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의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우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및 약가 인하 압박으로 인해 3대 지수와 러셀2000 모두 하락 마감
장 초반 증시는 전일 장 마감 후 발표된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의 호실적 영향으로 상승 출발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는 시총 4조 달러를 돌파했고, 메타도 대규모 자본 지출(CAPEX) 확대를 발표하며 기술주 전반에 대한 기대를 높이자 나스닥과 S&P 500은 한때 +1% 이상 상승 하는 등 상승세를 주도
그러나 6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인플레이션 경계감이 다시 부각되었고, ARM 실적 부진 여파로 반도체주가 급락하는 등 기술주 랠리에 대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상승세가 둔화
장중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으로 불확실성이 증폭되면서 증시는 하락 전환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의 무역 협상을 위해 예정됐던 관세 인상을 90일 유예했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대통령이 관세 명령에 서명할 것이며 8월 1일부터 상호주의 원칙에 기반한 관세율이 적용된다고 발표하면서도 중국과의 관세 유예 연장에 대한 확답을 피하는 등 관세 관련 복잡한 상황이 전개됨
장 마감 무렵, 트럼프 대통령이 17개 제약사에 약가 인하를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헬스케어 섹터가 하락을 주도하며 주요 지수는 하락 전환
장 마감 후에는 애플이 중국 시장 회복에 힘입어 호실적을 발표하자 시간 외 주가가 상승한 반면, 아마존은 3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자 갑락하는 등 빅테크 실적은 엇갈린 반응을 보임
“상호관세, 뻥카드 아니라니까”…트럼프, 브라질에 50% 관세폭탄 ‘서명’
美인플레이션 지표 상승…9월 금리인하 기대 약화되나(종합)
트럼프, 멕시코산 제품 관세 인상 90일 유예…“장기 합의 위해 시간 벌어”
트럼프, 새 관세 명령 서명…8월 1일부터 발효
트럼프, 제약사 또 압박…"9월까지 약값 훨씬 낮춰라"
[뉴욕유가] 멕시코 상호관세 유예 연장에 하락…WTI 1.1%↓
관세, 금리, 물가 악재에 뉴욕증시 약세...MS 시총 4조달러 터치 [월가월부]
피그마, 공모가 250% 폭등…30년래 상장일 최대 상승률
아이폰 예상보다 많이 팔려…애플 시간외서 3% 급등(종합)
아마존, 3분기 영업이익 전망 실망…시간외 주가 7%대 하락
애플(AAPL)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소폭 하락했으며, 장 종료 후 실적 발표에서 아이폰 판매 호조로 매출과 EPS가 예상치를 상회했고, 특히 중국 판매가 회복되고 있으며 관세 부담도 시장 우려보다 적었다는 평가에 시간 외 상승
아마존(AMZN) 2분기 실적 발푤 앞두고 상승 마감했으며, 장 종료 후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3분기 영업이익 가이던스가 기대에 못미쳐 시간 외 급락
마이크로소프트(MSFT)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 특히 Azure를 포함한 클라우드 부문 전체 매출이 +26% 성장, 이번 분기 자본지출 규모는 242억 달러로 전년 대비 +27% 증가, 매출 가이던스는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하자 상승했으며 장중 시가총액 4조 달러 돌파
메타(META)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 핵심 수입원인 광고 부문 매출이 465억 달러로 컨센서스인 440억 달러를 상회, 3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475억 달러~505억 달러로 컨센서스인 463억 달러를 상회, 자본지출 규모는 660억 달러~720억 달러로 제시하여 하한선을 20억 달러 상향 조정하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하자 급등
일라이릴리(LLY), 머크(MRK), 화이자(PFE) 등 대형 제약사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형 제약회사 17곳에 서한을 보내 오는 9월 말까지 미국 내 의약품을 다른 국가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인하하라고 압박하자 전반적으로 하락
ARM(ARM) 2분기 실적 발표에서 EPS는 예상치에 부합했으나 매출이 부진했으며 자체 칩 개발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 고객사와 경쟁 구도를 만들 수 있다는 부담으로 작용하며 급락
물가 상승으로 금리 인하 시기 지연이 우려되며 대부분 섹터가 하락
호실적을 발표한 메타의 주도로 커뮤니케이션 섹터는 상승
트럼프 대통령의 대형 제약사 약가 인하 압박으로 헬스케어 섹터가 하락 주도, 이어서 부동산, 경기 방어주, 기술, 에너지, 소비 순환재 순으로 약세
유틸리티는 강보합, 금융, 원자재, 산업재는 약보합 마감
미국 국채 금리는 6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가 예상치를 상회하자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후퇴하면서 단기물을 중심으로 상승
미국 6월 PCE 물가 지수는 2.6%로 예상치 상회, 이전 대비 증가
미국 6월 근원 PCE 물가 지수는 2.8%로 예상치 상회, 이전 대비 변동 없음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원화 약세, 엔화 강세
공포 탐욕 지수는 큰 변동 없이 탐욕(Greed)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급등하면서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