활동

일부 상장 기업들이 IR 활동을 하지 않거나 소홀히 하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IR 시스템 개발을 의무화했으며 미이행할 경우 공론화할 것이라고 언급


● 소액주주 보호

MBO 혹은 자회사 전환 시 거래 공정성 평가를 강화하는 규정을 법제화. ① 사외이사와 전문가로 구성된 독립적인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② 특별 위원회는 거래의 공정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며 ③가치평가 근거 공개를 강화*

* 주식 가치평가의 합리성, 재무 예측의 근거가 된 가정, 사업용 자산과 비사업용 자산의 구분 등을 명확히 설명할 필요.

● 기업별 경영이행

TSE가 권고한 "자본비용 및 주가를 고려한 경영"에 대한 기업들의 이행 상황을 월별로 공개. 경영 계획을 검토 중(6개월 시한)인 기업들의 자료 공개를 촉구하며 올해부터 기관투자자와 소통 강화를 원하는 기업을 공개

- 8월 발표에 의하면, Prime 시장 상장기업(1,495개)의 92%와 Standard 시장 상장기업(817개)의 52%가 이행 계획에 대한 공시를 완료(검토 중임을 공시한 기업 포함). 이들 가운데 1,335개 기업이 최초 공시 이후 공시 내용을 업데이트를 완료

5) 주가 동향

일본 TOPIX 지수는 지난해 강세(+18%)에 이어 올해 들어서도 11% 상승. 외국인들은 연초 이후 일본 증시를 5조엔 순매수




● 최근 TOPIX 지수는 8월 18일 사상 최고치(3,121)를 경신한 이후 소폭 하락(8월 22일 현재 고점 대비 -0.6%). 외국인 주식을 3년 연속 순매수

● 올해 주가 호조 배경으로은 ▲양호한 거시경제 흐름* ▲ 대미 관세 불확실성 완화 등의 영향이 있으나, 자본시장 개혁과 같은 구조적 요인도 가세했다는 평가

* 2분기 GDP 전분기대비 연율 1.0%(시장 예상치 0.4%), 1분기 확정치 상향 등(-0.2% → 0.6%)




2) 평가

주요 IB들은 일본 기업들의 배당과 자사수 매입 등 주주환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ROE(자기자본이익율) 등 수익성 개선의 실질적인 가시화가 밸류에이션 재평가에 핵심 요인이라고 평가

● 현재 60% 미만인 TOPIX 기업의 총주주환원율은 70~80%까지 높일 수 있을 전망. 향후 중소형주에 대한 기준 강화와 지수 편입 제외 등의 과정을 통해 현재 9% 내외인 ROE는 FY 26년 10%, FY 28년 11% 이상을 기록할 가능성

- 지난해 이례적인 주주환원 증가 등 정책이행에도 불구하고, 주가 리레이팅이 실현되지 않았으나, 본격적인 ROE 개선과 함께 P/E는 3년 후 17~18배까지 상승하면서 01~06년 고이즈미 시기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재무 레버리지를 확대하고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등의 사업 구조조정을 병행 한다면 중장기적으로 400bp 이상의 ROE 증가를 예상

● 정부, 기업, 전문가 집단 간 유기적인 협력과 건전한 상호 압력이 일본 기업가치 제고 정책을 이행하는 강력한 추진력이며, 일본 사회를 특정짓는 중요한 요소


지금까지 '일본 니케이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배경 및 주가 전망' 알아보았는데요. 일본의 자본시장 개혁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정책으로 일본 주식에 대한 투자자들의 믿음이 주가를 최고치에 이르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기업의 목적은 '이익 추구' 이지만, 기업들은 이익 추구를 비록한 기업에 투자한 주주들의 가치도 제고'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주주에 대한 환원정책, 기업의 건전성 개선 등이 현재의 일본 주식의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고 보고,

한국의 주식 시장 또한 상법 개정을 통한 기업의 건전성 확보, 주주 가치제고를 위한 환원정책까지 이루어 져야 현재의 3000~3200선의 박스권이 깨고 올라 갈 것입니다.

현재의 한국 주식시장은 상법 개정안에 대한 불신과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과 조금은 상반된 정책 개정안 이슈로 주식시장에 혼란스러운데요.

일본의 금융 당국의 정책으로 주식 시장이 활성화되는 성공 케이스를 본다면 한국의 금융 당국도 벤치마킹으로 통해 주주에 대한 환원 정책은 물론 기업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상법 개정안으로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여러분들이 성공 투자 여정을 응원합니다.


일본 니케이225 지수는 '잃어버린 30년'을 보상하듯 작년 18%, 올해 들러 +11% 이상 상승하면서 8월 중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에 있는데요. 과연 일본이 현재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배경은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