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마감 시황 체크 ★

2025년 8월 15일

  • 3대 지수 혼조 마감

  • 예상보다 높은 PPI 충격에 증시 하락

  • 금리인하 기대감 후퇴

  • 트럼프, 인텔을 국유화 할 것! 인텔 급등

  • 유나이티드헬스, 버크셔가 대량 매수

  • 어플라이 머티리얼,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폭락 중

■ 미국 증시 마감 (다우존스/ 나스닥/ S&P 500)





★ 미국 증시 섹터별 흐름 ★

  • 헬스케어 및 금융주 상승

  • 신업 및 원자재 주 하락




★ 오늘의 특징 주 ★

어플라이 머티리얼즈, 시간 외 급락 중

3분기 실적(7월 종료)

  • 주당순이익(EPS): $2.48 (예상치 $2.36 상회)

  • 매출: $73억 (예상치 $72.2억 상회)

4분기 가이던스(예상)

  • EPS: $1.91~$2.31 (시장 전망 하회)

  • 매출: $62억~$72억 (시장 전망 하회)

  •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주가 14% 하락 중

  • CEO 게리 디커슨: “역동적인 거시경제·정책 환경으로 단기 불확실성 및 가시성 저하”

  • CFO 브라이스 힐:약화된 전망 원인 → 중국 생산능력 소화, 시장 집중, 공장 가동 타이밍 등으로 인한 선도 고객들의 비선형적 수요

유나이티드 헬스, 버크셔 매수 소식에 급등 중

  • 버크셔 해서웨이, UNH 주식 500만 주 신규 매입

  • 장 마감 후 주가 9% 급등

  • 지분 가치는 약 13억7천만 달러 (목요일 종가 기준)

  • UNH 최근 상황: 2024년 2분기 실망스러운 실적 및 가이던스 하향

  • 의료 비용 급증, 연방 조사, CEO 살해 사건 여파, 작년 사이버 공격 등 악재

  • 연초 대비 주가 46% 하락

  • 버크셔 해서웨이 신규 포지션

  • Nucor Corp (NUE): 660만 주

  • DR Horton Inc (DHI): 150만 주

  • Allegion PLC (ALLE): 78만 주

  • Lamar Advertising Company (LAMR): 120만 주

■ 인텔, 미국 정부 참여 계획 발표

  •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 지분 취득 논의 소식 → 주가 7% 급등

  • 인텔의 국내 반도체 제조 확대 지원

  • 특히 오하이오 공장 허브 건설(수차례 지연) 지원

  • 오하이오 부지: 인텔이 세계 최대 칩 제조 시설로 개발 계획

협상 배경

  • 이번 주 트럼프 대통령 – 인텔 CEO 립부 탄 회의에서 논의 시작

  • 지분 규모 미정, 미국 정부가 투자 비용 부담 예상

인텔 현황

  • 최근 몇 년간 제조 지연·경쟁 심화로 어려움

  • 제조 역량 재활성화 및 기술 리더십 회복 노력 중

정책적 맥락

  • 공급망 보안 강화

  • 중국과의 기술 경쟁 대응

  • 국내 반도체 생산 확대라는 미국 정부의 광범위한 전략과 부합

★ 발표된 경제 지표 ★

■ 미국 7월 PPI 전월비 0.9% 급등, 금리인하 가능성 후퇴

✓ 7월 PPI(생산자물가지수)

  • 전월 대비 +0.9% (시장 전망 +0.2% → 3년여 만 최고, 2022년 6월 이후 최고)

  • 전년 동기 대비 +3.3%

✓ 근원 PPI(식품·에너지 제외)

  • 전월 대비 +0.9% (시장 전망 +0.2% 상회)

  • 전년 동기 대비 +3.7%

✓ 세부 지수

  • 상품지수: +0.7% (올해 1월 이후 최고)

  • 상승분 25%는 신선·건조 채소 +38.9% 영향

  • 휘발유: -1.8%

  • 서비스지수: +1.1% (2022년 3월 이후 최고)

  • 절반 이상이 유통 서비스 마진 +2.0% 영향 (2022년 3월 이후 최고)

  • 기계·장비 도매 마진: +3.8%

  • 무역·운송·창고 제외 서비스: +0.7%

  • 운송·창고 서비스: +1.0%

✓ PCE 물가지수 반영 항목

  • 포트폴리오 관리: +5.8% (6월 +2.1%에 이어 2개월 연속 상승)

  • 항공료: +1.0% (전월 -2.3%에서 반등)

  • 병원 외래 진료: -0.5%

  • 입원 진료: +0.1%

✓ 의미 및 배경

  • 높은 PPI 상승률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기업 비용 전가 가능성을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