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대기업 부부의 사연인데,

대출없이 현금모아 집을 사고 싶다고 하네요,

자동차도 아니고 부동산을 대출없이 사는건

힘들텐데 사연을 한번 보시죠!



남편 연봉 2억, 내 연봉 0.8억이라 금전문제에서 내 발언권이 좀 약한데 남편이 대출 없이 집사구싶대ㅠㅜ

설득해야될까 아님 그냥 남편말 따라야할까??

​​

우리가 1년에 1억씩 돈모으고 있어서..

남편이 8년 뒤까지 8억 모아서 그때 좋은집 사구싶대.

그때는 연봉도 더 오를테니 8억 이상 모을걸로 기대하나봐.

남편은 집값이 앞으로 떨어질테니 기다리자고 하면 설득해볼텐데 그게 아니라 그냥 집값이 오르든 떨어지든 지금 대출받아 사기는 싫다는 입장이야.

8년 뒤에 집값 또 많이 오르면 아쉽겠지만 어쩔 수 없대.

​난 물가상승률이나 화폐가치 하락같은걸 생각하면 8년뒤는 무조건 지금보단 올라있을거 같은데 설득이안되네...

참고로 지금 모으는 돈은 절반은 예적금, 절반은 남편주식에 들어가있구..

남편주식은 대형주 위주라 내가 볼 때 나름 큰 이득은 아니더라도 안전하게 하고있는 것 같아.

----------------------------------------------------------------------


남편은 보통의 대기업이 아니라

외국계 반도체 기업 혹은 대형 컨설팅사 임원(파트너급)으로 보이네요.

어찌됫건 둘이 합쳐 연봉이 2.8억 원

매월 1천만원씩

매년 1억원씩 예적금 및 주식으로

모아갈 수 있는 어마무시한 현금흐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8년후에

집값이 올랐을까요? 내렸을까요?

아니, 두개의 가정을 다 무시하더라도

지금당장에라도

서울에 8억 원으로 대출없이 집을 사는건 힘들지 않나요?

강남3구 및 용산구

마용성을 제외하면

노도강 혹은 구로구에 20평대 구축은 가능한 금액이겠네요!

경기도권까지 확장하면

안양(인덕원) 20평대 신축까지도 커버가능하구요!

물론 이건 8년후에도

지금의 집값이 유지된다는 가정입니다.

(확률은 극히 드물구요)


게다가, 제가 만약 8억 원의 현금이 있다면

딱 그만큼의 돈으로 구로구나 안양에 대출없이 집을 사면

100% 후회할겁니다.

대출을 조금만 받으면

서울에서 마용성을 노려볼 수 있고,

상급지에서 누릴 수 있는 직주근접 및 각종 인프라,

+ 부동산 활황기때 초과수익까지 감안하면

상급지를 선택안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죠

더군다나 연봉 2.8억 원이라는 무시무시한

현금흐름까지 갖췄으면 더더욱 망설일 필요가 없는거죠.


대학입시도 서성한 수석으로 들어가는 것보다

서연고 추가합격으로 들어가는게

전략적으로 더 잘한거고

인생에서 압도적으로 우위를 점하는 길입니다.

인생은 늘 선택의 연속임을 잊지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