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마감 시황 체크 ★

2025년 8월 1일

  • 3대 지수 하락

  •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 호실적으로 상승

  • 트럼프, 제약사 의약품 가격 인하 압박

  • 반도체 업종 실적 부진으로 반도체 주 하락

  • 애플 시간외 상승 중, 호실적 발표

■ 미국 증시 마감 (다우존스/ 나스닥/ S&P 500)


★ 미국 증시 섹터별 흐름 ★

  • 커뮤니케이션 및 유틸리티 상승

  • 헬스케어 및 부동산 주 중심 하락




★ 오늘의 특징 주 ★

마이크로소프트

  • 시총 장중 4조달러 돌파 (엔비디아에 이어 2번째)

  • 장중 +8.22% → 종가는 +3.93%

메타

  • +11.25%

  • 연간 설비투자 상향 발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 구성 종목 중 단 1개 제외 모두 하락

  • Arm: -13.44% (실적 및 가이던스 부진)

  • AMD, ASML, 퀄컴 등 동반 하락

애플

  • 매출: 940억3,600만 달러, 전년 대비 +10% 증가

  • 시장 예상치 895억3,000만 달러 상회

  • EPS (주당순이익): 1.57달러 (전년 대비 +12%)

  • 시장 예상치 1.43달러 상회

  • 매출총이익률 (Gross Margin): 46.5%, 시장 예상치 45.9% 상회

  • 시간외 거래: +2% 안팎 급등

  • 매출, 이익, 마진 모두 컨센서스 상회 ‘어닝 서프라이즈’

  • 실적 발표 후 투자자 신뢰 회복 → 시간외 매수세 유입

■ 아마존

  • EPS (주당순이익): 1.68달러, 시장 예상치 1.33달러 상회

  • 매출: 1,677억 달러 (+13% YoY), 시장 예상치 1,621억 달러 상회

  • 온라인 스토어 매출: 615억 달러 (+11%), 예상치(590억 달러) 상회

  • 3분기 가이던스 매출 예상: 1,740억~1,795억 달러 → 시장 예상치(1,732억 달러) 상회

■ 코인베이스, 시간 외 급락 중

  • EPS (조정 주당순이익): 1.96달러 (시장 예상치 1.26달러 상회)

  • 매출: 15억 달러 (전년 동기 14.5억 달러 대비 소폭 증가), 시장 예상치 16억 달러 하회

  • 거래 수익: 7억6,400만 달러, 시장 예상치 7억8,700만 달러 하회

  • 리테일 거래량: 430억 달러 (+16% YoY), 시장 예상치 480억 달러 하회

  • 시간외 거래: -6% 이상 급락, 353.78달러

  • 구독 수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 거래량 부진이 실적 전반을 압박

■ 로블록스, 13% 급등

  • 순예약(Net Bookings): 14억4천만 달러 (+51% YoY)

  • 시장 예상치 12억4천만 달러 상회

  • 일간 활성 이용자 수 (DAU): 1억1,180만 명 (+41% YoY)

  • 시장 예상치 1억600만 명 상회

  • 총 이용 시간: 274억 시간 (+58% YoY)

  • 순손실: 2억7,938만 달러 (주당 -0.41달러)

  • 전년 동기: 2억588만 달러 (주당 -0.32달러) → 손실 확대

  • 실적·이용자 지표 모두 컨센서스 초과

  • 손실은 확대되었으나 성장성과 트래픽 지표 개선이 시장 신뢰 유도

  • 3분기 가이던스 상향으로 추가 기대감 형성

★ 발표된 경제 지표 ★

■ 트럼프, 글로벌 제약사 17곳에 약값 인하 요청

  • 트럼프 대통령, 약 문제 해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이어 추가 조치 단행

  • 미국 소비자, 타 선진국 대비 브랜드 의약품 가격을 평균 3배 이상 지불

  • 이에 따라 글로벌 제약사 17곳 CEO에 서한 발송

  • 이행 거부 시: “모든 수단 동원해 국민 보호할 것”

  • 제출 기한: 9월 29일까지 '구속력 있는 이행 방안' 제시 요구

■ 한국-미국 관세 협상 및 대미 투자 계획

💰한미 관세 협상 요약

  • 관세율: 25% → 15%로 인하 합의

  • 트럼프 대통령 발표 (7/30, 현지시간):

  • 이재명 대통령, 2주 내 백악관 방문 예정

  • 무역 협상 타결 공식 발표

💰 대미 투자 계획

  • 총 규모: 3,500억 달러

① 조선업 협력 펀드: 1,500억 달러, 선박 건조, MRO, 조선 기자재 등

② 전략 산업 펀드: 2,000억 달러, 반도체, 원전, 2차전지, 바이오 등

  • 펀드 운영 방식: 주로 대출·보증(무역보험공사, 수출입은행) 형태

  • 직접투자 비중은 매우 낮음

  • 2,000억 달러 규모는 '한도'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