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실 한때 저도 배당주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추구할 때가 있었습니다.

대학생때 여러가지 급등주, 테마주, 잡주 등

안해본게 없고

수익도 많이보고 손실도 많이보고

주식폐인도 되어보고....


그러다 이건 아니다 싶어

배당주 투자로 급선회해

S-OIL우 및 KT&G에 대부분의 자금 투입,

결과적으로 S-OIL은 2배 이상 수익(100%이상)을 보고

KT&G는 원금만 보전(매년 6%의 배당수익률 별도)





2.

그러다 직장생활하면서

배당주를 싹 정리하고 포트폴리오를 성장주 위주로 전환하게 됨.

딱히 특별한 계기가 있었던건 아니고,

먼저, 2030 젊은 나이에 성장주 투자안하면

언제 하나? 그런 마음가짐이 첫번째 이유였고

, 배당주 투자로는

절대 성장주 투자를 앞지를 수 없다는 판단이

두번째 이유였음.

위 젊은이(30초반)처럼

2억 약간 넘는 돈을 배당주에 투자하고

(심지어 배당수익률이 4%도 안되네;;;)

10년 지나봐야 4억도 안됨.

20년 지나야 4억이 조금 넘을텐데;;;

50대에 은퇴해 4억으로 배당금 받으면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3.

그래서 50대 이전에는

passive income의 대명사인 배당주에 투자하기보다는

성장주에 투자해 자산 벌크업을 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자산 자체를 증식해야

향후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의 규모도 커지기 때문이죠.

이건 부동산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어줍잖은 지방소형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빌라) 매매해

월세를 맞추는게 이익일까요?

아파트를 전세끼고 갭 투자하는게 이익일까요?

본업이 있고 노동소득이 있다면

장기적으로 후자가 더 이득일거라는건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입니다!

똑같은 예로

배당주에 투자하는것과

S&P500 ETF인 VOO에 투자하는것중

향후 10년, 15년 후 어떤게 더 나은 선택일까요?

미래는 예측할 수 없지만

과거를 보면 VOO가 압도적으로 유리하다는걸 아실겁니다.





일단 자산의 사이즈를 키우세요!

향후 진짜 돈이 필요할때

배당투자(인컴형 자산)로 선회하는건 매우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