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필리핀 현지 시간 23일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20257월 아시아 경제전망(ADO)을 발표하였습니다. 단 아시아/태평앙 지역 49개 회원국 중 일본, 호주 및 뉴질랜드를 제외한 결과인데요.



 

관련하여 기획재정부 보도 자료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시아개발은행(ADB) 257월 아시아경제전망 발표

출처 : 기획재정부

 

01. 아시아 25년 경제성장률 전망

ㅇ 아시아개발은행은 아시아·태평양지역의 ’25년 경제성장률을 ’25.4월 전망대비 0.2%p 감소한 4.7%로 전망했다. 아울러 ’26년 성장률은 ’25.4월 전망대비 0.1%p 감소한 4.6%로 전망하였다.

 

ㅇ 미국의 관세 인상과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출 위축, 중동지역 갈등 등 지정학적 위기로 인한 해상운송 차질 및 유가상승, 중국의 부동산시장 장기 침체 등으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02. 아시아/태평양 지역 25년 물가 상승률 전망

ㅇ 아시아·태평양지역 ’25년 물가상승률은 2.0%, ’25.4월 전망대비0.3%p 하향 조정하였고, ’26년은 ’25.4월 전망대비 0.1%p 하락한 2.1%로 전망하였다.

 

ㅇ 국제 유가 및 식료품 가격 안정화, 성장둔화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 완화 등으로 인해 물가안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03. 아시아개발은행(ADB) 한국의 25년 경제 성장률 전망

ㅇ 아시아개발은행은 한국의 ’25년 경제성장률을 ’25.4월 전망대비0.7%p 낮춘 0.8%로 전망했다. 건설투자 감소, 수출 둔화, 부동산시장 약세등으로 인해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6월 대선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확장적 재정정책에 힘입어 하반기에는 내수가 회복세를보일 것으로 전망하였다.

 

ㅇ 미국 관세인상 및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수출이 위축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한국의 ’26년 성장률은 ’25.4월 전망대비 0.3%p 감소한 1.6%로 전망하였다.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 인상의여파는 지속적인 부담요인이 될 것으로 언급하였다.



 

04. 한국 물가상승률 25년 전망

 

ㅇ 한국 물가상승률의 경우 ’25.4월 전망을 유지하여 ’25년과 ’26년모두각각 1.9%로 전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