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자료 : 동아일보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 속에 셀트리온이 약 7000억 원을 투자해 미국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인수하기로 결정

  • 서 회장은 미국 내 생산 시설 인수 결정 배경을 두고 “미국에 백지 상태로 공장을 짓는 것보다 경제적·기간적 측면에서 인수가 나을 것으로 판단했다”며 “이번 인수를 통해 셀트리온 제품을 ‘메이드 인 USA’ 상품으로 만들어 판매할 준비를 마쳤다”

  • 셀트리온은 다음 달부터 10월 첫째 주까지 본계약을 추진, 미국 정부 승인을 거쳐 연내 해당 시설 인수를 마무리할 방침

  • 셀트리온이 인수를 추진 중인 공장은 글로벌 의약품 기업이 보유한 대규모 원료의약품(DS) c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생산 시설

  • 셀트리온은 7000억 원가량이 투자되는 이번 공장 인수가 마무리되면 미국발 의약품 관세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을 것. 최종 인수 절차가 마무리되면 셀트리온은 미국에서 판매 중인 주력 제품들을 현지에서 바로 생산할 방침

  • 인수에 투자할 약 7000억원은 자체 자금과 금융기관 협조 등을 통해 마련

  • 서 회장은 “미국은 제품을 판매해야 하는 시장으로 정부가 ‘미국 내 제조(Made in USA)’를 원하면 그렇게 하는 게 기본 방침”

  • 셀트리온은 현지 공장 벨리데이션 작업을 거쳐 내년 4분기부터 자사 제품을 생산할 계획

  • 관세 정책에 따라 현지 공장 증설도 검토. 증설에는 최대 7000억 원이 추가 투입

  • 서 회장은 “미국 내 완제의약품(DP) 생산 공장과 계약을 마쳐 이번 인수를 통해 미국에서 제품 전주기 생산이 가능해진다”. “해당 공장은 부설 연구소도 있어 신약 개발과 시너지도 기대하고 있다”. “현지 공장 생산능력의 절반은 피인수회사 제품을 생산하기로 해 초기부터 수익을 낼 수 있는 점도 장점”

자료 : 서울경제신문

[평가]

  1. 관세리스크 해소

  2. 현지 대응력 강화

  3. 미국시장 진출 확장 발판

  4.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 경쟁력 업그레이드

  5. 미래성장 동력 확보 차원의 공격적 투자

  6. 장기적으로 글로벌 성장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