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견조한 소매판매 지표와 기업들의 호실적, 그리고 일부 기술 및 테마주 중심의 강세에 힘입어 3대 지수와 러셀2000 모두 상승 마감
개장 전 발표한 6월 미국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증가하며 예상치를 상회했고, GDP에 반영되는 소매 관리도 양호하게 발표되며 견고한 소비 심리를 보여줌
더불어 주간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또한 22만 1천 건으로 예상치를 하회하며 견조 고용 시장을 재확인시켜줌
이러한 지표들은 5월 소매판매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와 물가 상승에 따른 명목 지표 상승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시장에 안도감을 가져다줌
장 초반 증시는 견조한 경제 지표와 함께 기업들의 실적 호조 소식이 이어지면서 증시 상승을 견인
특히 TSMC 2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60.7% 증가하는 등 강한 실적과 견조한 향후 전망을 발표하며 반도체 업종 전반의 강세를 주도
펩시코와 유나이티드항공 등 대형주의 실적 호조도 시장의 긍정적인 분위기를 더함
디웨이브퀀텀 등 양자컴퓨터 관련주와 뉴스케일파워 등 원자력 관련주도 강세를 보이며 테마주 중심의 순환매가 활발하게 진행됨
장중에는 연준 인사들의 발언으로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소 약화되며 국채 금리가 반등하자 증시는 변동성을 보임
쿠글러 연준 이사와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를 이유로 금리 동결의 필요성을 강조한 반면,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연내 두 차례 금리 인하가 타당하다는 입장을 내놓는 등 연준 내 의견차가 재확인됨
장 마감 전에는 미국 하원이 스테이블코인 등 암호화폐 관련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관련 업계에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는 기대감이 시장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
장 마감 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퇴직연금 시장에 암호화폐 투자를 허용하는 것을 추진한다고 밝혔으며, 넷플릭스는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와 매출 가이던스 상향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이익률 전망 하향 조정 여파로 시간외 하락세를 보임
전반적으로 견조한 경제 지표와 기업 실적이 시장의 위험 선호 심리를 강화하며 상승세를 이끌었으나,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과 이에 따른 연준의 금리 정책 불확실성은 여전히 시장의 주요 변수로 남음
TSMC, 분기 순익 61%↑…AI 칩 수요 강세에 사상 최고치
미국 6월 소매판매 전월대비 0.6% 늘며 반등…예상치 상회
美 신규 실업수당 청구 5주 연속 감소…3개월 만에 최저
"미국, 중국산 흑연에 93.5% 반덤핑 관세 부과키로"
이라크 크루드 유전에 드론 공격, 국제유가 2% 급등
S&P·나스닥 사상 최고…소매판매, TSMC 실적 호조[뉴욕마감]
루시드 로보택시 시장 진출, 테슬라 0.70% 하락
넷플릭스, 2Q 매출 111억 달러·16%↑…"오징어게임 덕"
코인3법 美하원 통과…스테이블코인법, 트럼프 서명만 남아
트럼프, '1경2000조원' 규모 美 퇴직연금 시장에 가상자산 허용 추진
TSMC(TSM)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 특히 2분기 순이익은 강력한 AI 수요에 +60.7%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 3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318억~330억 달러로 제시했고 25년 연간 매출이 미 달러 기준 20%대 중반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히자 상승
테슬라(TSLA) 차량 공유업체 우버(UBER)가 루시드(LCID)와 협력하여 로보택시 분야에 진출한다는 소식에 테슬라는 하락, 우버는 약보합, 루시드는 급등
펩시코(PEP)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 연간 가이던스를 유지했으며 라몬 라과르타 CEO는 해외 사업에서 성장세가 지속됐고, 북미 사업은 주요 세부 제품군과 유통 채널에서 실행력과 경쟁력을 개선했다고 평가하자 상승
넷플릭스(NFLX)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상승 마감했으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하반기 이익률 전망 하향 조정 여파로 시간외 하락
디웨이브퀀텀(QBTS), 아이온큐(IONQ), 리게티컴퓨팅(RGTI) 등 양자컴퓨터 관련 기업들은 최근 리게티컴퓨팅이 모듈식 36큐비트 시스템에서 양자연산의 핵심인 '2큐비트 게이트' 오류율을 절반으로 줄이는 데 성공한 기대감이 지속되며 동반 상승
오클로(OKLO), 뉴스케일파워(SMR) 등 원자력 관련 기업들은 오클로가 원자력규제위원회(NRC)와의 사전 신청 준비성 평가 1단계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는 소식에 동반 강세
써클(CRCL), 코인베이스(COIN), 갤럭시디지털(GLXY) 등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은 코인 3법이 하원을 통과했다는 소식에 상승
유나이티드헬스(UNH), 엘레반스헬스(ELV) 등 보험 관련 기업들은 엘레반스헬스가 2분기 실적 발표에서 EPS가 부진했고 연간 순이익 전망치를 기존 34.15~34.85달러에서 30달러로 대폭 해하향하자 동반 하락
견조한 소매판매 지표와 기업들의 호실적에 전반적으로 강세
기술, 산업재, 금융, 경기 방어주 순으로 강세
소비 순환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원자재, 에너지, 유틸리티는 강보합, 부동산 섹터는 약보합 마감
헬스케어 섹터는 엘레반스헬스 실적 부진 등의 영향으로 하락
미국 국채 금리는 견조한 소매판매와 실업수당청구건수 지표 발표에 전반적으로 상승
미국 6월 소매판매는 0.6$로 예상치 상회, 이전 대비 증가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는 22만 1천 건으로 예상치 하회, 이전 대비 감소
견조한 경제 지표에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엔화, 원화 약세
공포 탐욕 지수는 소폭 상승했으며 탐욕(Greed) 단계에서 극도의 탐욕(Extreme Greed) 단계로 재진입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하락하면서 변동성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