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하루 앞두고 경계 심리가 확산되며 3대 지수와 러셀2000이 모두 약보합으로 마감
개장 전에는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인 중국 CATL이 장시성 대형 리튬 광산 채굴을 일시 중단한다는 소식에, 2년 넘게 공급 과잉에 시달리던 탄산리튬 선물 가격이 급등
장 초반에는 CPI 발표를 앞두고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관망세가 맞서며 보합권에서 출발
엔비디아와 AMD는 대중국 반도체 칩 수출 재개를 대가로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에, 중국 수출 기대와 비용 부담 우려가 엇갈리며 변동성을 보임
장중에는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50%의 관세를 부과받은 인도에서 미국산 제품 불매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는 소식에 애플·아마존 등 관련 기업 주가가 하락
또한 C3.ai의 실적 부진이 전해지며 팔란티어 등 AI 소프트웨어 관련주가 약세를 보임
반면, 마이크론은 AI용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급증을 이유로 4분기 전망을 상향 조정하며 상승했고, 테슬라는 전기 공급 분야에 진출하며 사업을 다각화하자 상승하며 종목 장세가 나타남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휴전을 90일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다는 소식이 나왔지만, 이미 시장에 상당 부분 반영된 사안이라 증시 영향은 제한적
이와 함께 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이에 금 가격이 급락
장 마감 무렵에는 CPI 발표를 앞두고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주요 지수는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고, VIX 지수는 7% 넘게 급등하며 변동성 확대를 반영
전반적으로 CPI 발표를 앞둔 경계심이 시장을 지배했으며, 개별 이슈에 따른 종목별 장세가 전개
금리 인하 기대가 여전히 유효하지만, CPI가 예상치를 웃돌 경우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관망 심리를 자극
中CATL, 리튬 광산 생산 일시중단 발표…업계는 환영, 왜?
50%관세 얻어맞은 인도, 美제품 보이콧 급속 확산
'대중국 칩 판매수익 15% 美정부 양도' 계약 당사자는 트럼프
트럼프 "금은 무관세"…금값 급락
"차기 미국 연준 의장 후보에 보먼·제퍼슨·로건 등 추가"
트럼프, 중국과 ‘관세 휴전’ 90일 연장 행정명령
[국제유가] 미·러 정상회담 기다리며 관망 지속
뉴욕 증시, CPI 발표 앞두고 경계 매물에 반락 마감···다우 0.45%↓ 나스닥 0.3%↓
美 최대 D램 업체 마이크론 실적 전망 상향, 주가 4% 급등
AI 스타트업 C3 ai 실적 미달+CEO 투병, 주가 25% 폭락
엔비디아(NVDA) 중국향 AI 반도체 'H20'의 대중 수출을 허가해주는 조건으로 매출의 15%를 미 정부에 제공한다는 소식에 중국 수출 기대감과 비용 증가 우려가 엇갈리며 약보합 마감
AMD(AMD) 엔비디아와 마찬가지로 중국향 AI 반도체 'MI308'의 대중 수출을 허가해주는 조건으로 매출의 15%를 미 정부에 제공한다는 소식에 중국 수출 기대감과 비용 증가 우려가 엇갈리며 약보합 마감
테슬라(TSLA) 영국 전력 규제 당국인 '오프젬'에 전력 공급업체가 되기 위한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전기 공급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한다는 소식에 상승
마이크론(MU) AI용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급증하면서 4분기 매출 전망을 112억~113억달러로 제시하자 상승
인텔(INTC) 최근 립부 탄 CEO가 중국과의 밀접한 관계 의혹을 받으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사임을 요구하자 주가가 하락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립부 탄 CEO와 면담 후 다음 주에 제안을 가져오기로 했다고 언급하자 관계 개선 기대감으로 상승
C3.ai(AI) 지난 주말 1분기 예비 매출이 720만~7040만 달러라고 밝히며 예상보다 33% 부진한 가운데, 창업자이자 CEO인 톰 시벨이 건강 문제로 후임 CEO를 찾는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급락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경계하며 전반적으로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임
에너지 섹터가 하락을 주도했으며 이어서, 부동산, 기술 순으로 약세
경기 방어주, 헬스케어, 소비 순환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강보합, 원자재, 유틸리티, 산업재, 금융은 약보합 마감
미국 국채 금리는 특별히 영향력 있는 지표 발표가 없는 가운데,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하루 앞두고 금리 인하 기대와 물가 상승 우려가 엇갈리며 약보합권에서 마감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원화 강세, 엔화 약세
공포 탐욕 지수는 큰 변동없이 탐욕(Greed)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상승하면서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