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미·일 관세 협상 타결에 이어서 미·EU 협상 타결이 임박했다는 기대감,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 발표에 힘입어 3대 지수와 러셀2000 모두 상승 마감

개장 전에는 미국과 일본 간 무역 협상에서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까지 15%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증시는 상승 기대감을 확대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미국에 5,500억 달러를 투자하고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을 위한 합작 사업에 나서며 쌀, 자동차, 트럭 등 시장을 더 개방할 것이라고 밝힘

장 초반 증시는 미·일 무역 합의 소식에 힘입어 상승 출발

특히 GE버노바, 써모피셔사이언티픽 등 양호한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이 강세를 보임

장중에는 파이낸셜타임즈(FT) 등 다수 언론사에서 미국과 EU가 15% 수준의 관세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하자 상승세가 강화됨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일본과의 협상이 EU 무역 협상의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발언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시장 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협상 압박 수위를 높임

이와 함게 백악관은 미국의 AI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한 'AI 액션 플랜'을 발표했으며, 규제 완화·인프라 확대·국제 안보 리더십 등 3대 축을 기반으로 약 90개의 정책 과제를 제시하자 AI 관련 수혜 기대감에 기술주 일부가 강세를 보임

장 후반에는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가 이어지며 투자 심리가 유지되었고, 특히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가 가파르게 상승

장 마감 후에는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이 광고 및 클라우드 매출 호조에 힘입어 양호한 실적을 발표하자 시간 외 상승한 반면, 테슬라는 매출과 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하회하면서 시간 외 하락

주요 뉴스 헤드라인




"車 포함 15% 관세 호평"…日 증시 2.6%, 엔화 0.7% 강세(종합)

"MS 셰어포인트 해킹 피해 조직수 400개 이상"

“EU도 미국과 15% 관세 합의 근접…미·일 합의가 기준 돼”

트럼프 "시장개방 동의시 관세 인하, 안하면 훨씬 더 높은 관세"

뉴욕증시에 다시 밈주 열풍…오픈도어·콜스 이어 고프로·크리스피크림 합류

백악관, 美 AI주도권 유지위한 'AI행동계획' 발표

[뉴욕유가] 美ㆍEU 무역협상 타결 가능성에 약보합…WTI 0.1%↓

뉴욕증시, 무역협상 진전에 강세 마감…S&P500 최고치 경신(종합)

구글 2분기 클라우드 매출 31% 성장…시간외 주가 1%↑(종합)

머스크 "향후 몇 분기 어려울 수도"…예상대로 부진한 실적, 주가 5% 하락

S&P500 맵




알파벳(GOOG)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약보합 마감한 뒤, 장 종료 후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 상회, 클라우드 매출은 31% 증가했으며 AI 분야에 기존 계획보다 100억 달러 더 투자한다는 소식에 시간 외 상승

테슬라(TSLA)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강보합 마감한 뒤, 장 종료 후 실적 발표에서 매출은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EPS는 부합, 일론 머스크 CEO가 험난한 향후 몇 분기를 경험할 수 있다고 발언하자 시간 외 급락

GE버노바(GEV)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했고 연간 가이던스를 상향했으며, 최근 AI 데이터 센터 붐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했다는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하자 급등

써모피셔사이언티픽(TMO)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했고 연간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하자 급등

고프로(GPRO), 크리스피크림(DNUT) 최근 오픈도어(OPEN), 콜스(KSS) 등 기관들의 공매도가 집중된 종목들을 중심으로 밈주 열풍이 나타난 흐름에 올라타며 급등했다가 상승 폭을 대부분 반납하며 소폭 상승 마감

섹터 실적




미국과 일본의 관세 협상에 이어서 EU와의 협상 기대감까지 높아지자 전반적으로 상승

헬스케어, 산업재, 에너지, 금융, 소비 순환재, 기술 순으로 상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원자재, 부동산, 경기 방어주는 강보합, 유틸리티는 소폭 하락 마감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는 특별히 영향력 있는 지표는 없는 가운데, 일본에 이어 EU 무역 합의 기대감이 높아지자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확대되며 금리 상승

또한, 일본 참의원 선거에서 여당의 패배로 이시바 총리의 사임설이 제기되면서 일본 국채 금리가 상승한 점도 미 국채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

환율




달러 지수는 하락하며 달러 약세

엔화, 원화 강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상승했으며, 탐욕(Greed) 단계에서 극도의 탐욕(Extreme Greed) 단계로 진입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하락하면서 변동성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