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한층 높아지며 3대 지수와 러셀2000이 모두 상승 마감

S&P500과 나스닥은 장중 신고가를 경신했으나 상승 폭은 제한되며 약보합 수준에 머물렀고, 금리에 민감한 다우와 러셀2000이 상승을 주도하며 순환매 장세가 나타남

개장 전에는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9월 FOMC 회의에서 50bp 인하를 압박하며, 기준금리는 현재보다 1.50~1.75%p 낮아야 한다고 발언

이에 따라 FedWatch에서는 9월 25bp 인하를 기정사실화하고, 일부에서는 50bp ‘빅컷’ 가능성까지 반영하는 분위기가 확산됨

장 초반 증시는 금리 인하 기대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으며, 특히 금리에 민감한 다우와 러셀2000이 강세를 보임

CNBC가 제롬 파월 연준 의장 후임으로 11명의 후보군이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3~4명으로 압축했다며 조기 지명을 시사하자 금리 인하 기대감은 더욱 강화

그러나 AI 특화 GPU 클라우드 인프라 업체인 코어위브가 대규모 자본지출과 부채 부담 우려로 급락하며 AI 산업 전반의 수익화 논란이 재점화

이에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일부 대형 기술주가 하락 압력을 받음

장중에는 코어위브 악재 속에서도 AMD가 엔비디아 의존도 축소 기대와 AI 칩 산업 다극화 가능성 부각으로 강세를 보이며 반도체 업종 전반의 낙폭을 제한

특히, 경쟁사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전용칩 ‘루빈’의 재설계로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

한편,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와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가 금리 인하 결정 전에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더 명확히 파악해야 한다며 매파적 발언을 내놨지만, 시장 영향은 제한적

장 마감 무렵에는 금리 인하 기대에 따른 순환매와 옵션만기일을 앞둔 수급 유입으로 상승세를 유지하며 거래를 마침

시장의 관심은 이제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매판매 등 향후 금리 인하 강도를 가늠할 경제지표로 이동

주요 뉴스 헤드라인




"美, 밀수위험성 높은 첨단 칩에 이미 위치추적장치 사용"

베선트, 연준에 '빅컷' 압박…"현 금리 최소 1.5%p 낮아야"

"美연준 차기의장 후보군에 월가인사 등 총 11명 올라"

트럼프 "차기 연준의장 후보 3~4명으로 좁혀"…조기지명 시사

연준 간부들 “시장 금리 인하 기대 너무 성급하다” 잇달아 경고

美원유 재고 증가, WTI 0.66% 하락한 배럴당 62.75달러

S&P·나스닥 연이틀 신고가…CPI 효과 지속, 연준 '빅컷' 기대[뉴욕마감]

[뉴욕증시] 사상 최고 행진 지속…불리시 폭등, 코어위브 폭락

AMD 도전에 차세대 칩 출시 지연될 수도…엔비디아 0.83%↓

“비트코인 과연 쭉 오를까?”…한 달 만에 역대 최고가 또 기록

S&P500 맵




코어위브(CRWV)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EPS가 부진하자 AI 수익성 우려가 확대되며 급락

엔비디아(NVDA) 경쟁사인 AMD의 추격을 고려하여 자사의 차세대 AI 칩 '루빈'을 재설계하고 있기 때문에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 코어위브의 실적 부진으로 AI 수익성 우려가 확대되자 하락

아마존(AMZN) 미국 내 주요 도시에서 신선식품 당일배송 서비스를 본격화한다는 소식에 상승

테슬라(TSLA) 지난 6월 텍사스 오스틴에서 로보택시를 출범한 가운데, 최근 뉴욕에서 로보택시 운행을 위한 데이터 수집 요원 채용공고를 냈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약보합 마감

불리쉬(BLSH) NYSE에 상장되어 첫 거래가 이뤄졌으며 장중 공모가인 37달러 대비 219% 폭등한 118.00달러까지 치솟았으나 상승 폭을 반납하며 68.00달러로 마감

웹툰엔터테인먼트(WBTN) 전일 장 마감 후 월트디즈니(DIS)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을 맺으면서 디즈니와 마블, 스타워즈, 20세기 스튜디오의 인기작이 세로 스크롤 방식 웹툰으로 제작된다는 소식에 급등

섹터 실적




9월 FOMC 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욱 강화되면서 대부분 섹터가 상승

특히 금리에 민감하고 최근 낙폭이 컸던 헬스케어 섹터가 상승을 주도했으며 이어서 소비 순환재, 원자재, 부동산, 에너지, 금융, 산업재 순으로 강세

유틸리티 섹터는 강보합, 경기 방어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기술 섹터는 약보합 마감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특별히 영향력 있는 지표 발표는 없는 가운데, 전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이후 금리 인하 기대감이 확대되면서 전반적으로 하락

특히,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9월 FOMC에서 50bp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기준금리는 현재보다 1.50~1.75%p 낮아야 한다고 발언하자 금리 인하 기대감은 더욱 강화

환율




달러 지수는 하락하며 달러 약세

엔화 강세, 원화 약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큰 변동없이 탐욕(Greed)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하락하면서 변동성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