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MC 분열
- 뉴욕증시, 랠리 부담+실적·FOMC 등 경계감에 하락
- 연준, 금리유지 유력…'금리인하 시기' 두고 의견 분열
- 7월 FOMC 금리유지 확률 97.9%, 인하 2.1%
- 9월 인하 가능성 두고 신중론 vs. 선제 대응론 충돌
- 관세발 인플레 우려 예상보다 심각하지 않아 의견 엇갈려
- 연준 내부 혼란, 파월 해임설 등 정치적 압력과도 연관
- 트럼프, 파월 공개 비판…연준 청사 보수 비용 문제 삼아
- 파월 "9월 전 금리인하 가능성 없다"…입장 변할까
- 연준 쿠글러 이사, FOMC 불참…줄어든 파월 '우군'
- 투표권 행사하는 연준 이사의 FOMC 불참은 '이례적'
- 쿠글러 이사, 금리인하 '신중론' 파월 의장 입장 동조
- 쿠글러 이사 임기 내년 1월까지…남은 임기 가장 짧아
- 내일 새벽 연준 금리 결정…5년 만에 '반대표' 가능성도
- 시장 영향력 큰 월러 이사, '금리인하' 반대표 던질 듯
FOMC 분열 내부에 의견이 첫날 분위기 뉴욕증시 분열로 평가되고 있어요. 연준 19명 중 12명이 투표권이 있고, 대통령 연준이사 7명이 주도하고 지역연준 5명 각 지역을 대표합니다. 제롬파월 7명이 다수로서 보통은 합의를 보이는데 7명중 2명은 다른 의견을 보이고 있어요.
미셀 보우먼 금리 동결 반발 크리스토퍼 월러 반대를 드러냈죠. 친 제롬파월인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 불참했어요. 쿠글러 임기가 짦아서 신중하다는 말도 있는데 이례적입니다.
현재 제롬파월 리더십이 흔들릴 수 있고, 그래도 7월달 금리 유지가 높아요. 근데 2명이상 반대하면 다음 FOMC에는 다르게 나올 수 있죠. 7명이 이견을 가진 건 30년만에 처음이에요. 9월달에 금리 정책은 어떻게 할 것인가? 인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8월달에 잭슨홀 미팅이 열리는데 최근 물가와 고용을 보고 결정했지만 평균 물가 금리변동제도가 반영된다면 선제적으로 금리인하를 할 수 있습니다. 잭슨홀 신호가 금리인하 쪽으로 갈 수도 있습니다.
미국은 현재 국채물량을 대폭으로 늘리고 쏟아냅니다. 강력하게 제롬파월을 압력을 넣습니다. 스톡홀롬에서 조차 압박을 가합니다. 내리는게 좋은게 아닌가? 단정적으로 말하긴 어렵지만 증권시장에서는 좋은 현상입니다. 금리를 내리면 물가 상승 잡히지 않으면 감당할 수가 없게 됩니다. 장단기 국채금리 괴리 현상이 계속 되고 있는데 중장기 금리 더 올라가면 장기채는 금리가 올라가고 단기 내리면 더욱 어려워질 수 있어요.
그런데도 시장은 금리인하 즉 비둘기를 갈망합니다.
| 전기차 대란
- 테슬라·루시드·리비안 등 美 전기차주 일제히 하락
- 루시드 10대 1 주식 액면 병합…주가 8.24% 폭락
- 10주가 한 주로…루시드, 1달러 미만으로 하락 위기
- 일정 기간 주가 1달러 미만 시 나스닥 자동 상장 폐지
- 루시드, 자동 상장 폐지 막기 위해 '액면 병합' 단행
- 앞서 니콜라도 액면 병합 단행했지만 결국 상장 폐지
- 통상 액면 병합, 유통 주식 수 줄어 주가엔 하방 압력
- 액면 분할, 유통 주식 수 늘어 주가에 상방 압력 작용
- 전기차 버블 붕괴…파산한 니콜라, 다음 타자 루시드?
- 루시드, 지난 4월 파산한 니콜라 공장·설비 인수 결정
- 니콜라, 2020년 트럭 1대도 팔지 않고도 상장 성공
- 힌덴버그 리서치, 니콜라 공매도 공격…주가 본격 하락
- 한때 포드 시총 능가했던 니콜라, "전기차 버블 붕괴"
전기차 대란 최근 루시드 액면 병합 주가 8.24% 폭락했어요. 10주가 한 주로 하면 가격이 올라가지 않을 수 있어요. 루시드 액면 병합을 하는 진짜 이유는 나스닥 주가 1달러 이하 상장폐지를 하죠. 1달러 미만시 나스닥 자동 상장 폐지로 파산한 니콜라가 있죠. 겉으로는 호재를 이야기 하지만 과거 액면병합시 초반에는 오르다가 떨어지는 상황이 생깁니다.
전기차가 더 어려워지면 전체 전기차 불황이 올 수 있습니다.
| 트럼프-시진핑
- 美·中, 관세휴전 90일 연장 가능성…"트럼프가 결정"
- 美 베센트-中 허리펑, 스톡홀름 회담 종료 이후 발표
- 美, 中의 이란·러 석유수입 경고…제조업 과잉생산 견제
- 美·中 관세 유예 기간 3개월 더 연장…11월까지 휴전
- 1차 협상서 관세 115%p씩 인하…2차서 큰 틀 합의
- 2차 협상서 미국-반도체, 중국-희토류 수출 통제 양보
- 정상회담으로 이어질까…트럼프 "올해 말 전에 이뤄질 것"
- 러트닉 美 상무장관 "2주 안에 의약품 관세 발표"
- "美에 제약 공장 짓지 않는다면 엄청난 관세 내야"
- 하루 전 트럼프 대통령도 의약품 관세 "곧 발표" 예고
- 앞서 8일 "의약품 관세 최대 200%"…유예기간 언급
- 美 현지 생산시설 마련하도록 1년~1년 반 유예 가능
- 트럼프, 취임 초 반도체·의약품 등 품목별 관세 거론
- 8월 1일 상호관세 유예기간 종료 맞물려 발표 예고
- 美, 韓에 '최선의 최종안' 요구…협상 막판 중대 고비
- 美상무, 韓 제안에 부정적 입장 시사…추가 양보 요구
- 경제·외교·산업·통상 최고위급 총출동…對美 설득 전
- '투자 규모' 간극 해소에 안간힘…삼성·한화 재계 지원
트럼프-시진핑 관세휴전 90일 연장 가능성 트럼프 뒤집아 밀하면 아무 성과 없이 스톡홀름 회담 종료되었어요. 중국은 오히려 미국 맹비난 합니다. 중국이 키를 지고 있는 형국이고, 트럼프는 중국과의 협상이 어렵습니다. 시진핑은 트럼프를 만나고 있지 않고 있죠. 트럼프 강력하게 콜을 보냈지만요
| IMF 경고
- IMF, 주요국 성장률 올리면서 韓 전망치만 하향 조정
- IMF, 올해 한국성장 전망 0.8%…한은·KDI 동일
- 7월 세계경제전망 발표…3개월 만에 0.2%p 내려
- 美·中·日 등 주요국 소폭 상향조정…세계 0.2%p↑
- 내년 성장률은 1.8%…"추경 등 소비·투자 개선 전망"
IMF 경고 경제성장률 전망치 한국은 불안하다고 정례 수정치 한국은 내렸어요대미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미국 관세폭탄이 가장 클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 sbs biz
#김대호박사의오늘의키워드 #sbsbiz채널 #경제흐름읽기 #시간은소중히쓰자 #주식투자 #부동산투자 #진인사대천명 #FOMC분열 #전기차대란 #트럼프시진핑 #IMF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