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마감 시황 체크 ★

2025년 7월 16일

  • 나스닥만 상승

  • 반도체만 신난 증시

  • 엔비디아 AI칩 중국 수출 승인

  • 중국 기술주 관련 ETF 상승률 상위






★ 미국 증시 섹터별 흐름 ★

  • 기술주 상승

  • 헬스케어 및 원자재 주 중심 하락







★ 오늘의 특징 주 ★

엔비디아

  • 미국 정부, 엔비디아 H20 AI칩의 중국 수출공식 승인

  • 엔비디아, 회사 블로그 통해 수출 라이선스 부여 약속 발표

  • 젠슨 황 CEO, "중국은 혁신적인 시장…미국 기업의 진출 중요" 강조

  • 황 CEO,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 등과 회동, 이번 주 베이징 회담 및 공급망 박람회 참석 예정

  • H20 칩: 2024년 초 출시, 미국의 AI칩 대중국 수출 제한에 대응해 개발된 제품

  • 백악관, 4월에 H20 및 AMD MI308 칩의 중국 수출 제한 방침 발표

  • 엔비디아는 해당 조치로 55억 달러 추가 비용 발생 예상

  • 기술 업계, 수출 제한은 미국 첨단기술 경쟁력 저해 주장

  • 황 CEO 및 업계, 제한 조치 완화·철회 요구 지속

구글

  • 구글(GOOGL)은 향후 2년간 미국 전력망 지역에 데이터센터 및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25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

  • 투자 대상 지역은 미 동부·중서부·남부 일부 13개 주 포함, 버지니아 북부도 해당

  • 펜실베이니아 수력발전소 2곳 현대화에 30억 달러 추가 투자 예정

  • 구글은 브룩필드와 협력해 3,000MW 규모 수력발전 전력 구매 추진

  • 트럼프 전 대통령 및 관계자들은 피츠버그 카네기멜런대에서 열린 '제1회 펜실베이니아 에너지 혁신 서밋' 참석해 관련 투자 발표 예정

■ MP머티리얼스, 애플

  • MP 머티리얼스(NYSE:MP), 애플(NAS:AAPL)과 5억 달러 규모 희토류 자석 공급 및 재활용 시설 구축 계약 체결

  • 계약 발표 후 MP 머티리얼스 주가 26.15% 급등, 애플 주가 0.63% 상승

  • 텍사스 포트워스 제조시설에서 생산된 자석을 애플에 공급, 2027년부터 출하 예정

  • MP 머티리얼스는 미국 내 유일한 희토류 채굴 업체, 기술기업과 공급망 협력 강화

  • 희토류 자석은 전자기기, 전기차, 풍력터빈, 국방 장비 등 다양한 산업에 필수

  • 이번 계약은 미국 정부의 희토류 자립 전략과 연계, 국방부는 MP 우선주 4억 달러 인수

  • 애플은 미국 내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핵심 소재 확보 차원에서 계약 체결

  • 애플, 올해 미국 제조 역량 확대에 5천억 달러 이상 투자, 텍사스 AI 서버 공장 추진 중

★ 발표된 경제 지표 ★

■ 6월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

  • 전년 대비 2.7% 상승, 전월 대비 0.3% 상승시장 예상치와 부합

  • 근원 CPI는 전년 대비 2.9%, 전월 대비 0.2% 상승시장 예상치(3.0%, 0.3%) 하회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이 서서히 물가에 반영되기 시작

  • 7~8월 CPI가 인플레이션 향방의 고비가 될 것으로 전문가들 예상

  • 연준은 관망 모드 유지 전망 우세

  • 골드만삭스(케이 헤이그): 관세 영향은 초기 단계, 여름에 물가 압력 커질 듯

  • CIBC(캐서린 저지): 기업 재고 비축 덕분에 관세 전가 아직 제한적

  • BMO(이안 린젠): 이번 CPI로 연준이 9월 전 금리 인하 논의하긴 어려워

■ 암호화폐 법안 하원 표결 실패

  • 비트코인, 16일 오전 기준 24시간 전 대비 2.72% 하락한 116,608.57달러로 급락

  • 하락 원인은 암호화폐 관련 법안들이 미 하원 절차 표결에서 부결된 영향

  • 법안 결과: 찬성 196표 vs 반대 223표, 공화당 13명 이탈표

  • 부결된 주요 법안: ‘지니어스 법안’: 스테이블코인 규제, ‘클레러티 법안’: 디지털 자산 분류 명확화, CBDC 감시국가 방지법안: 연준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발행 금지

  • 법안 본회의 상정 절차도 무산, 공화당 지도부는 재표결 포기

  • 시장 기대와 달리 정치적 제동 → 기관 투자자 중심 매수심리 급랭

  • COIN(코인베이스): -1.5%, 시간 외 거래서도 하락세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