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업스테이지가 정부 지원을 받아 우리나라의 대표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할 정예팀으로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한 15개 팀을 대상으로 서면·발표 평가를 진행해 이들 5개 정예팀을 지원 대상으로 확정
정예팀으로 선정된 이들 5개 컨소시엄은 정부로부터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데이터 자원 등을 집중 지원받으며 빅테크와 맞먹는 수준의 국가대표 AI, ‘K-AI 모델’을 개발하게
자체 개발한 AI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보유한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에는 네이버, 트웰브랩스, 서울대 산학협력단 등이 참여.이 컨소시엄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 등 이종 데이터의 통합 이해·생성 등이 가능한 단일 모델(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을 목표
SK텔레콤 컨소시엄에는 게임사인 크래프톤과 포티투닷, 추론형 AI 반도체(NPU) 제작사인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등이 참여했다. 기존 국내 거대언어모델(LLM) 규모를 뛰어넘는 초거대 AI 모델 개발에 도전하고, 모든 국민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개발한다는 계획
엔씨소프트 자회사인 NC AI가 주관하는 컨소시엄에는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KAIST, 포스코DX 등이 참여. 산업 AI 전환을 위한 확장가능한 멀티모달 생성용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엑사원’을 내세운 LG AI연구원 컨소시엄에는 LG유플러스, LG CNS, 퓨리오사AI, 한글과컴퓨터, 뤼튼테크놀로지스 등이 참여했다. LG AI연구원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최신 프런티어 AI 모델 대비 95%가 아닌 100% 이상의 성능인 ‘K-엑사원’을 개발해 오픈소스로 공개할 방침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에는 노타, 래블업, 플리토, 뷰노, 마키나락스 등이 참여. 글로벌 프런티어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및 국내 AI 혁신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
이들 정예팀에는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통계청, 특허청, 방송사 등이 보유한 기관 데이터를 제공. 정부 예산으로 확보하는 1576억 원 규모의 엔비디아 GPU도 순차 지원
정부는 이들 컨소시엄에 대한 단계별 평가를 통해 올해 말 지원 대상을 4곳으로 압축한 뒤 2026년 말 최종 2곳을 선발할 예정. 선발 과정에서 ‘대국민 콘테스트’도 진행할 예정이며, 최종 선발된 2곳은 2027년까지 전폭적인 지원 대상
자료 : 서울경제신문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해외 AI 모델을 미세 조정(파인 튜닝)하지 않고 프롬 스크래치(독자 설계·개발) 역량을 주된 선발 기준으로 고려했다”면서 “새로운 AI 모델 구조를 제안하고 실제로 구현한 경험이 객관적인 지표를 기준으로 검증됐는지도 중요하게 반영됐다”고 설명. 프롬 스크래치란 사전 학습된 모델이나 데이터 없이 처음부터 AI 모델을 구축하고 학습시키는 방식. 독자 AI 모델 적용 확대를 위한 오픈소스 형태의 기술 개방 수준도 정예팀 당락을 가르는 기준으로 작용
LG AI연구원이 지난달 공개한 ‘엑사원 4.0(EXAONE 4.0)’은 글로벌 AI 성능 분석 전문 기관인 ‘아티피셜 어낼리시스’의 인텔리전스 지수 평가에서 한국 모델 기준 1위, 종합 글로벌 11위를 기록. LG AI연구원·LG유플러스(032640)·LG CNS·퓨리오사AI 등이 참여한 LG 컨소시엄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최신 프런티어 AI 모델 대비 100% 이상의 성능인 ‘K-엑사원’을 개발해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것을 목표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은 전 국민 AI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하며 전 국민 체험형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개방형 플랫폼인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누구나 AI 에이전트를 개발·등록·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 이를 위해 텍스트·이미지·오디오·영상 등 이종 데이터의 통합 이해·생성이 가능한 단일 모델 구축을 목표표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은 3년간 대국민 AI 서비스를 제공해 사용자 수 1000만명 이상 달성을 목표. 선발팀 중 유일한 스타트업인 업스테이지는 한국어·영어·일본어·동남아 언어에 대응할 수 있는 거대언어모델(LLM)을 선보일 계획
<시사점>
국가대표 AI로 5개 컨소시엄이 선정되었습니다. 현재로서는 LG AI연구원 컨소시엄과 NC AI 컨소시엄이 보다 유리한 입장에 있다고 합니다.
전자는 이미 '엑사원'이 세계적 AI모델임을 검증받았고, 오픈 소스, 생태계 확대전략과 10개 기업의 대규모 연합이 실질적 산업적용과 확장력 면에서 압도적이라는 평가입니다.
후자는 국내 최대 규모(총 54개 산학연, 기업) 협력과그랜드 컨소시엄에 의한 산업특화 실증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타 3 컨소시엄도 특화 경쟁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래도 이 두 컨소시엄이 2025년 8월 현재 기준으로는 앞서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남은 기간이 있는 만큼, 최종 선정에는 변수가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정부는 제한된 자원을 선정된 2개 컨소시엄에 집중 지원함으로써 글로벌 빅테크(오픈AI, 구글 등)와 맞설 초격차 모델을 육성하고자 합니다. 또한 자립형 국산 모델을 구축해 디지털 주권을 확보하는데 정책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804/1321283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