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마감 시황 체크 ★
2025년 8월 22일
잭슨홀 앞두고 3대 지수 하락
오늘 밤 11시 파월 연설 주목
탄탄한 미국 경기,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확장세
월마트 및 타깃, 관세에 따른 실적 및 가이던스 영향
■ 미국 증시 마감 (다우존스/ 나스닥/ S&P 500)
★ 미국 증시 섹터별 흐름 ★
에너지 및 원자재 주 상승
필수 소비재 및 유틸리티 주 하락
★ 오늘의 특징 주 ★
■ 월마트, 실적 전망
✓ 실적 전망 상향 조정
2026회계연도 매출 증가율 전망: 3.75~4.75% (기존: 3.0~4.0%)
조정 주당순이익(EPS) 전망: 2.52~2.62달러 (기존: 2.50~2.60달러)
✓ CFO 발언 요지 (존 데이비드 레이니)
소비자는 회복력 있고 일관된 소비 행태 유지 중
관세 부담은 초기 단계, 하반기 중요성 강조
일부 품목은 관세 비용 전가했으나, 영향 최소화 노력 중
사고 관련 보험 비용 증가로 2분기 실적 하락
✓ 2분기 실적
조정 EPS: 0.68달러 (예상치 0.74달러에 미달)
매출: 1,774억달러 (예상치 1,761.6억달러 상회)
✓ 수입 비중 및 주요 국가
미국 판매 제품 중 1/3이 수입품
주요 수입국: 중국, 멕시코, 캐나다, 베트남, 인도
■ 타깃, 2분기 순이익 급감
주당순이익(EPS) 2.05달러 (전년 동기: 2.57달러 → 21.5% 감소)
매출액 252억1,100만 달러 (전년 대비 0.9% 감소)
동일 매장 매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
고객 거래 건수 1.3% 감소
거래당 평균 지출 금액 0.6% 감소
연간 EPS 가이던스 7.0~9.0달러 (기존 8.8~9.8달러에서 하향 조정된 수치 유지)
전체 판매 상품의 약 50%가 수입품 → 관세 부담도 실적 부진 요인
★ 발표된 경제 지표 ★
■ 8월 미국 제조업·서비스업, 확장세 지속
✓ 제조업 PMI (예비치)
53.3 (전월 49.8 → 3.5p 상승)
39개월 만에 최고치
시장 전망치(49.5) 상회, 확장세 전환
✓서비스업 PMI (예비치)
55.4 (전월 55.7 → 0.3p 하락)
시장 전망치(54.2) 상회, 확장세 유지
✓ 합성 PMI (제조업+서비스업)
55.4 (전월 55.1 → 0.3p 상승)
8개월 만에 최고치
✓ S&P 평가
"올해 중 가장 빠른 속도의 성장"
"3분기 미국 경제의 강한 실적을 시사"
■ 중국,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 도입 추진
✓ 정책 전환
디지털 자산 전면 금지(2021년) →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추진
달러 중심 글로벌 통화 질서에 도전하려는 전략적 포석
✓ 정부 계획
‘위안화 국제화 로드맵’ 이달 말 국무원 회의서 심의·승인 예정
위안화의 글로벌 사용 확대
금융당국의 규제 역할 강화
리스크 관리 지침 제시
고위급 집단학습 통해 스테이블코인 활용 방향 제시 예정
✓ 시범지역
홍콩: 8월 1일부터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규제법 시행
상하이: 디지털 위안화 국제 운영센터 설립 추진
✓ 국제 행사 활용
SCO 정상회의(8/31~9/1, 톈진) → 위안화 및 스테이블코인 통한 국경 간 결제 논의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