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미국 증시 시황 체크

(S&P500)



주요 지수/지표 체크

(지난 거래일 대비)


나스닥

21,450.02 / +207.33(+0.9%)

S&P 500

6,389.45 / +49.45(+0.7%)

다우존스

44,175.61 / +206.97(+0.4%)

VIX 지수

15.15 / -1.42(-8.5%)

원/달러 환율

1,393.8원 / +9.6원(+0.6%)

달러 인덱스

98.18 / -0.22(-0.2%)

공포 탐욕 지수

59p / +5p(탐욕 구간)


주요 뉴스 체크


📰 3534달러 금값 신기록 ‘하루천하’…백악관, 스위스 금괴 ‘39% 폭탄 관세’ 수정 예고

→ 글로벌 금 시장이 하루 만에 급등과 조정을 겪은 배경에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의 스위스 금괴 관세 판결이 있었습니다. 39%라는 고율 관세 소식에 금 선물 가격은 트로이온스당 3,534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으나 곧 백악관이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겠다고 나서면서 가격이 3,460~3,495달러대로 조정됐습니다. 이번 사태는 실물 금 거래 허브인 스위스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사안이라 향후 행정명령 발표 전까지 금·귀금속 시장의 변동성이 상당히 클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 급등에 휩쓸리기보다 장기적인 금 수요 흐름과 안전자산 역할을 점검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1조원 투자한 한국 ‘하늘 방패 L-SAM’ 첫 공개…세계 3번째 독자개발 쾌거

→ 한국이 1조 1천억 원을 투입해 개발한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L-SAM의 대항공기 요격미사일(AAM)이 첫 공개됐습니다. PAC-2 GEM-T를 대체하며 SM-2와 유사한 성능을 갖춘 이 무기는 ABM(대탄도탄)과 함께 하나의 발사대에서 운용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특히 국내 기술로 시커와 직격 비행체까지 개발했다는 점에서 기술 자립도를 크게 높였습니다. 중동, 폴란드, 호주 등 해외 수출도 추진 중으로 방산 수출 다변화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의 상층 방어를 담당하는 L-SAM은 향후 L-SAM-II 개발로 방어 범위를 3~4배 늘릴 계획입니다. 방산 투자자에게는 장기 성장 모멘텀을 확인할 수 있는 뉴스입니다.


📰 엔비디아, 이틀 연속 주가 사상 최고 경신…오픈AI·테슬라가 도와

→ 엔비디아 주가가 오픈AI GPT-5 출시와 테슬라의 자체 반도체 개발 축소 소식에 힘입어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오픈AI는 GPT-5 개발에 필수적인 GPU 공급 파트너로 엔비디아를 언급했고 테슬라는 반도체 개발 대신 자율주행·로봇 사업에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AI 반도체 시장 점유율 경쟁에서 엔비디아의 우위를 강화하는 호재입니다. 주가는 182.73달러로 마감하며 주간 5% 이상 상승했습니다. AI 투자 섹터의 지속적인 모멘텀과 반도체 수요 구조를 다시금 확인시켜주는 흐름입니다.


📰 [속보] 리플 돌연 폭등 SEC 소송 마침내 ‘최종 종결’…ETF 승인 급물살

→ 2020년부터 이어진 SEC와 리플랩스 간 소송이 완전 종결되면서 XRP 가격이 10%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일본 SBI홀딩스의 리플 ETF 출시 추진과 트럼프 대통령의 퇴직연금 암호화폐 허용도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다만 SEC 위원 중 일부의 반대 의사가 남아 있어 ETF 승인 과정에서 변동성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금융권 80% 이상이 리플 결제 솔루션을 채택한 만큼 ETF 승인 시 아시아 시장에서 암호화폐 제도권 진입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가상자산 투자는 여전히 규제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제도권 편입 흐름은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美, 중국 조선소 ‘손절’하고 한국에 러브콜…50% 관세 파격 면제

→ 미국 의회가 ‘상선 동맹국 파트너십법’을 발의하며 중국 조선소 의존도를 줄이고 한국·일본 조선소를 우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법안이 통과되면 동맹국 조선소에서 선박 개조·수리 시 50% 관세가 면제되고 동맹국 선박이 미국 연안 운송에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글로벌 해운·조선업 공급망에서 중국 비중을 축소하고 동맹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는 조치로 국내 조선업체들에게는 중장기적인 수주 확대 기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재투로 코멘트


📌 오늘의 기사 종합 요약

오늘 시장은 금값 급등 조정, 한국 L-SAM 공개, 엔비디아 주가 상승, 리플 소송 종결, 미국의 조선업 전략 변화라는 다섯 가지 큰 흐름이 있었습니다. 공통적으로 ‘전략적 전환’이라는 키워드가 중심이었는데 미국의 금 관세 수정 움직임과 조선업 동맹 강화, 테슬라·엔비디아·오픈AI의 AI 시장 재편, 일본의 암호화폐 ETF 드라이브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질서 재정비 조짐이 나타났습니다.

━━━━━━━━━━━━━━━━━━━━━━

📉 시장 상황

금리 인하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위험자산 선호가 회복되는 흐름이지만 관세·무역 분쟁과 지정학 리스크가 동시에 부각되고 있습니다. 금값 변동성과 가상자산 ETF 승인 기대감은 단기 투자 심리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미·중 해운·조선 공급망 재편은 장기적으로 글로벌 무역 구조에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

💹 증시 요약

미국 증시는 엔비디아 상승세를 중심으로 기술주 강세를 보였고 리플 등 일부 가상자산 관련 종목도 강한 반등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금값은 하루 만에 조정세로 돌아서며 안전자산 수요가 일시적으로 줄었습니다. 국내 방산주는 L-SAM 공개와 해외 수출 기대감으로 긍정적인 모멘텀을 확보했습니다.

━━━━━━━━━━━━━━━━━━━━━━

🎯 투자 전략

단기적으로는 AI 반도체, 방산, 조선, 암호화폐 등 개별 섹터 모멘텀을 활용하되 각 섹터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비중은 제한적으로 가져가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방산·조선·AI 인프라와 같이 구조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산업에 분산 투자해 안정적인 성장 곡선을 그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금·가상자산 등 변동성이 큰 자산은 포트폴리오 내 헤지 수단으로서의 역할에 집중하는 편이 좋겠습니다.

━━━━━━━━━━━━━━━━━━━━━━

🔮 증시 전망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여부가 단기 증시 방향성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입니다. AI와 방산, 조선업은 중장기적으로 성장성이 높지만 정책 변화나 규제 리스크가 잠재해 있습니다. 금값과 가상자산은 단기 뉴스플로우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므로 지표 발표와 정책 이벤트에 맞춰 대응하는 기민함이 요구됩니다.

━━━━━━━━━━━━━━━━━━━━━━

📚 투자 대가 엿보기

워런 버핏은 “예측은 투자자의 친구가 아니라 투자자의 적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오늘처럼 하루 만에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예측보다는 준비가 중요합니다. 우리가 할 일은 시장의 방향을 맞히려는 것이 아니라 어떤 방향이든 대응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것이죠. 이웃 여러분들도 각자의 투자 원칙을 지키며 불확실성 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투자를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이상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재투로였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이 포스팅은 매매 및 종목을 추전하는 글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됨을 기억해 주세요~!

이 글을 읽어주시는 모든 분들의 성투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