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이번 주 (7월 14일 ~ 18일) 미국 주요 증시 일정 및 주요 국가 경제·금융 이슈 입니다. 이번 주 미국은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연준의 베이지북 발표 그리고 대형 은행들의 2Q 실적 발표가 뉴욕 증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합니다.

또한 중국의 2Q GDP 발표, 일본의 6월 소비자물가 CPI 발표 그리고 G20 재무장관회의 등 글로벌 주요 국가들의 경제·금융 이슈도 포함되어 있기도 합니다.

이에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넷플릭스, 주요 대형은행 실적발표 등 주간 미국 주요 증시 일정 및 주요 국가 경제·금융 이슈' 관련하여 언론 보도 및 국제금융센터 보고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미국 증시 및 주요 국가 경제·금융 일정




1) 7월 14일 (월)

● 중국 6월 무역 수지 발표

2) 7월 15일 (화)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발표

● 중국 2Q 경제성장률 GDP 발표

● 실적발표 : 씨티그룹, 웰스파고, JP모건체이스, 블랙록 등

3) 7월 16일 (수)

미국 6월 생산자물가지수 PPI

연준 베이지북 발표

● 실적발표 : 유나이티드항공, 모건스탠리, 골드만 삭스, 존슨앤존슨, 뱅크오브아메리카

4) 7월 17일 (목)

미국 6월 소매판매

● 미국 6월 수출입물가지수

G20 재무장관회의 개최

실적발표 : 넷플릭스, GE에어로스페이스

5) 7월 18일 (금)

미국 7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일본 6월 CPI 발표

● 실적발표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찰스슈왑


02. 주요 국가 주간 경제·금융 이슈

국제금융센터 안남기 종합기획분석실장


1) 미국 CPI, 소매판매 및 미시건대심리지수에 주목

7월 15일 미국 6월 CPI 발표. 헤드라인지수는 지난 5월 전년동기비 2.4%로 4개월만에 반등후 금번 2.6%로 추가 상승 예상. 전월비도 5월 0.1%에서 상승 예상

- 근원 CPI는 3~5월 2.8%로 정체되었으나 금번에는 소폭이지만 반등 가능성. 컨센서스는 2.9% 예상

- 7월 16일 미국 6월 PPI 발표. 지난 4월 전년동월비 2.4%에서 5월 트럼프 관세정책 영향 등으로 인해 2.6%로 4개월만에 반등후 금번 향방에 관심

7월 17일 미국 6월 소매판매 발표. 지난 3월 전일비 1.4%에서 4월 0.1%, 5월 -0.9%로 감소했으나 금번에는 0% 또는 소폭 플러스로 전환할 가능성

7월 18일 미국 7월 미시건대 심리지수 잠정치 발표. 지난 4월과 5월 52.2로 큰 폭 감소한 이후 6월 60.7로 큰 폭 반등했으나 금번에도 추가 상승할지 관심. 1년 기대인플레이션도 지난 5월 6.6%에서 6월 5.0%로 7개월만에 반락한 가운데 추가 하락 가능성


2) 트럼프 관세조정 이후 전개, 의회 가상화폐 법안 표결, 중동과 러시아 정책에 관심

● 지난주 트럼프 행정부가 주요 교역국들에 대한 관세율을 공개한 이후 금주 △주요국들의 반발 또는 협상 가속화 △트럼프의 재보복 여부 등에 촉각

- 필리핀은 금주 미국에 협상단을 파견할 예정이며, 미국 고위대표단은 일본을 방문해 협상을 재개

● 미국 하원은 주초 상원의 스테이블코인 법인 수정 논의와 표결을 추진할 예정이며, 암호화폐 감독 개정안, 중앙은행의 디지털 통화 금지 법안을 논의해 본회의에 상정할 계획

- 상원 공화당은 금주 해외원조 및 공영방송 지출 삭감 법안에 대한 표결을 추진

●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금주 이스라엘과 하마스간 60일간의 휴전 합의를 추진할 계획이어서 최종 합의 여부에 괌심. 또한 최근 휴전 요구에 부응하지 않고 우크라이나에 공세를 강화하는 러시아에 대해 7월 14일경 중대 성명을 예고


3) 중국 2Q GDP 및 6월 주요 경제지표 발표

7월 15일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 발표. 지난 1분기 전년동기대비 5.4%로 4분기와 동일하고 예상치 5.1%를 웃돈 가운데 금번 향방에 관심. 컨센서스는 5.1 ~ 5.2% 예상

같은 날 중국 6월 경제지표 발표. 소매판매는 지난 5월 전년동월비 6.4%로 23년말 이후 최고로 상승했으나 금번 둔화 예상. 산업생산(5월 5.8%), 고정자산투자(5월 3.7%)는 3개월 연속 둔화 여부에 관심


4) 연준 베이지북 발표. 미국 대형은행들의 2Q 실적 발표 집중

연준은 7월 16일 베이지북 발표. 지난 6월 보고서에서는 12개 지역중 6개가 완만한 둔화, 3개는 정체, 3개는 약한 성장세로 평가한 후 금번 변화에 주목

7월 15일 JPMorgan Chase, Wells Fargo, Citi, 16일 뱅크오브아메리카,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 미국 대형 은행들의 2분기 실적이 발표. 해당분기 실적과 향후 전망에 대한 언급에 관심


5) 일본 6월 CPI 및 교역지표 발표

7월 18일 일본 6월 CPI 발표. 헤드라인지수는 지난 5월 전녀동기비 3.5%로 추가둔화후 향방에 관심. 근원지수는 5월 3.7%로 3개월 연속 상승했으나 금번 반락 예상

7월 17일 일본 6월 교역지표 발표. 수출 증가율은 3월부터 둔화되는 가운데 5월 전년동월비 -1.7%로 마이너스 전환했으며 수입증가율은 5월 -7.7%로 2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어 금번 향방에 관심


6) G20 재무장관회의 개최. 중국 국제공급망 엑스포 개막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가 7월 17일 ~ 18일 남아공에서 열려 국제무역, 성장 및 부채, 국제금융구조 등을 논의.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불참

● 제 3차 중국 국제공급망 엑스포가 7월 16일 ~ 20일 베이징에서 열려 첨단제도, 청정에너지, 자동차, 디지털기술 등의 공급망 교류 촉진을 논의. 젠슨황 엔비디아 CEO도 이번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관심


지금까지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넷플릭스, 주요 대형은행 실적발표 등 주간 미국 주요 증시 일정 및 주요 국가 경제·금융 이슈' 관련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주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이 경제 지표 발표와 미국의 어닝시즌 시작 등으로 증시의 변동성이 어느 정도 예상되네요.

이번 주도 여러분들의 성공 투자 여정을 응원하겠습니다.